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정책분석] 수소법 개정안, 1년 만에 딛는 첫 발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노민우 조회수 99
용량 993.87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정책분석] 수소법 개정안, 1년 만에 딛는 첫 발.pdf 993.87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5-11 
출처 : 증권사 
페이지 수 : 11 

국내 수소법 개정안 산자중기위 법안소위 통과 5월 4일 국내 수소법(수소경제 육성 및 수소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국회 산 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산자중기위)의 법안소위를 통과했다(5월 9일 대안가결). 작년 5월 첫 발의 이후 약 1년여 만에 첫 발을 뗀 셈이다. 수소법 개정안은 이후 국회 법제사업위원회 심사 및 본회의 의결을 거쳐 최종 확정 예정이다. 수소법 개정안은 청정수소에 대한 정의를 바탕으로 ①청정수소 등급별 인증제도 도입, ②수소발전에 대해 별도 천연가스 요금체계 적용, ③수소연료공급 시설에서 청정수소 구매 의무화, ④청정수소발전 의무화제도(CHPS; Clean Hydrogen Energy Portfolio Standards) 신설 등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포함한다. 표1 수소법 개정안 개요 및 경과 구분 내용 최초제안일자 2021년 5월 24일 제안 이원욱 의원, 송갑석 의원, 정태호 의원, 이학영 의원, 김종민 의원 대표발의 등 8건 주요내용 청정수소·청정수소발전 정의, 청정수소 인증기관 신설, 수소연료공급 시설에서 청정수소 구매 의무화, 청정수소 발전 전력 구매의무화 제도(CHPS) 신설 등 경과 회의일 회의결과 제 388회 국회(임시회) 1차 전체회의 2021년 6월 28일 상정/제안설명/검토보고/대체토론/소위회부 제 389회 국회(임시회) 1차 산업통상자원특허소위 산업통상자원특허소위 2021년 7월 29일 상정/축조심사 제 391회 국회(정기회) 2차 산업통상자원특허소위 산업통상자원특허소위 2021년 11월 23일 상정/제안설명/축조심사 제 391회 국회(정기회) 3차 산업통상자원특허소위 산업통상자원특허소위 2021년 12월 1일 상정/축조심사 제 392회 국회(임시회) 1차 산업통상자원특허소위 산업통상자원특허소위 2022년 1월 5일 상정/축조심사 제 397회 국회(임시회) 2차 산업통상자원특허소위 산업통상자원특허소위 2022년 5월 4일 상정/제안설명/축조심사/의결(대안가결) 자료: 국회 의안정보시스템,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그간 수소법 개정안은 청정수소의 범위에 대한 국회의원간 견해차로 수차례 계류되어왔 다. 금번 법안소위 통과안은 수소를 무탄소와 저탄소, 저탄소 수소화합물로만 구분하고, 세부사항은 시행령에서 규정하는 정도로만 합의했다. 여전히 청정수소의 범위에 대한 논의가 요구되는 상태이다. 기존 논의 방향대로라면 그레이수소로 불리는 화석연료 (LNG) 기반 부생수소 및 추출수소는 청정수소 범주에 해당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차기 정부의 탈원전 폐기 방침에 따라 원전 연계 수소생산 기술에 대해서는 긍 정적으로 논의될 가능성이 있다.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4 비상장/ESG 김윤정 02 3779 8753 yunjeong.kim@ebestsec.co.kr 표2 주요 국가의 청정수소 인증 기준 구분 내용 EU - 수소 생산 전체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기준으로 구분 - 탄소포집 설비가 설치되지 않은 중앙집중형 천연가스 추출방식의 EU 내 평균 이산화탄소 배출량(10.9kgCO2eq/kgH2)을 기준으로 이산화탄소를 60% 이상 감축한 수소를 프리미엄 수소로 정의 - 프리미엄수소는 수소 생산에 투입된 에너지(재생에너지 사용 여부)에 따라 그린수소 및 저탄소수소(2 저탄소수소(2단계)로 구분하여 인증 중국 - 석탄가스화 기술을 이용한 수소 생산방식의 이산화탄소 발생량(29.0kgCO2eq/kgH2)을 기준으로 저탄소수소, 청정수소, 재생수소(3단계)로 구분하여 인증 - 저탄소수소: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14.5kgCO 저탄소수소 2eq/kgH2 이하이거나, 기준 배출량 대비 이산화탄소를 50% 감축한 경우 - 청정수소, 재생수소: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4.9kgCO2eq/kgH2 이하이거나, 저탄소수소 배출량의 1/3 수준으로 감축한 경우. 다만, 재생수소는 재생에너지원으로 생산한 수소에만 인증 부여 일본 - 재생에너지 구분 없이 기준 배출량(공정개선 기준 39.21kgCO2eq/kgH2) 대비 이산화탄소 감축률에 따라 4단계로 구분하여 등급 인증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52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음식료 산업_불확실성의 대안, 필수소비재의 차례가 왔다 7도토리 이지훈
3527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경제 패러다임의 전환에 따른 기업 혁신지원정책 고도화 방안 7도토리 이지훈
352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가속화에 따른 ICT산업의 신성장전략 7도토리 이지훈
352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 섬유와 제지산업의 탄소중립 추진 전략 및 정책과제 7도토리 이지훈
352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 시멘트산업의 탄소중립 추진 전략 및 정책과제 7도토리 이지훈
352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반도체, 디스플레이산업의 탄소중립 추진전략 및 정책 과제 7도토리 이지훈
3522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한국 경제의 장기 성장 둔화 및 원인 7도토리 이지훈
3521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분석] 바이오산업 성장동력화를 위한 정책 거버넌스 체계 개선 방안 9도토리 이지훈
3520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베트남 진출 기업의 글로벌 무역패턴 분석 7도토리 이지훈
351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서비스기업의 R&D 실태와 정책과제 7도토리 이지훈
3518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글로벌 디지털 무역협정 동향 및 지식재산 이슈 3도토리 국준아
3517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50 미래 우주 공간 활용_英 국가우주전략의 새로운 기회 및 위협 3도토리 국준아
3516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국가 안보를 위한 인공지능(AI) 및 3대 전략 기술 3도토리 국준아
351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한미 양국의 교수 창업 제도 비교 및 시사점 1도토리 이지훈
3514 생명공학/바이오 [시장동향] 디지털 치료제의 특허법적 보호 동향 및 과제 7도토리 이지훈
3513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글로벌 공급망 위기와 우리 기업의 대응현황 1도토리 민준석
3512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최근 엔화 약세의 우리 수출 영향 1도토리 민준석
351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2년 중소기업·소상공인 정책금융 방향 1도토리 이지훈
3510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정부의 ESG 인프라 확충 정책 방향 1도토리 이지훈
350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최근 글로벌 안보환경 변화에 따른 국내 방위산업의 시사점과 향후 과제 1도토리 이지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