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기술동향] 메타버스 시대를 위한 고성능 병렬컴퓨팅 기술개발 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황세영 조회수 133
용량 820.7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기술동향] 메타버스 시대를 위한 고성능 병렬컴퓨팅 기술개발 동향.pdf 820.7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4-27 
출처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페이지 수 : 11 

스마트폰과 IoT 기기의 보급 확산 및 클라우드 기술 발전과 더불어 빅데이터 기술, 디지털 트윈, XR 콘텐츠 등 미래 ICT 시대를 위한 방대한 양의 데이터 연산 처리와 데이터 전송을 위한 엣지 컴퓨팅 기술이 요구됨에 따라 고성능 병렬컴퓨팅 기술 개발에 대한 연구가 가속화 되고 있다. 이에 기존의 CPU 및 GPU와 함께 인공지능 기능 등이 포함된 프로세서가 최근 발표되며 메타버스 시대에 필요한 고성능·고효율 컴퓨팅 기술의 도입이 진행 중에 있다. 닐 스티븐슨(Neal Stephenson)의 SF 소설에서 처음 사용된 이후로 메타버스(Metaverse) 라는 용어는 최근 전 세계 수십억 명의 사람들이 동시적으로 연결된 가상 및 증강 현실 환경 에서 주목받는 디지털 시대를 열어가고 있다. 인터넷과 모바일 환경의 차세대 플랫폼으로 성장해 나가며 4차 산업혁명으로의 대전환과 메타버스 시대를 위해 필요한 고품질 그래픽 연산, 매우 높은 대역폭과 지연속도(latency)가 짧은 데이터 전송, 실시간 시뮬레이션과 랜 더링, 캡처 센서 데이터 처리 등 대용량, 대규모 컴퓨팅을 위해서는 기존의 컴퓨팅, 스토리지, 네트워크 인프라와 컴퓨팅 시스템의 한계를 넘는 강력한 차세대 고성능 분산형ㆍ병렬 컴퓨 팅이 요구된다. CGI 분야를 선도하고 있는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Pixar의 Renderman 24는 CPU/GPU (Graphic Process Unit) 랜더링 기술인 Renderman XPU를 공개하였다. 많은 아티스트가 이용하고 있는 Arnold Renderer는 대부분 CPU 기반이고, Redshift는 GPU 기반이며, V-Ray의 하이브리드 CPU/GPU 렌더링 시스템은 프로덕션 랜더러가 아닌 대화형 랜더러에 * 본 내용은 최동혁 부교수(☎ 051-320-2078, artistar@gdsu.dongseo.ac.kr)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본 내용은 필자의 주관적인 의견이며 IITP의 공식적인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메타버스 시대를 위한 고성능 병렬컴퓨팅 기술개발 동향 Chapter 02 주간기술동향 2022. 4. 27. 16 www.iitp.kr 서만 가능하였기 때문에, [그림 1]과 같이 Renderman의 XPU 렌더링 기술의 빠르고 정확 한 실시간 Ray Tracing 기술은 애니메이션과 VFX 영화를 비롯하여 게임 엔진과 메타버스 관련 산업에서 크게 주목받고 있다. 이에 본 고에서는 최근 발표되고 있는 고성능 병렬컴퓨 팅 기술개발 동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II. 고성능 병렬 컴퓨팅이란 데이터를 처리하는 가장 대표적인 반도체는 중앙처리장치(CPU)이다. CPU는 명령어가 입력된 순서대로 데이터를 처리하는 직렬 방식으로 연산한다. CPU 내 캐시 메모리를 두고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불러와 빠르게 처리하도록 돕는다. 문서작업 등 일상생활 속 작업을 빠르게 수행하도록 설계되었다. 하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계산을 여러 개로 나누어 각각 을 다수의 처리 장치 프로세서에 맡기는 계산 방식으로 프로그램의 계산량이 클 때 프로그램 의 실행시간을 줄이기 위해 이용한다. GPU는 PC 등의 컴퓨터 그래픽 연산을 보조하는 역할로 사용되어 오다가 사진, 오디오 및 비디오 등의 다양한 형태의 멀티미디어 활용 증가로 인해 역할이 크게 중요해졌다. GPU 는 수천 개의 스레드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수백 개의 코어로 병렬 처리 방식에 특화된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52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음식료 산업_불확실성의 대안, 필수소비재의 차례가 왔다 7도토리 이지훈
3527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경제 패러다임의 전환에 따른 기업 혁신지원정책 고도화 방안 7도토리 이지훈
352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가속화에 따른 ICT산업의 신성장전략 7도토리 이지훈
352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 섬유와 제지산업의 탄소중립 추진 전략 및 정책과제 7도토리 이지훈
352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 시멘트산업의 탄소중립 추진 전략 및 정책과제 7도토리 이지훈
352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반도체, 디스플레이산업의 탄소중립 추진전략 및 정책 과제 7도토리 이지훈
3522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한국 경제의 장기 성장 둔화 및 원인 7도토리 이지훈
3521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분석] 바이오산업 성장동력화를 위한 정책 거버넌스 체계 개선 방안 9도토리 이지훈
3520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베트남 진출 기업의 글로벌 무역패턴 분석 7도토리 이지훈
351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서비스기업의 R&D 실태와 정책과제 7도토리 이지훈
3518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글로벌 디지털 무역협정 동향 및 지식재산 이슈 3도토리 국준아
3517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50 미래 우주 공간 활용_英 국가우주전략의 새로운 기회 및 위협 3도토리 국준아
3516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국가 안보를 위한 인공지능(AI) 및 3대 전략 기술 3도토리 국준아
351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한미 양국의 교수 창업 제도 비교 및 시사점 1도토리 이지훈
3514 생명공학/바이오 [시장동향] 디지털 치료제의 특허법적 보호 동향 및 과제 7도토리 이지훈
3513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글로벌 공급망 위기와 우리 기업의 대응현황 1도토리 민준석
3512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최근 엔화 약세의 우리 수출 영향 1도토리 민준석
351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2년 중소기업·소상공인 정책금융 방향 1도토리 이지훈
3510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정부의 ESG 인프라 확충 정책 방향 1도토리 이지훈
350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최근 글로벌 안보환경 변화에 따른 국내 방위산업의 시사점과 향후 과제 1도토리 이지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