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정책동향] 美 CBDC 정책 최근 동향: 관망에서 가장 시급으로 입장 변화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나혜선 조회수 112
용량 2.39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정책동향] 美 CBDC 정책 최근 동향_관망에서 가장 시급으로 입장 변화.pdf 2.39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4-11 
출처 : 정보통신정책연구원 
페이지 수 : 26 

< 목 차 >

 

1. 개요

2. 주요내용

3. 시사점

 


 

2022년 미국정부는 향후 디지털 달러의 설계방향을 짐작해볼 수 있는 CBDC 정책논의 보고서, 기술 보고서 및 행정명령을 각각 발표 ▶ 2022년 1월 20일 연방준비제도이사회는 “화폐와 지급결제: 디지털 전환 시대의 미국 달러”라는 보고서를 발간하고 CBDC 도입에 대한 공식적인 의견 수렴을 시작 ▶ 2022년 2월3일 Boston Fed와 MIT Digital Currency Initiative는 CBDC 프레임을 기술적으로 설계하고 테스트한 “Hamilton Project 1단계” 공동 연구 보고서를 발표 ▶ 2022년 3월9일 바이든 대통령은 행정명령을 통해 관련 부처가 CBDC, 암호화폐 등 디지털 자산에 대한 보고서를 발간하고 신속하게 규제 및 정책 방향을 모색하도록 지시 ◈ 이들 보고서는 CBDC에 대한 미국의 입장이 관망에서 최고의 시급성(highest urgency)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시사 ▶ 민간 디지털 화폐인 스테이블코인이 급부상하면서 자산과 통화의 디지털화라는 금융 패러다임 변화의 문맥에서 디지털 달러를 고려하기 시작 ▶ CBDC가 국제 기축통화와 결제 수단으로서의 달러의 지위, 지정학적인 경쟁, 그리고 국가 안보까지 영향을 미치는 중대한 사안으로 인식 ◈ 본고는 올해 초 미국에서 발표된 세 가지 주요한 CBDC 보고서의 내용과 이들 보고서가 향후 미국의 CBDC 정책 방향에 주는 시사점을 모색 개 요 2 AI TREND WATCH [최근 CBDC 정책과 배경] ◈ (정책 발표) 2022년 초 미국정부는 디지털 달러와 관련된 “정책 보고서, 기술 보고서 및 행정명령”을 발표 ▶ (정책) 2022년 1월 20일 연방준비제도이사회는 “화폐와 지급결제: 디지털 전환 시대의 미국 달러”라는 보고서를 발간하고 CBDC 도입에 대한 공식적인 의견 수렴을 시작2) - 디지털 달러로부터 발생하는 잠재적인 혜택과 위험을 검토하고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보고서로서 처음으로 미국 CBDC에 대한 논의를 시작하기 위해 발표되었으며 120일간 공공협의(public consultation)를 통해 의견과 제안을 수렴할 계획 - 2021년 여름에 발표될 예정이었으나 몇 차례 연기된 후 올해 1월에 최종 발표 - 당초 CBDC 도입 타당성이나 정책 대안을 심도있게 분석한 보고서가 기대되었으나 예상과 달리 CBDC의 필요성을 원론적인 수준에서 검토한 짧은 보고서로 발간 - CBDC 도입의 필요성에 대해 연방준비제도 이사들간 의견이 상이했고 도입방식에 대해서도 각계에서 다양한 의견이 존재하고있었기3) 때문에 원론적인 수준에서 공식적인 논의를 시작한 것으로 추측 ▶ (기술) 동년 2월3일에 Boston Fed와 MIT Digital Currency Initiative는 CBDC 프레임을 기술적으로 설계하고 테스트한 “Hamilton Project 1단계” 공동 연구를 발표4) - 2020년 8월부터 시작된 공동연구는 디지털 화폐 플랫폼을 구축하고 그 성능을 실험하였는데 기존의 결제 기술뿐만 아니라 암호화폐에 이용되는 새로운 기술을 적용 - 1단계에서는 속도와 안전 및 회복탄력성과 개인정보보호와 같은 필요 최소한의 정책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 CBDC 프레임워크를 구축하고 시험 - 2단계에서는 다양한 기능을 추가하고 아키텍쳐를 구축하여 기술적 트레이드오프를 평가하고 이들이 CBDC 설계의 목표에 어떤 영향을 줄지 살펴볼 계획 - 연구결과는 외부 이용자나 기관도 다양하게 시험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오픈 소스로 공개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52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음식료 산업_불확실성의 대안, 필수소비재의 차례가 왔다 7도토리 이지훈
3527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경제 패러다임의 전환에 따른 기업 혁신지원정책 고도화 방안 7도토리 이지훈
352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가속화에 따른 ICT산업의 신성장전략 7도토리 이지훈
352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 섬유와 제지산업의 탄소중립 추진 전략 및 정책과제 7도토리 이지훈
352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 시멘트산업의 탄소중립 추진 전략 및 정책과제 7도토리 이지훈
352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반도체, 디스플레이산업의 탄소중립 추진전략 및 정책 과제 7도토리 이지훈
3522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한국 경제의 장기 성장 둔화 및 원인 7도토리 이지훈
3521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분석] 바이오산업 성장동력화를 위한 정책 거버넌스 체계 개선 방안 9도토리 이지훈
3520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베트남 진출 기업의 글로벌 무역패턴 분석 7도토리 이지훈
351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서비스기업의 R&D 실태와 정책과제 7도토리 이지훈
3518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글로벌 디지털 무역협정 동향 및 지식재산 이슈 3도토리 국준아
3517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50 미래 우주 공간 활용_英 국가우주전략의 새로운 기회 및 위협 3도토리 국준아
3516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국가 안보를 위한 인공지능(AI) 및 3대 전략 기술 3도토리 국준아
351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한미 양국의 교수 창업 제도 비교 및 시사점 1도토리 이지훈
3514 생명공학/바이오 [시장동향] 디지털 치료제의 특허법적 보호 동향 및 과제 7도토리 이지훈
3513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글로벌 공급망 위기와 우리 기업의 대응현황 1도토리 민준석
3512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최근 엔화 약세의 우리 수출 영향 1도토리 민준석
351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2년 중소기업·소상공인 정책금융 방향 1도토리 이지훈
3510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정부의 ESG 인프라 확충 정책 방향 1도토리 이지훈
350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최근 글로벌 안보환경 변화에 따른 국내 방위산업의 시사점과 향후 과제 1도토리 이지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