제목 | [산업분석] 반도체 과학, 기술 및 산업 분석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최민기 | 조회수 | 57 | |
---|---|---|---|---|---|---|
용량 | 12.51MB | 필요한 K-데이터 | 7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산업분석] 반도체 과학, 기술 및 산업 분석.pdf | 12.51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2-04-26 |
---|---|
출처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페이지 수 : | 150 |
< 목 차 >
1장 서론
1. 배경
2. 필요성
2장 환경, 이슈 분석
1. 반도체 산업의 분류와 특징
2. 반도체 제조공정
3. 이슈분석
3장 시장, 산업 생태계 분석
1. 시장 역학 분석
2. 반도체 밸류체인 분석
3. 시장 규모 분석
4. 산업 생태계 분석
4장 핵심전략기술 분석
1. 국내 반도체 기술개발현황
2. 정부 R&D투자 전략맵과 투자구조 분석
3. 핵심전략기술의 발굴과 투자전략분석
5장 반도체 산업의 혁신을 위한 성찰과 통찰
1. 새로운 과학기술혁신 생태계 구축
2. 반도체 산업의 패러다임 전환
3. 글로벌 패키지 관점의 국가전략기술 플랫폼 구축
Ⅰ. 배경 1) 효율성 성장에서 안정성과 회복력을 중시하는 성장으로 변화 • 글로벌 가치사슬과 국제 분업체계 – 그동안 선진국 기업들은 저렴한 노동력을 보유한 중국 및 개발도상국으로의 생산 기지 분업화를 통해 수출 경쟁력 제고. – 글로벌 가치사슬(Global value chain)로 구조화를 진행하며 비용경쟁력과 유연성을 높여 왔음 ※ 글로벌 공급사슬(Global Supply Chain): 산업의 생산을 국가의 특성에 따라 각 국가별 로 배치하는 전략으로, 생산과정의 배치와 이를 위한 국가간 공급-조달 문제를 가리킴 ※ 글로벌 가치사슬(Global value chain): 세분화된 가치창출 활동이 가장 유리한 지역에서 행해지도록 배치하는 시도. 공급사슬보다 포괄적 의미, 즉 제품이 개발되고 생산되어 판매되는 일련의 프로세스(가치창출활동)를 펼쳐놓은 것. 결국 다양한 가치창출 활동을 어떻게 배치하느냐의 문제를 가리킴. • 글로벌 가치사슬의 변화 – 우리나라는 2010년 이후, 일본을 제치고 18위의 허브국가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중국은 미국을 제치고 부동의 1위를 유지 – 고부가가치 분야에서는 한·일간 격차가 여전한 반면, 범용 분야에서는 한·중간 격차가 급속히 좁혀지고 있음 – 일본, 중국 등 소재부품업계의 선순환적인 시장 경쟁력 강화에 따라 국내 부품 소재 업계의 넛크래커(Nut Cracker) 현상 심화 ※ 일본 : 핵심기술 R&D→핵심부품 생산→시장점유율 증대→R&D 재투자 ※ 중국 : 범용부품 생산→시장점유율 증대→규모경제에 따른 공급가 인하 1장 서론 15 그림 1-1 글로벌 가치사슬의 허브 현황 • 코로나 19 확산으로 공급망 교란을 겪으면서 각국 정부와 기업들은 ‘효율성’ 보다 ‘안정성과 회복력’에 중점을 둔 정책으로 선회 – 향후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에 큰 변화가 예상 – 반도체는 자율주행차, 5G, 인공지능, 양자컴퓨팅, 핀테크 등 첨단 기술산업 주도권 확보에 있어서 핵심 기반 2) 반도체가 상품에서 핵심안보자산으로 관점변환 • 주요국은 반도체를 단순한 상품이 아닌 핵심 안보 자산으로 인식 – 한국 반도체 기업이 앞으로의 반도체 전쟁에서도 경쟁우위를 지키기 위해서는 기업과 정부 간 긴밀한 협력이 필요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