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정책동향] 정부의 ESG 인프라 확충 정책 방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이지훈 조회수 64
용량 233.27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정책동향] 정부의 ESG 인프라 확충 정책 방향.pdf 233.27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3-31 
출처 : 산업연구원 
페이지 수 :

요즘 가장 핫한 이슈 중의 하나가 ESG이다. ESG는 투자결정 및 기업경영에서 재무 수익 외에 환경(E)ㆍ사회(S)ㆍ지배구조(G) 등 비재무적 요소 를 적극 고려하고자 하는 움직임을 가리킨다. 이 는 장기수익성을 추구하는 개념으로 코로나19로 기후위기 대응이 시급하고 양극화가 우려됨에 따 라 ESG 논의가 가속화되었는데, 경제모델이 효 율성뿐만 아니라 회복력(resilience)과 지속가능 성(sustainability) 등에 기반해야 한다는 인식에 기초한 것이다. 본고에서는 ESG가 글로벌하게 확 산된 과정과 국내 동향, 그리고 정책 방향을 살펴 보고자 한다. 글로벌 ESG 동향 ESG는 글로벌 금융회사 등이 ESG 이슈를 투 자에 반영해야 한다는 UN의 2006년 사회책임투 자원칙(PRI, Principle for Responsible Investment, 가입기관 3,000개 이상, 자산 규모 100 조 달러 이상(2020년 기준)) 발표 이후 활발하게 논의되었는데,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인 블랙록 (Blackrock)의 ESG 투자 선언(저탄소 전환 목표 미부합 기업에 대한 투자철회 및 의권권 행사 경 고, 2020년 1월)을 계기로 본격화되었다. 이후 글 로벌 자본시장의 ESG 투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투자를 받는 기업들, 특히 글로벌 대기업이 ESG 경영을 공식적으로 선언함으로써 이제 ESG 논의 는 사회적 담론을 넘어 기업·투자자의 자발적 행 동변화를 촉발하는 메가트렌드로 부상하게 되었 다. 한편, 기업들의 ESG를 평가(예: MSCI, S&P) 하고, 필요한 데이터(예: 톰슨 로이터, 블룸버그) 및 컨설팅(예: KPMG, Broadridge)을 제공하는 새로운 비즈니스가 확대되는 등 관련 생태계가 발 전하고 있다. ESG는 시장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지만, 문제 점도 안고 있다. ESG 개념이 넓어 환경 및 사회 적 가치 관련 경제활동에 대한 기준이 모호하고, OECD(2020년)는 국제적으로 수용 가능한 일관 정부의 ESG 인프라 확충 정책 방향 성창훈 기획재정부 장기전략국 국장 202203 85 정 책 과 이 슈 성 있고 의미 있는 공시원칙과 가이드라인이 없다 고 지적하고 있다. 이에 각국 정부와 국제기구는 이러한 시장실패 를 보완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ESG 관련 정 책을 선도하고 있는 EU는 공시를 강화하기 위해 지속가능금융공시를 2021년부터 의무화했고, 근 로자 250인 이상 기업의 지속가능성정보공시를 2023년부터 의무화할 계획이다. 또한 환경 관련 경제활동을 분류하는 그린 택소노미를 2023년부 터 시행할 예정이며, 소셜 택소노미는 2021년 초 안을 마련하고 논의 중에 있다. 아울러 역내 대기 업들의 환경·인권 관련 공급망 실사 의무화 법안 을 마련하고, 2024년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국제회계기준위원회(IFRS, 2022년 중 정보공 시표준안 발표 예정)와 국제증권감독기구(IOSCO)는 ESG 공시에 대한 표준화를 추진 중에 있 으며, 국제자본시장협회(ICMA), 기후채권이니셔 티브(CBI), 국제대출시장협회(LMA)는 ESG 채권 (녹색채권, 사회적채권, 지속가능채권이 존재)과 대출에 대한 가이드라인 등 금융상품의 제도화를 추진하고 있다. 국내 동향 우리나라도 글로벌 트렌드에 맞추어 ESG 생태 계가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투자 부문에서 연기 금 및 주요 금융기관이 ESG 투자를 추진함에 따 라 ESG ETF 및 ESG 채권 등 관련 시장 규모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국민연금은 ESG 투자 확대 (2022년 AUM의 50%), ESG 통합전략 가이드라 인 마련(2021년) 등 적극적 활동을 하고 있다. 기업들도 ESG 경영을 활발하게 도입하고 있다. 주요 경제단체들은 ESG 포럼 개최(대한상의 등), ESG 위원회 등을 발족(경총, 전경련 등)하며 적극 적으로 대응하고 있고, 삼성, SK, LG 등 대기업 을 중심으로 ESG 경영 선포 및 계열사별 사업계 획 수립, ESG 전담 조직 신설 등 ESG 경영이 빠 르게 확산되고 있다. 아울러 다양한 기관(컨설팅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252 성장동력산업 AI 관련 국내외 스타트업 사례 및 비즈니스 모델 분석 120도토리 김민성
3251 성장동력산업 초거대 인공지능 개발 동향과 과제 1도토리 조정희
3250 성장동력산업 글로벌 경제 전망(2022) 7도토리 김민성
3249 성장동력산업 자율주행 자동차 기술 및 시장 동향 3도토리 조정희
3248 성장동력산업 韓 반도체 산업의 공급망 리스크 및 대응방안 3도토리 안소영
3247 성장동력산업 2021년 수출입 동향 및 2022년 수출입 전망 7도토리 안소영
3246 성장동력산업 2022 개인정보보호 7대 이슈 전망 3도토리 안소영
3245 성장동력산업 2022년 경제 및 산업전망 7도토리 안소영
3244 성장동력산업 거시경제 전망(2022) 1도토리 안소영
3243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주요국의 XR 정책 동향 1도토리 한상윤
3242 성장동력산업 2022 국내 경제 전망 1도토리 한상윤
3241 성장동력산업 2022 세계 경제 전망 3도토리 한상윤
3240 성장동력산업 2022년 경제 및 금융시장의 전망과 중소기업 3도토리 한상윤
3239 성장동력산업 2022년 산업전망 7도토리 한상윤
3238 성장동력산업 2022년 국제정세전망 7도토리 한상윤
3237 성장동력산업 전기상용차 최신 동향 3도토리 한상윤
3236 성장동력산업 중소기업 전망(2022) 3도토리 민준석
3235 성장동력산업 생체인식 시장동향 보고서(2021) 3도토리 민준석
3234 성장동력산업 건설 업계 경기 전망(2022) 3도토리 민준석
3233 성장동력산업 생명보험 산업의 전망과 과제(2022) 1도토리 민준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