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반도체, 디스플레이산업의 탄소중립 추진전략 및 정책 과제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이지훈 조회수 124
용량 1.14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반도체, 디스플레이산업의 탄소중립 추진전략 및 정책 과제.pdf 1.14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2-28 
출처 : 산업연구원 
페이지 수 : 94 

< 목 차 >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과 범위

제2장 글로벌 반도체ㆍ디스플레이산업 생산 구조 및 전망
1. 글로벌 반도체산업 생산 구조와 전망
2. 글로벌 디스플레이산업의 생산 구조와 전망

제3장 국내 반도체ㆍ디스플레이산업의 온실가스 배출 현황 및 감축 기술
1. 반도체ㆍ디스플레이산업의 온실가스 배출 현황
2. 반도체ㆍ디스플레이 공정과 배출 구조
(1) 반도체 공정과 배출 구조
(2) 디스플레이 공정과 배출 구조
3. 온실가스 배출 저감 기술

제4장 해외 반도체ㆍ디스플레이산업 온실가스 감축 추진 현황
1. 주요국 불소화합물 배출 현황
(1) 반도체
(2) 디스플레이
2. 주요국 탄소중립 정책에서의 반도체ㆍ디스플레이산업
3. 국제 협력을 통한 자발적 배출 저감 노력

제5장 반도체ㆍ디스플레이산업 탄소중립 추진전략과 정책과제
1. 국내 반도체ㆍ디스플레이산업의 탄소중립 추진전략
2.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정책과제
(1) 주요 이슈
(2) 정책 추진 진행 방향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 국내 반도체ㆍ디스플레이산업은 주요 주력 산업이자 글로벌 선도적 위치를 유지하고 있으나, 온실가스 다배출 업종으로 적극적인 탄소 저감 필요성이 증대 - 국내 반도체ㆍ디스플레이산업은 대표적인 주력 산업이며, 타 산업과 의 배출 구조가 상이하여 차별적인 온실가스 배출 저감 전략이 필요 ○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s, NDC)와 2050 장기 저탄소 발전전략(Long-term low greenhouse gas Emission Development Strategies, LEDS)을 달성하기 위한 반도체ㆍ 디스플레이산업의 전략 수립이 필요 - 국내 반도체ㆍ디스플레이는 제조업 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에서 차 지하는 비중이 높아 경쟁력 변화의 파급효과가 크며, 주요 수요기업 의 친환경 정책이 발표됨에 따라 이에 대응하기 위한 적극적 전략 마 8 반도체ㆍ디스플레이산업의 탄소중립 추진전략과 정책과제 련이 시급함. - 향후 국제 경쟁 구조의 변화는 국내 반도체ㆍ디스플레이산업에 큰 영 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우리나라 반도체ㆍ디스플레이산업 의 경쟁력 유지와 고부가가치화를 목표로 새로운 산업 정책이 필요 한 시점 ○ 반도체ㆍ디스플레이산업에 참여하는 기업 중 생산을 담당하는 종합 반도체 회사(Integrated Device Manufacturer, IDM) 기업, 파운드 리 기업과 패널 기업이 주 분석 대상 - 본 연구는 반도체ㆍ디스플레이 생산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에 관한 연 구이므로 전체 반도체산업에서는 IDM 기업과 파운드리 기업을, 디스 플레이산업에서는 패널 기업을 분석 대상으로 한정 2. 글로벌 반도체ㆍ디스플레이산업의 생산 구조 및 전망 □ 반도체 ○ 글로벌 반도체 생산은 대만, 한국, 일본, 중국, 유럽을 중심으로 구성 되며 향후 이외의 국가가 참여하기 어려울 것 - 한국은 생산 규모 및 시장 점유율 세계 2위로 탄소중립 이행에 중요 한 역할이 요구될 전망 - 미중 무역 분쟁의 심화에 따라 반도체의 자급화 노력이 확대되고 있 으며, 생산 규모 비중이 크게 감소한 미국, 일본, 유럽을 중심으로 대 규모 투자가 추진 중으로 동아시아 집중 구조는 약화 전망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568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동향] 합성생물학 적용 산물에 대한 규제와 관리 정책 전망보고서 3도토리 조정희
3567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MSCI 선진국지수 편입의 효과, 선결과제 및 시사점 3도토리 김민성
356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신용평가업에 대한 규제강화는 기업 신용평가의 질을 향상시켰는가 7도토리 김민성
3565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재생의료 산업 및 임상 동향 -첨단바이오의약품을 중심으로 3도토리 조정희
3564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소재 신연구방법론 3도토리 김민성
3563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일본 상공금융, 중소제조업체의 디지털전환 대응 포인트 분석 1도토리 김민성
3562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금융플랫폼에 대한 정책대응 및 방안 3도토리 김민성
3561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기후위기 및 보험 산업 7도토리 김민성
3560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미얀마 쿠데타 발발 1년-정치경제 동향 및 한국에 대한 시사점 3도토리 김민성
355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농업부문 데이터 경제 체계 구축을 위한 농업부문 디지털 전환 및 플랫폼 구축 방안 7도토리 나혜선
355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지능형 반도체의 최신 기술 및 산업 동향 7도토리 정한솔
3557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양자기술 과학, 기술, 산업의 분석 7도토리 나혜선
3556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차량 검출 및 추적 기술 1도토리 나혜선
3555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메타버스 플랫폼 동향과 미래 1도토리 나혜선
3554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Anamox 공정을 이용한 고효율 질소제거 시스템 1도토리 나혜선
3553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web3.0, 새로운 인터넷의 부상 1도토리 조정희
3552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자산관리 대중화를 선도하는 로보어드바이저 진화 1도토리 조정희
355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항공산업 탄소중립 1도토리 조정희
355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프롭테크 산업 생태계 분석 3도토리 조정희
3549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최근 연금시장의 동향과 전망 1도토리 조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