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기술동향] 지능형 자율자동차 통신 보안 표준화 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장민환 조회수 140
용량 308.59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기술동향] 지능형 자율자동차 통신 보안 표준화 동향.pdf 308.59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4-04 
출처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페이지 수 :

1. 머리말 최근 자율주행차량에 대한 연구가 급속도로 진행되는 가운데, 자율주행차량의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필수 요소 기술로서 차량통신기술의 상용화가 진행 중이다. 차량과 차량, 차량과 주변 환경과의 차량통신기술은 지능형 자율 자동차를 대상으로 하기 전부터 차량의 주행 안정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꾸준히 연구되어져 왔다[1]. 최근 차량통신기술은 지능형 자율자동차에서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지능형 자율자동차에서 센서를 통해 수집되는 차량 주변 환경정보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차량통신기술의 활용성이 강조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차량통신기술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보안 기술의 확보가 선행되어야 한다. 차량통신 환경은 인터넷 등의 기존 네트워크 환경과 달리 네트워크의 보안성 확보 여부에 따라 운전자 및 보행자의 생명과 직결되는 위험 상황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차량 통신 환경에서의 사이버 보안사고 방지를 위한 연구 개발 및 다양한 표준화활동이 진행되고 있다[2,3]. ITU-T SG17은 통신 분야 표준화를 다루는 국제 기구인 ITU-T 산하의 사이버 보안기술에 대한 전문 표준화 그룹이다. SG17의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 보안 연구반(Question 13)은 차량통신보안기술의 표준화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2017년 3월 설립되어 차량내부망 보안, 차량외부망 보안 및 ITS 응용보안 분야에서 표준화를 활발히 추진하는 중이다. 본 논문에서는 SG17의 ITS 보안연구반에서 추진 중인 표준화 동향과 TTA PG504가 추진하는 국내 차량통신보안 표준화 현황을 소개한다. 2. 차량통신보안 표준화 2.1 ITU-T SG17에서의 차량통신보안 표준화 동향 ITU-T SG17의 ITS 보안연구반(Question 13)의 표준화 범위는 차내망 보안, 차외망 보안, 차량 응용 서비스 보안, 차량외부접속디바이스 보안, 차량보안관제 보안, 차량 클라우드 보안 및 ITS 생태계의 기초적인 보안 위협 정의 등이다. [그림 1]은 SG17 ITS 보안연구반의 표준화 영역과 표준 아이템을 도시한 것이다. 은 ITU-T SG17 ITS 보안연구반이 제정완료한 표준 목록을 나타낸 것이다[4~9]. X.1371(커넥티드 차량 보안 위협)은 커넥티드 차량 및 에코시스템에서의 보안 위협을 정의하는 것이다. UNECE(United Nations Economic Commission for Europe) WP29에서 제정한 ‘차Ⅰ 기술표준이슈 ----• ICT Standard Weekly 제1076호 • --------------------------------------------------------------- 2 량 사이버보안 권고안(UN R155)[19]’의 보안 위협을 기반으로 하여, 커넥티드 차량에 대한 상위 레벨의 위협을 정의하고 있다. [그림 1] ITU-T SG17 Q13 표준화 범위 ITU-T SG17 Q13 차량통신보안 표준화 완료 목록> 약어 제목 승인시기 X.1371 Security threats in connected vehicles 2020 X.1372 Security guidelines for V2X communication system 2020 X.1373 Software update capability for ITS communications devices 2017 X.1374 Security requirements for external interfaces and devices with vehicle access capability 2021 X.1375 Guidelines for intrusion detection system for in- vehicle networks 2021 X.1376 Security-related misbehavior detection mechanism based on big data analysis for connected vehicles 2021 X.1371에서 정의된 보안 위협은 SG17 ITS 보안연구반에서 제정 중인 표준화 과제에서 참조하여 표준화가 진행 중이다. X .1372( V2 X 통신 보안가이드라인)은 차량외부 통 신에서의 보안위협, 보안요구사항을 정의하고 있으며, ETRI 및 현대차가 주도적으로 표준화를 추진하였다. 차량외부통신망은 V2X (Vechicle-to-Everything) 통신이라고도 한다. 차량과 차량(V2V, Vehicleto-Vehicle), 차량과 인프라(V2I, Vehicle-to-Infrastructure), 차량과 노매딕 디바이스(V2D, Vehicle-to-Nomadic Device), 차량과 네트워크(V2N, Vehicle-to-Network)를 통칭한다. X.1372에서는 V2X 환경의 보안 위협 및 보안 요구 사항을 정의하고, 차량 등록 및 인증서비스 모델 등의 유스 케이스를 정의하고 있다. 특히 본 표준에서는 V2V/V2I 통신 환경을 차량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548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탄소세 도입 방안 연구 7도토리 조정희
3547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메타버스 구현을 위한 XR 기술 관련 산업과 정책 동향 7도토리 조정희
354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지역혁신 규제샌드박스 제도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정책 7도토리 조정희
354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디지털 플랫폼을 이용한 농촌산업 활성화 방안 연구 7도토리 국준아
354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포스트 코로나 시대 농촌관광의 패러다임 전환 및 정책 과제 7도토리 국준아
3543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산지관리제도 운영 실태 및 과제 7도토리 조현상
354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반도체 과학, 기술 및 산업 분석 7도토리 최민기
3541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농식품 소매 유통채널 이용실태 및 분석 7도토리 조현상
3540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일본 녹차 산업 동향 및 시사점 7도토리 조현상
353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과학, 기술 및 산업 분석 7도토리 최민기
3538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분석] 곡물 시장 중심의 확률적 농업정책분석 모형 개발과 운영 7도토리 조현상
3537 생명공학/바이오 [시장동향] 인도네시아 농업 및 농식품 교역 동향 7도토리 조현상
3536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분석] 포용성장 및 지속가능성을 위한 식품정책 대응 과제 7도토리 최민기
353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건설업 안전관리자 수요 증가에 따른 안정적인 수급 확보 방안 3도토리 박민혁
353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건설기술 진흥법」상 안전관리비 계상실태와 활용 촉진 방안 3도토리 박민혁
3533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원자재가격 변동요인별 물가 영향 분석 1도토리 박민혁
3532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배터리 성능진단 시스템 1도토리 박민혁
3531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인공지능 사물인터넷(AIoT)과 블록체인 기술 동향 1도토리 박민혁
3530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디지털 FTA의 시대가 온다_글로벌 데이터 허브가 될 것인가, 갈라파고스가 될 것인가 1도토리 정한솔
352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석유화학산업 탄소중립 전략 및 정책적 대응방안 7도토리 이지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