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중국의 인프라 투자 정책에 따른 국내 기계산업의 기회요인과 시사점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이지훈 조회수 44
용량 1.44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중국의 인프라 투자 정책에 따른 국내 기계산업의 기회요인과 시사점.pdf 1.44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3-31 
출처 : 산업연구원 
페이지 수 : 10 

2021년 일반기계 수출은 코로나19 지속에도 불구하고 주요국의 인프라 설비 투자와 수요산업 생산이 증가하면서 전년 대비 10.8% 증가한 530 억 5,000만 달러에 달했다. 일반기계 수출 전체의 24.7%를 차지하고 있는 대중국 수출은 기저효과 와 함께 포스트 코로나 경기 부양을 위한 대규모 인프라 및 SOC 투자 확대로 전년 대비 14.6%의 증가율을 보였다. 중국은 2022년에도 전년에 이어 대형 인프라 건설 등 적극적인 재정 정책을 통해 내수 활성화 를 꾀하고 있다. 중국은 2021년의 잦은 코로나19 발발, 원자재 가격 급등, 전력난 등으로 인한 경 기 둔화세를 전환시키기 위하여 고정자산 투자 확 대 방안으로 인프라 투자 시기를 앞당겼다. 14차 5개년 규획(2021년 3월)에 명시된 102개 대형 프 로젝트를 추진하기 위하여 500조 원 규모의 재원 을 마련한 것이다. 특히 2021년 부동산 규제 및 헝다 사태로 침체된 건설 경기를 되살리기 위하여 2022년 1분기부터 건설 인프라 쪽에 주력할 계획 이어서 국내 건설기계 및 부품 수출이 증가할 것 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중국 정부가 2022년 최우선 정책과제 를 ‘내수 확대’로 정하고, 자급률 증진 정책을 지 속해오고 있어 기존에 수입하던 제품을 자국산으 로 대체하면서 국내 일반기계의 대중 수출에 부정 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있다. 이에 이 글에서는 국내 일반기계산업의 최대 무 역 대상국인 중국의 2022년 이후의 제조업 및 인 프라 분야 투자 정책을 살펴보고 국내 대중 수출 주요 품목을 분석하여 국내 기계산업의 기회 요인 및 대응 전략을 모색해보고자 한다.국내 일반기계의 대중 수출은 2011년 122억 7,000만 달러에서 2021년 131억 2,000만 달러 로 연평균 1.1% 증가하여 증가세가 크지는 않지 만, 최근 5년간 일반기계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줄곧 25% 내외를 유지해오고 있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2021년 기준 일반기계 대 중 수출의 41.9%를 차지하는 광학기기 및 광학기 기 부품의 수출이 55억 200만 달러로 국내 광학 기기 전체 수출의 70.5%를 차지한다. 광학기기는 기계 작동의 시각적 시스템 운용을 위한 주요 부 품으로서 사물인터넷(IoT)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 면서 차량 자율주행, 스마트홈, AR/VR 장비, 드 론, 3D 센서 등 전 세계적으로 광학기기 활용 및 수요가 높아져가는 추세다. 중국 역시 전면적인 디지털 사회로의 전환에 따라 광학기기 수요가 늘 고 있어 국내 수출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볼트, 밸브, 베어링, 스프링 등 종류와 정밀도가 광범위한 기계요소의 대중 수출은 12억 6,000만 달러 규모로 국내 기계요소 전체 수출에서 23.3% 의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13억 1,000만 달러 규모의 ‘원동기 및 펌프’ 역시 국내 동 품목 전체 수출의 17.3%를 차지했다. 동 품목 들은 제조업 전반에 공급되는 범용 품목으로 중국 이 다양한 정책 수단을 동원해 제조업 발전을 지 원하였고,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타격에서 회 복되면서 2021년 1, 2분기 전년동기비 성장률이 각 18.3%, 7.9%로 높아졌기 때문이다. 항공우주, 조선, 자동차, 철도 건설, 국방, 군수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는 공작기계의 대중 수출은 전기차 생산 확대 및 5G, 데이터센터 등 사업 수요에 따라 전년동기비 22.2% 증가하여 공 작기계 전체 수출의 20.5%를 차지하였다. 중국은 제조업 패러다임 전환을 위해 스마트 공작기계, 산업 로봇, 자동화 설비산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하 고 있으나 아직까지 기술 격차로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스마트 기능이 더해진 공작기계 수입 수요는 일정 기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건설기계는 경기 부양을 위한 대규모 인프라 및 SOC 투자를 확대함에 따라 2021년 상반기에는 수요가 높았으나 부동산 대출 규제, 지방정부 자 금 유입 차단 등으로 3분기부터 건설시장이 침체 되면서 하반기에 수요가 급감하여 전년비 29.0% 감소했다. 대중 수출이 건설기계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7.1%이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252 성장동력산업 AI 관련 국내외 스타트업 사례 및 비즈니스 모델 분석 120도토리 김민성
3251 성장동력산업 초거대 인공지능 개발 동향과 과제 1도토리 조정희
3250 성장동력산업 글로벌 경제 전망(2022) 7도토리 김민성
3249 성장동력산업 자율주행 자동차 기술 및 시장 동향 3도토리 조정희
3248 성장동력산업 韓 반도체 산업의 공급망 리스크 및 대응방안 3도토리 안소영
3247 성장동력산업 2021년 수출입 동향 및 2022년 수출입 전망 7도토리 안소영
3246 성장동력산업 2022 개인정보보호 7대 이슈 전망 3도토리 안소영
3245 성장동력산업 2022년 경제 및 산업전망 7도토리 안소영
3244 성장동력산업 거시경제 전망(2022) 1도토리 안소영
3243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주요국의 XR 정책 동향 1도토리 한상윤
3242 성장동력산업 2022 국내 경제 전망 1도토리 한상윤
3241 성장동력산업 2022 세계 경제 전망 3도토리 한상윤
3240 성장동력산업 2022년 경제 및 금융시장의 전망과 중소기업 3도토리 한상윤
3239 성장동력산업 2022년 산업전망 7도토리 한상윤
3238 성장동력산업 2022년 국제정세전망 7도토리 한상윤
3237 성장동력산업 전기상용차 최신 동향 3도토리 한상윤
3236 성장동력산업 중소기업 전망(2022) 3도토리 민준석
3235 성장동력산업 생체인식 시장동향 보고서(2021) 3도토리 민준석
3234 성장동력산업 건설 업계 경기 전망(2022) 3도토리 민준석
3233 성장동력산업 생명보험 산업의 전망과 과제(2022) 1도토리 민준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