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정책분석] 2022년 중소기업·소상공인 정책금융 방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이지훈 조회수 79
용량 516.9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정책분석] 2022년 중소기업·소상공인 정책금융 방향.pdf 516.9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3-31 
출처 : 산업연구원 
페이지 수 :

서론 우리나라 중소기업은 일반적으로 시중은행 대 출을 통해 사업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한다. 그 러나 시중은행은 신용도가 높고 담보력을 갖춘 기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기술력이 있으나 재무구조가 취약한 중소기업에 자금이 효율적으 로 공급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창업, 시설투자에 소요되는 장기자금 대출 보다는 경영활동에 필요한 단기운전자금 대출 을 선호하여 신성장동력을 창출하는 데에도 한 계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시장실패 영역을 보 완하고자 정부는 정책금융기관을 설립하여 시 장실패 영역을 지원하고 있는데, 중소벤처기업 진흥공단(이하 중진공),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이하 소진공), 기술보증기금(이하 기보), 신용보증 기금(이하 신보), 지역신용보증재단(이하 지역신 보) 등 다양한 정책금융기관을 통해 중소기업, 소 상공인에게 장기자금을 융자하거나 시중은행 대 출을 보다 쉽게 받을 수 있도록 신용보강을 지원 하고 있다. 정책금융기관은 직접 기업에 융자하는 방안 과 기업의 신용을 보강하여 시중은행 대출을 받 을 수 있도록 하는 방안 등 크게 두 가지 방안 을 통해 기업에 자금을 지원한다. 중소벤처기업 부 유관 정책금융기관 중 중진공, 소진공은 직접 융자를 통해 자금을 지원하고, 기보, 신보, 지역 신보는 보증을 통해 시중은행 대출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정책금융기관은 소상공인, 중소기업 등 기 업 규모에 따라 지원하는 대상을 달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소진공, 지역신보가 소상공인을 주로 지원하고 있으며, 중소기업은 중진공, 기보, 신보 가 주로 지원하고 있는데, 중진공은 시설투자 자 금 위주의 장기저리자금을 직접 융자하고, 기보와 신보는 운전자금 위주의 시중은행 대출을 받을 수 있도록 보증을 실시하고 있다. 각 기관별 구체적 인 특성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90 K I E T 산 업 경 제 정 책 과 이 슈 중소기업 정책금융 중진공은 창업기업, 경영애로기업 등 민간 금융 에서 기피하지만, 기술성과 사업성을 보유하여 장 래가 유망한 기업에 장기, 저리의 자금을 직접 대 출함으로써 시장실패를 보완하고 중소기업의 경 쟁력을 제고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2022년 중 진공 융자 예산은 5조 600억 원으로, 창업기 2조 3,000억 원, 성장기 2조 1,400억 원, 재도약기 6,200억 원 등 성장 단계별로 구분하여 지원하고 있다. 2022년에 중진공은 한국판 뉴딜 기업을 중심 으로 지원하여 신성장동력을 창출하는 데 기여 할 계획이다. 지원 목표는 총 3조 2,000억 원으로 전체 예산 대비 63.2% 이상를 지원할 계획이며, 각 분야별로는 디지털뉴딜 1조 6,000억 원, 그린 뉴딜 1조 원, 지역균형뉴딜 6,000억 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그린뉴딜 전용자금인 Net-Zero 유망기업 자금이 2021년 200억 원 대비 2022년 1,200억 원으로 대폭 증가했으며, 해당 자금을 탄 소저감을 위한 시설·설비 도입 등에 집중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코로나 위기 대응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축 소된 창업기업, 시설도입 기업, 비수도권 기업 등 에 대한 지원을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정상화할 계획이다. 창업기업 전용자금(창업기반지원, 일 자리창출촉진)을 2021년 1조 6,000억 원 대비 2022년 2조 원으로 증액했으며, 해당 자금을 신 용 담보 능력이 특히 취약한 업력 3년 미만의 창 업 초기 기업에게 집중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비 수도권 기업에 60% 이상 지원하여 국가균형발전 도모에 일조할 계획이다. 기술보증기금은 재무상태 및 신용도를 기반으 로 보증공급을 하는 신용보증과는 달리 기술평가 를 통해 기술우수기업에 보증을 통해 자금조달을 지원하는 기관이다. 기술보증기금은 2021년 말 기준으로 약 26조 5,000억 원의 보증잔액을 보유 하고 있으며, 2022년에는 신규 보증 4조 2,000억 원을 포함하여 총 24조 8,000억 원의 보증을 공 급할 계획이다. 기술보증기금은 2022년에 DNA, BIG3, 한국 판뉴딜, 소부장 기업 등 혁신성장 분야 중소기업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548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탄소세 도입 방안 연구 7도토리 조정희
3547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메타버스 구현을 위한 XR 기술 관련 산업과 정책 동향 7도토리 조정희
354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지역혁신 규제샌드박스 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정책 7도토리 조정희
354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디지털 플랫폼을 이용한 농촌산업 활성화 방안 연구 7도토리 국준아
354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포스트 코로나 시대 농촌관광의 패러다임 전환 및 정책 과제 7도토리 국준아
3543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산지관리제도 운영 실태 및 과제 7도토리 조현상
354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반도체 과학, 기술 및 산업 분석 7도토리 최민기
3541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농식품 소매 유통채널 이용실태 및 분석 7도토리 조현상
3540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일본 녹차 산업 동향 및 시사점 7도토리 조현상
353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과학, 기술 및 산업 분석 7도토리 최민기
3538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분석] 곡물 시장 중심의 확률적 농업정책분석 모형 개발과 운영 7도토리 조현상
3537 생명공학/바이오 [시장동향] 인도네시아 농업 및 농식품 교역 동향 7도토리 조현상
3536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분석] 포용성장 및 지속가능성을 위한 식품정책 대응 과제 7도토리 최민기
353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건설업 안전관리자 수요 증가에 따른 안정적인 수급 확보 방안 3도토리 박민혁
353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건설기술 진흥법」상 안전관리비 계상실태와 활용 촉진 방안 3도토리 박민혁
3533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원자재가격 변동요인별 물가 영향 분석 1도토리 박민혁
3532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배터리 성능진단 시스템 1도토리 박민혁
3531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인공지능 사물인터넷(AIoT)과 블록체인 기술 동향 1도토리 박민혁
3530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디지털 FTA의 시대가 온다_글로벌 데이터 허브가 될 것인가, 갈라파고스가 될 것인가 1도토리 정한솔
352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석유화학산업 탄소중립 전략 및 정책적 대응방안 7도토리 이지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