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기술동향] MIV(MPEG Immersive Video) 표준기술 개발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나혜선 조회수 147
용량 395.55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기술동향] MIV(MPEG Immersive Video) 표준기술 개발동향.pdf 395.55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3-23 
출처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페이지 수 :

II. 기술의 개념 및 내용 스마트공장, 재난안전 등과 같이 다종의 대용량 시계열 데이터들이 발생하는 실제 산업 현장에서는 밀리초(ms), 나노초(ns) 단위로 발생되는 시계열 데이터에 대한 고속 이벤트 처리가 요구되지만, 현재 IoT 디바이스의 컴퓨팅 능력의 한계로 서비스 적용에 제약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기술은 다양한 스트림 데이터들의 통합 처리 및 분석을 위해 하드웨어의 성능에 따라 파이프라인을 구성 및 관리를 하는 기술임 - 데이터 스트림 처리 파이프라인 구성 ※ 데이터 처리 및 분류 기능 ※ 데이터 스트림 처리 파이프라인 구성 개발자 유틸리티 제공 - 다중 시계열 데이터의 이벤트 복합 분석 ※ 복합 분석을 위한 기능 동적 설정 및 실행 - 대용량 시계열 데이터의 고속 처리 및 분석 III. 국내외 기술 동향 및 경쟁력 1. 기술의 특성 및 성능 선별적 데이터 접근, 분석, 연계 기능을 연결하는 플로우 관리를 기반으로 안정적인 프로 세싱을 보장하고, 특정 데이터 파티션에 대한 분석 기능을 제공 데이터 분석은 실시간 스트리밍 처리뿐 아니라, 대규모 데이터의 배치처리, 시간-이벤트 연관성을 고려한 복합 분석 기능을 제공 [그림 1] 기술개념도 주간기술동향 2022. 3. 23. 34 www.iitp.kr 2. 경쟁기술/대체기술 동향 및 현황 포스코는 세계 최초로 철강연속공정의 특성을 반영한 스마트공장 플랫폼 ‘포스트프레임’ 을 자체 개발하여 스마트공장을 구축 LG CNS는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기반의 예측기술을 활용한 ‘Smart Factory 2.0’을 개발 하여 제조 분야에서 에너지, 안전, 보안 서비스를 제공 삼성SDS는 인공지능(AI) 기반 개발, 생산, 품질, 운영 등 제조 전 과정을 통합 처리할 수 있는 스마트공장 토탈 솔루션 ‘넥스플랜트’를 출시 KT는 반월시화와 창원산업단지의 기업 300곳을 대상으로 클라우드 기반 솔루션과 빅데 이터 분석 서비스를 제공 3. 우수성 및 차별성 4. 표준화 동향 최근에는 컴퓨터 전체를 가상화하는 가상머신에 비해 오버헤드가 적은 컨테이너 기술이 주목 받고 있으며, 가상머신과 마찬가지로 컨테이너도 컨테이너 내부에 저장되는 소프트 웨어를 담고 있는 파일들을 패키징할 수 있는 포맷이 필요한데, 가상머신의 OVF에 해당 하는 표준이 OCI(Open Container Initiative)임 OCI는 컨테이너 포맷과 런타임에 대한 개방형 업계 표준을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Linux Foundation의 지원으로 구성된 오픈 거버넌스 조직(프로젝트)으로, Docker사와 CoreOS 사가 각각 별도로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던 컨테이너의 규격을 통일하는 것을 목적으로 Docker, CoreOS 그리고 AWS, Google, Microsoft, IBM 등 주요 플랫폼 벤더가 참여 하여 2015 년 6 월에 발족하였으며, 2년 후인 2017년 7월에 컨테이너 런타임과 컨테이 너 이미지의 첫 번째 표준인 “OCI v1.0”을 발표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52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음식료 산업_불확실성의 대안, 필수소비재의 차례가 왔다 7도토리 이지훈
3527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경제 패러다임의 전환에 따른 기업 혁신지원정책 고도화 방안 7도토리 이지훈
352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가속화에 따른 ICT산업의 신성장전략 7도토리 이지훈
352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 섬유와 제지산업의 탄소중립 추진 전략 및 정책과제 7도토리 이지훈
352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 시멘트산업의 탄소중립 추진 전략 및 정책과제 7도토리 이지훈
352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반도체, 디스플레이산업의 탄소중립 추진전략 및 정책 과제 7도토리 이지훈
3522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한국 경제의 장기 성장 둔화 및 원인 7도토리 이지훈
3521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분석] 바이오산업 성장동력화를 위한 정책 거버넌스 체계 개선 방안 9도토리 이지훈
3520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베트남 진출 기업의 글로벌 무역패턴 분석 7도토리 이지훈
351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서비스기업의 R&D 실태와 정책과제 7도토리 이지훈
3518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글로벌 디지털 무역협정 동향 및 지식재산 이슈 3도토리 국준아
3517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50 미래 우주 공간 활용_英 국가우주전략의 새로운 기회 및 위협 3도토리 국준아
3516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국가 안보를 위한 인공지능(AI) 및 3대 전략 기술 3도토리 국준아
351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한미 양국의 교수 창업 제도 비교 및 시사점 1도토리 이지훈
3514 생명공학/바이오 [시장동향] 디지털 치료제의 특허법적 보호 동향 및 과제 7도토리 이지훈
3513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글로벌 공급망 위기와 우리 기업의 대응현황 1도토리 민준석
3512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최근 엔화 약세의 우리 수출 영향 1도토리 민준석
351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2년 중소기업·소상공인 정책금융 방향 1도토리 이지훈
3510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정부의 ESG 인프라 확충 정책 방향 1도토리 이지훈
350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최근 글로벌 안보환경 변화에 따른 국내 방위산업의 시사점과 향후 과제 1도토리 이지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