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시장동향] 배터리 소재 광물시장 동향과 전망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장민환 | 조회수 | 78 | |
---|---|---|---|---|---|---|
용량 | 1.12MB | 필요한 K-데이터 | 3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시장동향] 배터리 소재 광물시장 동향과 전망.pdf | 1.12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2-05-10 |
---|---|
출처 : | 한국수출입은행 |
페이지 수 : | 24 |
< 목 차 >
Ⅰ. 에너지 전환 시대의 배터리 시장
Ⅱ. 배터리 소재 광물시장 동향 및 전망
1. 배터리 소재 광물 시장 개요
2. 배터리 소재 3대 핵심광물
(1) 리튬
(2) 니켈
(3) 코발트
Ⅲ. 결론 및 시사점
에너지 전환으로 운송용, ESS 부문 등에서 리튬이온 배터리 시장이 급성장함에 따라 배터리 소재 광물자원인 리튬, 니켈, 코발트 시장도 높은 성장세 지속 전망 Ÿ 세계은행은 2050년 에너지 저장과 관련된 배터리 소재 핵심광물인 리튬, 코발트 등의 수요가 2018년 대비 약 4.5~5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 ‑ Wood Mackenzie도 2030년까지 배터리 소재 광물자원 시장의 연평균 4~13%대 성장률을 전망하는 등 배터리 광물 수요가 중장기적으로 높게 지속될 전망 Ÿ (리튬) 리튬이온 배터리의 핵심 원료로서 매장량의 82%가 칠레, 호주 등 4개국에 부존 ‑ (수급) 2030년 리튬 화합물 수요는 2021년 대비 약 100만 톤 이상(연평균 13%대) 증가하는 등 수요가 공급보다 빠르게 증가, 2020년대 후반 이후 공급 부족이 점차 심화될 전망‑ (가격) 전기차 배터리 수요 확대로 2020년 하반기 이후 리튬 화합물의 가격 급등세가 지속되며 2022년 들어 역대최고치 기록, 중장기적으로 강한 수요가 높은 가격을 지지할 전망Ÿ (니켈) 비교적 고르게 분포하나 인도네시아, 중국 외에 개발 프로젝트는 거의 없는 상황‑ (수급) 니켈 수요는 2021년 약 270만 톤에서 2030년 약 400만 톤으로 증가(연평균 4%대), 2020년대 말까지 추가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구조적인 공급 부족 전망 ‑ (가격) 2018년 이후 니켈광물 가격 상승세가 지속 중이나 인도네시아 공급 확대로 2020년대 중반 하향 안정화되었다가 2020년대 말 공급 부족으로 다시 상승할 전망 Ÿ (코발트) 콩고민주공화국(DRC)이 공급량의 약 80% 차지, 가격 변동성이 높은 광물 ‑ (수급) 코발트 수요는 2021년 약 16만 톤에서 2030년 약 26만 톤으로 증가(연평균 약 6%), 향후 2~3년간 공급과잉이 예상되나 신규투자가 없다면 2020년대 후반부터 공급 부족 전망‑ (가격) 코발트 광물가격이 중단기적으로는 하향 안정화되겠지만 리튬이온 배터리 수요 급증지속에 따라 2020년대 후반 공급 부족으로 인해 재상승할 전망 중장기적으로 배터리 소재 광물의 공급부족 우려가 존재하는바, 한국 배터리 부문의 경쟁력 우위를 유지·강화하기 위해 안정적인 원료 확보에 적극 나서야 함 Ÿ 2050년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배터리 소재 광물의 확보 경쟁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배터리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안정적인 소재 확보방안 마련 필요 Ÿ 배터리 산업의 경쟁력을 기반으로 한 해외자원개발 부문에서의 협업기회를 모색하고, 폐리튬이온 배터리의 재활용과 관련된 기술개발, 사업역량 강화 필요 Ÿ 한편 장기적으로 나트륨이온 배터리와 같이 원료확보가 용이한 소재를 활용한 신소재 배터리 기술개발에도 박차를 가하여 기술을 선점할 필요 배터리 소재 광물시장 동향 및 전망 1 Ⅰ. 에너지 전환 시대의 배터리 시장 에너지 전환 움직임으로 운송용 부문을 중심으로 전기화(electrification)가 가속화됨에 따라 배터리 시장이 동반 성장할 전망 Ÿ 승용차 부문에서 배터리 전기차 비중은 ’30년 30%, ’40년 50%에 달할 전망(Wood Mackenzie) ‑ 코로나19에도 불구하고 2021년 전기차 판매는 650만 대를 넘어서며 전년 대비 두 배 이상을 기록하였고, 중국과 유럽은 보조금에 힘입어 전체 매출의 84% 차지 Ÿ 에너지 저장시스템(ESS)도 리튬이온 배터리를 중심으로 설치규모가 중장기적으로 급증할 전망‑ 나트륨 이온, 플로우 배터리(flow battery)1) 등 다른 배터리 기술을 사용하는 일부 파일럿 프로젝트가 몇 년 내에 가동될 것으로 예상되나 소규모 파일럿 활동 또는 특수 목적에 한하고, 이러한 기술들의 단기간내 대규모 상용화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 전기차 시장 성장 전망(좌) 및 ESS 연간 설치규모 전망(우) 주) Fuel cell vehicle: 압축된 액체 수소 연료전지로 구동 자료: Wood Mackenzie Ÿ 전기차, ESS 부문의 성장에 힘입어 2035년까지 리튬이온 배터리의 시장 규모가 2020년 258GWh에서 2035년 4.8TWh로 연평균 21.5%의 높은 성장세를 보이며 급증할 전망(BNEF)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