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2020년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 주요 결과
분류 생명공학/바이오 판매자 황세영 조회수 142
용량 854.87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2020년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 주요 결과.pdf 854.87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3-31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페이지 수 : 18 

1. 개요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바이오협회는 국내 바이오산업의 전반적인 현황 파악을 위해 매년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를 실시 ∙ 2003년부터 국내 바이오산업의 전반적인 현황 파악 및 매출·재정 등 정확한 실태 분석을 통해 향후 관련 육성정책 수립과 경제 분석·국제 비교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본 조사 실시 (국가승인통계 : 제 115015호)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 세부 조사항목 구 분 세부 조사항목 기업정보 기업명, 대표자명, 사업자번호, 모기업명, 대표전화, 설립년월, 소재지, 응답자 정보 일반현황 총자본, 자기자본, 종사자 수, 단독사업체 여부, 지정여부, 사업장별 소재지, 손익계산서 항목 바이오산업부문현황 주력업종, 인력 현황, 연구개발비 및 시설투자비, 협력관계, 성장단계, 매출발생기간, 바이오산업부문 제품 및 서비스, 거래기술(매출발생, 수출·입) ∙ (조사대상) 생명공학기술관련 활동에 종사하는 국내 기업체 · 연구개발단계의 주요기술로 생명공학기술 이용 · 생명공학을 제조, 생산, 서비스(연구개발서비스 포함)과정에 이용 · 연구개발단계나 생산과정 중 생명공학적 과정에 이용되는 기계, 장비나 플랜트 생산 · 위의 제품을 수입하여 판매 ∙ (분석대상) 총 1,288개 조사대상 기업 중 1,027개 유효 표본(모집단의 79.7%) 확보 본 조사는 국가표준(KS) KS J 1009(바이오산업 분류코드 : Bioindustry Classification Code) 체계를 적용하여 조사 수행 ∙국가기술표준원은 생명공학기술 및 바이오제품을 반영하여 향후 5년간 산업성장 표현 및 통계의 활용성 제고를 위해 ’16. 12. 29 분류체계 개정 ∙’20년 기준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는 전수 조사로서의 성공률을 높이고, 체계적인 검증을 실시하 여 보다 정교하게 국내 바이오산업 현황을 파악하고자 기획되었음. 이번 호에서는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바이오협회가 발표(’21.12)한 「2020년 기준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의 주요 내용을 토대로 분석 및 정리 2020년 국내 바이오 산업 실태조사 주요 결과 Ⅰ 2 Ⅰ KISTEP 브리프 10 2. 기업 현황 ’20년 기준 국내 바이오산업체는 사업장의 경우 경기 지역이 340개, 서울 229개로 서울·경기 지역에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음 ∙ 본사의 경우 서울 303개, 경기 301개 임 [그림 1] 바이오산업체의 소재지별 분포 바이오산업체의 분야별 소재지별 분포 구 분 전체 서울 부산 인천 대구 광주 대전 울산 세종 전체 1,027 229 15 22 15 7 82 8 3 바이오의약산업 326 100 3 10 4 1 17 - - 바이오화학·에너지산업 191 19 4 4 4 1 24 6 1 바이오식품산업 170 17 3 - 2 1 8 - 2 바이오환경산업 64 4 4 3 3 1 3 2 - 바이오의료기기산업 96 25 1 - - 1 10 - - 바이오장비 및 기기산업 62 12 - 2 1 - 9 - - 바이오자원산업 15 2 - - - - 2 - - 바이오서비스산업 103 50 - 3 1 2 9 - - 구 분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전체 340 44 91 44 35 36 22 25 9 바이오의약산업 121 11 33 15 2 1 4 3 1 바이오화학·에너지산업 46 7 15 11 12 15 7 11 4 바이오식품산업 48 11 23 13 12 12 7 8 3 바이오환경산업 24 4 2 1 2 6 2 2 1 바이오의료기기산업 33 8 9 3 2 1 2 1 - 바이오장비 및 기기산업 32 1 4 1 - - - - - 바이오자원산업 7 - 2 - 1 1 - -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548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탄소세 도입 방안 연구 7도토리 조정희
3547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메타버스 구현을 위한 XR 기술 관련 산업과 정책 동향 7도토리 조정희
354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지역혁신 규제샌드박스 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정책 7도토리 조정희
354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디지털 플랫폼을 이용한 농촌산업 활성화 방안 연구 7도토리 국준아
354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포스트 코로나 시대 농촌관광의 패러다임 전환 및 정책 과제 7도토리 국준아
3543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산지관리제도 운영 실태 및 과제 7도토리 조현상
354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반도체 과학, 기술 및 산업 분석 7도토리 최민기
3541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농식품 소매 유통채널 이용실태 및 분석 7도토리 조현상
3540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일본 녹차 산업 동향 및 시사점 7도토리 조현상
353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과학, 기술 및 산업 분석 7도토리 최민기
3538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분석] 곡물 시장 중심의 확률적 농업정책분석 모형 개발과 운영 7도토리 조현상
3537 생명공학/바이오 [시장동향] 인도네시아 농업 및 농식품 교역 동향 7도토리 조현상
3536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분석] 포용성장 및 지속가능성을 위한 식품정책 대응 과제 7도토리 최민기
353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건설업 안전관리자 수요 증가에 따른 안정적인 수급 확보 방안 3도토리 박민혁
353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건설기술 진흥법」상 안전관리비 계상실태와 활용 촉진 방안 3도토리 박민혁
3533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원자재가격 변동요인별 물가 영향 분석 1도토리 박민혁
3532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배터리 성능진단 시스템 1도토리 박민혁
3531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인공지능 사물인터넷(AIoT)과 블록체인 기술 동향 1도토리 박민혁
3530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디지털 FTA의 시대가 온다_글로벌 데이터 허브가 될 것인가, 갈라파고스가 될 것인가 1도토리 정한솔
352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석유화학산업 탄소중립 전략 및 정책적 대응방안 7도토리 이지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