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석유화학산업 탄소중립 전략 및 정책적 대응방안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이지훈 조회수 141
용량 24.7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석유화학산업 탄소중립 전략 및 정책적 대응방안.pdf 24.7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12-31 
출처 : 산업연구원 
페이지 수 : 112 

< 목 차 >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및 범위

제2장 글로벌 석유화학산업 구조 및 전망
1. 글로벌 석유화학산업 구조
2. 글로벌 석유화학산업 전망

제3장 국내 석유화학산업의 온실가스 배출 현황
1. 산업 현황
2. 온실가스 배출 구조
3. 에너지 소비 현황

제4장 국내 석유화학산업 온실가스 감축 전략
1. 개요
2. 자원 순환
3. 연료 대체
4. 원료 대체
5. 공정 개선
6. 감축 결과
7. 해외 사례

제5장 국내 석유화학산업의 미래상 및 정책 과제
1. 국내 석유화학산업의 미래상
2. 정책 과제

 


 

○ 제조업을 비롯한 산업의 탄소중립은 현재 국제적인 추세이나 제조업 의존도가 높은 한국의 산업 구조를 고려하면 도전적인 과제로 평가 ○ 국내 석유화학산업은 국내 제조업 중 온실가스 다배출 업종 중 하나 며, 석유화학산업의 온실가스 저감 전략은 우리나라 탄소중립 달성 을 위해 중요한 수단 중 하나로 판단됨. - 따라서 국내 석유화학산업 부문의 2030년 NDC 상향 및 2050년 탄소 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체계적인 전략 수립이 필요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석유화학산업이 2050년에 탄소중립을 달성하 기 위해 추진하고 있는 온실가스 감축 전략을 소개하고, 효과적으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방안을 제시하는 것임. ○ 국내 석유화학산업은 원유에서 유래한 나프타를 분해하는 업스트림 생산공정을 채택해 올레핀 및 방향족 등 기초유분을 생산 - 국내 다운스트림 부문은 업스트림 공정에서 생산된 기초유분 등을 10 석유화학산업 탄소중립 전략과 정책적 대응방안 활용해 3대 유도품(합성수지, 합섬원료, 합성고무) 및 기타 화학제품 을 생산하는 구조 ○ 국내 석유화학산업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는 직접 배출이 64%, 간접 배출이 34%를 차지하며 산업 부문 배출량의 17%가량 점유 - 업스트림 부문은 직접 배출, 다운스트림 부문은 간접 배출 비중이 높음. - 국내 30대 온실가스 배출 제조업체 중 석유화학기업은 가장 많은 9개 사가 포함되며, 대부분 업스트림에 속한 기업임. ○ 국내 석유화학산업은 에너지 집약적이면서도 원료 지향적 산업이며, 석유를 원료뿐만 아니라 연료로도 사용하기 때문에 석유 의존도를 절감하는 혁신적 온실가스 감축 전략이 요구 ○ 국내 석유화학산업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글로벌 화학 시장 내 수요 에 대응하기 위해 생산 규모를 확대할 전망 ○ 생산증설 전망에 기반한 국내 석유화학산업의 온실가스 감축 전략은 4개 분야 5대 기술이며, 이 중 원료 대체 분야의 온실가스 감축 효과 가 가장 클 전망 - 플라스틱 업사이클링과 공정 개선 기술 개발은 단기적으로 상용화가 가능한 반면, 바이오매스 소재, 부생가스 전환, 전기가열 분해공정은 2030년 이후에 상용화 가능 - (자원 순환) 화석연료로부터 얻어진 플라스틱의 업사이클링 기술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하는 폐쇄 순환 생태계를 구축하는 전략 - (연료 대체) 기존 화석연료를 연료로 사용하던 나프타분해센터의 가 열로의 열량을 전기가열 방식으로 교체함으로써 온실가스 감축 효과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588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End to End 지능형 자동화, 하이퍼오토메이션 1도토리 국준아
3587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혁신도시와 주변지역의 연계실태 및 상생발전전략 1도토리 국준아
358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공공임대주택과 주거급여제도의 정책효과 분석 및 성과제고 방안 1도토리 김민성
358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경기도 고용노동 행정서비스 개선에 대한 정책 방안 7도토리 김민성
3584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경기북부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위한 3대 전략 3도토리 조현상
3583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스마트한 규제로 새로운 성장동력 만들기 3도토리 조현상
3582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동향] 국가별 바이오안전성 동향_미국 2022 7도토리 안소영
3581 생명공학/바이오 [시장분석] 러-우크라 전쟁이 GMO 곡물 교역에 미치는 영향.pdf 1도토리 안소영
358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1년 대한민국 무역(수출 유망 산업 및 국가 발굴) 7도토리 조현상
3579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분석] 산업용 LMO의 위해성평가기관 운영 제도 개선방안 1도토리 안소영
3578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주요 밀가루 가공식품 수출입 동향(베이커리류 및 면류 중심) 3도토리 조현상
357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우리나라 산업기술인력 수급 현황(2020년도 기준) 1도토리 조정희
3576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2021년 의약외품 허가보고서 3도토리 조정희
3575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금리 상승기 회사채 시장의 특성 변화 1도토리 김민성
357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가상자산 사업화를 위한 금융회사 및 테크기업의 경쟁과 협력 가속화 1도토리 김민성
3573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코로나19 재확산 및 중국경제 동향 1도토리 김민성
3572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금융환경의 긴축적 변화가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 1도토리 김민성
357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디지털 경제와 디지털 대전환 시대의주요 ICT 기술·시장·정책 동향 및 대응방향 3도토리 조정희
357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통화정책의 긴축적 변화가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 1도토리 김민성
356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해외사례 조사를 통한 한국 증권업 및 건전성 규제의 개선 방향 7도토리 김민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