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반도체_코로나보다 무서운 도시 봉쇄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이지훈 조회수 125
용량 1.09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반도체_코로나보다 무서운 도시 봉쇄.pdf 1.09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5-09 
출처 : 증권사 
페이지 수 :

What’s New: DRAM 현물가 하락세 지속 지난 주에도 DRAM 현물가는 제품별로 0.3%~0.6% 하락세를 이어감. DXI 지수도 -0.5% 를 기록하며 하락폭이 확대됨. 주요 기업들의 실적발표가 마무리된 가운데 FOMC 의 50bp 인상 발표와 추가 인상 우려로 인해 테크 섹터의 주가가 높은 변동성을 보임. (주간 주가: 나스닥 -3.1%, SOXX-1.2%, 애 플 -0.2%, 아마존 -7.7%, 테슬라 -0.6%, 엔비디아 +0.7%, 인텔 +1.6%, AMD +11.5%, 브로드컴 +4.6%, ASML -4.3%, KLA +3.8%, 삼성전자 +2.6%, SK 하이닉스 -1.8%, WDC +12%, 마이크론 +3.2%) 코로나보다 무서운 도시 봉쇄 두 달 째 이어진 DRAM 현물가 하락세는 5 월과 6 월에도 지속될 전망. 이에 2 분기 메모리 고정거래가격도 하락이 예상됨. 주요 제품인 DDR4 8G 제품은 지난 한 달간 약 6~10% 하 락했으며, DDR3 칩도 충분하지 않은 공급에도 불구하고 7%가량 하락. 공정 난이도 상승으 로 DRAM 의 생산량 증가는 제한적이지만, 세트 업체들은 중국 도시 봉쇄에 따른 불확실성 으로 사태를 관망 중. 중국 쿤산시는 코로나로 인한 봉쇄를 완화하며 5 월 초부터 가동을 재개할 것으로 발표. 이 에 따라 약 한 달간 폐쇄되었던 위스트론, 컴팔, 자이언트, 위슨 등 528 개 업체가 업무에 복귀. 다만, 지역 공급망은 5 월 중순내지는 말경이 되어야 정상화될 전망. 하지만, 인력 차질과 물류 정체 등으로 생산능력의 30~50%만 복구된 상태이며 육상과 해 상 운임 가격 모두 급등했다고 밝힘. 운전자 부족으로 육상 운임이 수 배에서 최대 10 배 이 상까지 상승한 것으로 파악됨. 해상 운임 또한 중국 도시 봉쇄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영향으로 상하이항 입항을 기다리는 화물선이 전월비 34% 상승한 344 척 규모에 달하며 중국에서 미국까지 배송되는 기간도 전년비 74 일 증가. So What 코로나보다 중국의 도시 봉쇄와 그 여파가 더 무섭다. 그럼에도 반도체 업체들의 하반기 전 망은 여전히 긍정적인 경우가 우세했다. 주가도 이처럼 혼재된 상황과 전망에 따라 높은 변 동성을 보였다. 시장이 현재 진행 중인 많은 악재를 반영한 것은 맞지만, 대외적 불확실성 이 해결되지 않는다면 답답한 국면이 길어질 수도 있다. 결국 불확실한 전망에 기대 너무 멀리보기 보다는 조금 더 가시성이 있는 데이터에 집중해야 한다. 따라서, 이번주 발표되는 중국과 미국의 물가 지표는 반드시 점검해야 한다. 또한, 불확실한 하반기보다는 그래도 가시성이 어느 정도 있는 2 분기에 실적 개선 가능성이 높은 기업들이 최소한 단기적으로는 나아 보인다. 빅테크나 TI, 인텔 같은 업체들보다는 메모리와 파운드리 업체, 그리고 AMD와 퀄컴 등에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52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음식료 산업_불확실성의 대안, 필수소비재의 차례가 왔다 7도토리 이지훈
3527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경제 패러다임의 전환에 따른 기업 혁신지원정책 고도화 방안 7도토리 이지훈
352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가속화에 따른 ICT산업의 신성장전략 7도토리 이지훈
352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 섬유와 제지산업의 탄소중립 추진 전략 및 정책과제 7도토리 이지훈
352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 시멘트산업의 탄소중립 추진 전략 및 정책과제 7도토리 이지훈
352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반도체, 디스플레이산업의 탄소중립 추진전략 및 정책 과제 7도토리 이지훈
3522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한국 경제의 장기 성장 둔화 및 원인 7도토리 이지훈
3521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분석] 바이오산업 성장동력화를 위한 정책 거버넌스 체계 개선 방안 9도토리 이지훈
3520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베트남 진출 기업의 글로벌 무역패턴 분석 7도토리 이지훈
351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서비스기업의 R&D 실태와 정책과제 7도토리 이지훈
3518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글로벌 디지털 무역협정 동향 및 지식재산 이슈 3도토리 국준아
3517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50 미래 우주 공간 활용_英 국가우주전략의 새로운 기회 및 위협 3도토리 국준아
3516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국가 안보를 위한 인공지능(AI) 및 3대 전략 기술 3도토리 국준아
351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한미 양국의 교수 창업 제도 비교 및 시사점 1도토리 이지훈
3514 생명공학/바이오 [시장동향] 디지털 치료제의 특허법적 보호 동향 및 과제 7도토리 이지훈
3513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글로벌 공급망 위기와 우리 기업의 대응현황 1도토리 민준석
3512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최근 엔화 약세의 우리 수출 영향 1도토리 민준석
351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2년 중소기업·소상공인 정책금융 방향 1도토리 이지훈
3510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정부의 ESG 인프라 확충 정책 방향 1도토리 이지훈
350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최근 글로벌 안보환경 변화에 따른 국내 방위산업의 시사점과 향후 과제 1도토리 이지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