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일반기계 수출은 코로나19 지속에도 불구하고 주요국의 인프라 설비 투자와 수요산업 생산이 증가하면서 전년 대비 10.8% 증가한 530 억 5,000만 달러에 달했다. 일반기계 수출 전체의 24.7%를 차지하고 있는 대중국 수출은 기저효과 와 함께 포스트 코로나 경기 부양을 위한 대규모 인프라 및 SOC 투자 확대로 전년 대비 14.6%의 증가율을 보였다. 중국은 2022년에도 전년에 이어 대형 인프라 건설 등 적극적인 재정 정책을 통해 내수 활성화 를 꾀하고 있다. 중국은 2021년의 잦은 코로나19 발발, 원자재 가격 급등, 전력난 등으로 인한 경 기 둔화세를 전환시키기 위하여 고정자산 투자 확 대 방안으로 인프라 투자 시기를 앞당겼다. 14차 5개년 규획(2021년 3월)에 명시된 102개 대형 프 로젝트를 추진하기 위하여 500조 원 규모의 재원 을 마련한 것이다. 특히 2021년 부동산 규제 및 헝다 사태로 침체된 건설 경기를 되살리기 위하여 2022년 1분기부터 건설 인프라 쪽에 주력할 계획 이어서 국내 건설기계 및 부품 수출이 증가할 것 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중국 정부가 2022년 최우선 정책과제 를 ‘내수 확대’로 정하고, 자급률 증진 정책을 지 속해오고 있어 기존에 수입하던 제품을 자국산으 로 대체하면서 국내 일반기계의 대중 수출에 부정 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있다. 이에 이 글에서는 국내 일반기계산업의 최대 무 역 대상국인 중국의 2022년 이후의 제조업 및 인 프라 분야 투자 정책을 살펴보고 국내 대중 수출 주요 품목을 분석하여 국내 기계산업의 기회 요인 및 대응 전략을 모색해보고자 한다.국내 일반기계의 대중 수출은 2011년 122억 7,000만 달러에서 2021년 131억 2,000만 달러 로 연평균 1.1% 증가하여 증가세가 크지는 않지 만, 최근 5년간 일반기계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줄곧 25% 내외를 유지해오고 있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2021년 기준 일반기계 대 중 수출의 41.9%를 차지하는 광학기기 및 광학기 기 부품의 수출이 55억 200만 달러로 국내 광학 기기 전체 수출의 70.5%를 차지한다. 광학기기는 기계 작동의 시각적 시스템 운용을 위한 주요 부 품으로서 사물인터넷(IoT)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 면서 차량 자율주행, 스마트홈, AR/VR 장비, 드 론, 3D 센서 등 전 세계적으로 광학기기 활용 및 수요가 높아져가는 추세다. 중국 역시 전면적인 디지털 사회로의 전환에 따라 광학기기 수요가 늘 고 있어 국내 수출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볼트, 밸브, 베어링, 스프링 등 종류와 정밀도가 광범위한 기계요소의 대중 수출은 12억 6,000만 달러 규모로 국내 기계요소 전체 수출에서 23.3% 의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13억 1,000만 달러 규모의 ‘원동기 및 펌프’ 역시 국내 동 품목 전체 수출의 17.3%를 차지했다. 동 품목 들은 제조업 전반에 공급되는 범용 품목으로 중국 이 다양한 정책 수단을 동원해 제조업 발전을 지 원하였고,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타격에서 회 복되면서 2021년 1, 2분기 전년동기비 성장률이 각 18.3%, 7.9%로 높아졌기 때문이다. 항공우주, 조선, 자동차, 철도 건설, 국방, 군수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는 공작기계의 대중 수출은 전기차 생산 확대 및 5G, 데이터센터 등 사업 수요에 따라 전년동기비 22.2% 증가하여 공 작기계 전체 수출의 20.5%를 차지하였다. 중국은 제조업 패러다임 전환을 위해 스마트 공작기계, 산업 로봇, 자동화 설비산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하 고 있으나 아직까지 기술 격차로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스마트 기능이 더해진 공작기계 수입 수요는 일정 기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건설기계는 경기 부양을 위한 대규모 인프라 및 SOC 투자를 확대함에 따라 2021년 상반기에는 수요가 높았으나 부동산 대출 규제, 지방정부 자 금 유입 차단 등으로 3분기부터 건설시장이 침체 되면서 하반기에 수요가 급감하여 전년비 29.0% 감소했다. 대중 수출이 건설기계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7.1%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