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정책동향] 바이오 헬스 정책 및 투자 동향
분류 생명공학/바이오 판매자 장민환 조회수 74
용량 2.29MB 필요한 K-데이터 5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정책동향] 바이오 헬스 정책 및 투자 동향.pdf 2.29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3-15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페이지 수 : 45 

< 목 차 >

 

제1장 개요 

제2장 정책동향

제3장 바이오헬스분야 R&D 투자

제4장 바이오헬스분야 R&D 성과

제5장 결론

 


 

1.1. 작성 배경 바이오헬스 분야는 생명공학, 의・약학 지식에 기초하여 인체에 사용되는 제품을 생산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분야로 바이오 기반 의약품 및 의료기기, 헬스 케어서비스 등 보건・의료 영역을 포함1) l R&D 성과가 시장 점유율 향상으로 직결되는 바이오헬스 산업의 특성상 정부는 민간의 투자 여력이 낮은 시기부터 바이오헬스 R&D에 적극 투자하고 그 규모를 지속 확대 바이오헬스 분야를 포함한 BT 분야 전체에 대한 정부R&D 투자는 「제1차 생명 공학육성 기본계획」이 수립된 1994년에는 536억 원에 불과했으나, 이로부터 26년이 지난 2020년에는 4조 1,253억 원으로 약 77배 증가 [그림 1] BT분야 정부R&D 투자(1994~2020) (출처: (’94~‘03) 생명공학육성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2), (’04~‘20)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 1) 관계부처 합동(2019),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전략」. 2) 관계부처 합동(2012), 「제2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 2단계 계획(’12~’16)」. 바이오헬스 정책・투자동향 2 KISTEP 브리프 06 l BT분야에 대한 정부의 지속적인 투자와 민간의 투자 확대로 2007년부터 연간 2조원 이상 투자규모(정부+민간)를 유지 최근 코로나19 팬데믹 위기 상황에서 2020년 바이오헬스 분야는 사상 첫 100억 달러 수출을 달성하면서 10대 수출 품목 *에 진입하였음3) *반도체, 일반기계, 자동차, 석유화학, 철강, 석유제품, 선박,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바이오헬스 l ICT 분야와 투자 상위 1순위를 겨룰 정도로 BT 분야의 정부R&D 투자를 대폭 확대하였지만, 초기에는 BT분야 투자 비중에 비해 사업화로 이어지는 성과가 따라오지 못해 바이오R&D 정책 및 투자의 효율성 검토 필요성이 제기되기도 했었음4) l 바이오헬스 분야에 대한 정부의 관심과 육성・지원 방안이 R&D 투자로 꾸준히 이어지면서 기술을 축적한 결과가 코로나19 팬데믹 위기 상황에서 가시적인 성과로 드러나고 있음 - 국내 바이오헬스/의약품 분야 수출액이 바이오시밀러의 美・EU 점유율 확대, 코로나19 진단키트 수출 폭증, 초음파 영상기기 및 치과용 임플란트 등 의료기기 수요 증가 등으로 인해 2021년에 역대 최고(247억 달러)를 기록5),6) ※ 2017년 75억 달러(8조 9287억 원)였던 바이오헬스 수출액이 5년간 약 2.2배 확대 - 2021년 국내 제약・바이오 해외 기술수출이 32건, 총 13조원을 넘어 역대 최고치를 기록 했으며, 위탁생산・기술이전 확대 등 글로벌 백신허브로 급부상하고 있음7) 바이오헬스 분야의 사업화 성공사례가 축적되고 있는 시점에 주요국의 바이오헬스 정책 및 국내 바이오헬스 R&D 투자・성과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우리나라의 바이오헬스 지원・육성 방향을 제시하고자 함 l 미국, EU, 일본, 중국 등 해외 주요국과 우리나라의 바이오헬스 산업 규모와 수준에 따른 정부 지원・육성 정책을 비교・분석함으로써 글로벌 시장 점유율의 확대를 위한 경쟁력 확보 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l 우리나라 정부의 바이오헬스 지원・육성 정책에 따른 R&D 투자와 성과를 과학기술적 성과 (논문・특허 등), 경제적 성과 등의 측면에서 검토함으로써 향후 바이오헬스 R&D투자 방향을 제시하고자 함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252 성장동력산업 AI 관련 국내외 스타트업 사례 및 비즈니스 모델 분석 120도토리 김민성
3251 성장동력산업 초거대 인공지능 개발 동향과 과제 1도토리 조정희
3250 성장동력산업 글로벌 경제 전망(2022) 7도토리 김민성
3249 성장동력산업 자율주행 자동차 기술 및 시장 동향 3도토리 조정희
3248 성장동력산업 韓 반도체 산업의 공급망 리스크 및 대응방안 3도토리 안소영
3247 성장동력산업 2021년 수출입 동향 및 2022년 수출입 전망 7도토리 안소영
3246 성장동력산업 2022 개인정보보호 7대 이슈 전망 3도토리 안소영
3245 성장동력산업 2022년 경제 및 산업전망 7도토리 안소영
3244 성장동력산업 거시경제 전망(2022) 1도토리 안소영
3243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주요국의 XR 정책 동향 1도토리 한상윤
3242 성장동력산업 2022 국내 경제 전망 1도토리 한상윤
3241 성장동력산업 2022 세계 경제 전망 3도토리 한상윤
3240 성장동력산업 2022년 경제 및 금융시장의 전망과 중소기업 3도토리 한상윤
3239 성장동력산업 2022년 산업전망 7도토리 한상윤
3238 성장동력산업 2022년 국제정세전망 7도토리 한상윤
3237 성장동력산업 전기상용차 최신 동향 3도토리 한상윤
3236 성장동력산업 중소기업 전망(2022) 3도토리 민준석
3235 성장동력산업 생체인식 시장동향 보고서(2021) 3도토리 민준석
3234 성장동력산업 건설 업계 경기 전망(2022) 3도토리 민준석
3233 성장동력산업 생명보험 산업의 전망과 과제(2022) 1도토리 민준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