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분석] 그린뉴딜_바이오연료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황세영 | 조회수 | 47 | |
---|---|---|---|---|---|---|
용량 | 3.47MB | 필요한 K-데이터 | 3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산업분석] 그린뉴딜_바이오연료.pdf | 3.47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2-03-30 |
---|---|
출처 :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페이지 수 : | 41 |
< 목 차 >
제1장 개요
제2장 기술동향
제3장 산업동향
제4장 정책동향
제5장 R&D 투자동향
제6장 결론
1.1 작성배경 지구온난화 문제로 전 세계가 기후변화 위기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지구 온도 상승을 제한하기 위해서는 2050년까지 탄소중립(Net-zero)을 달성해야 하는 상황 l 지구 온난화가 지속된다면 2030~2052년 사이 지구의 온도 상승폭은 1.5℃를 초과하고, 2100년에는 3℃를 넘을 것으로 예측1) l 지구 온도 상승폭을 1.5℃ 미만으로 제한하기 위해서는 수송, 건물 등 기반 시설과 산업 전반의 시스템 전환이 요구되며, 화석연료 대체를 위한 바이오매스, 폐자원 등 순환가능한 에너지 자원의 필요성 증가 탄소중립 목표 달성의 수단으로 재생에너지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이중 바이오연료의 수요는 지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 l 2030년 재생에너지 믹스(mix)에서 바이오연료는 열 생산의 80%, 발전의 19.4%, 수송의 100%를 담당할 것으로 보고2) l 2050 넷제로(Net-zero) 시나리오에 따르면, 2030년까지 석탄 사용은 급격하게 감소하고 저탄소에너지의 공급은 증가하는데, 바이오연료 수요는 3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3) 1) IPCC(2018), 「Global Warming of 1.5℃」. 2) IRENA(2021), 「World Energy Transitions Outlook」. 3) IEA(2021), 「Net zero by 2050」. 바이오연료 2 KISTEP 브리프 09 [그림 1] 2030년까지의 글로벌 에너지 공급원의 변화 * 출처 : IEA(2021), 「World Energy Outlook 2021」. 세계 바이오연료 시장은 바이오매스 등 원료가 풍부한 국가들 중심으로 발달 되어 있으며, 주요국 정부는 바이오연료 사용 의무화 제도 정책을 도입하여 시행 l 바이오연료가 기저부하를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재생에너지원이며 석유 의존도를 낮추는 친환경 연료로써 원료가 풍부한 미국과 브라질 등을 중심으로 바이오연료 시장이 형성됨 l 해당 국가들은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위해 바이오연료 보급 확대제도(RPS, RFS)4)를 시행 함으로써 세계 시장에서의 주요 생산국가로 자리매김 우리나라 정부도 2050 탄소중립 사회 실현을 위한 핵심 투자분야에 바이오에너지를 포함하는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음 l 「탄소중립 연구개발 투자전략(’21.3)」의 10대 핵심 투자분야에는 ‘청정연료와 자원순환’이 포함되어 있으며, 청정연료로서 바이오에너지가 세부분야에 포함되어 추진 l 재생가능한 자원을 활용하여 기존의 화학산업을 바이오 기반으로 대체하기 위해 바이오연료, 바이오플라스틱 등 민간협의체 운영을 통한 화이트바이오산업 활성화 촉진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