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정책분석] 美 상무부, 정보통신기술(ICT) 산업 공급망 평가 및 지원책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정한솔 조회수 39
용량 526.43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정책분석] 美 상무부, 정보통신기술(ICT) 산업 공급망 평가 및 지원책.pdf 526.43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3-11 
출처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페이지 수 : 13 

Ⅰ 개요 1. 배경 v 정보통신기술(ICT) 산업은 사회를 연결하고 혁신하고 보호하기 위해 개인, 산업체 및 정부가 의존하는 기술을 생산함으로써 경제 및 국가 안보에 중요 역할을 함 n 그러나 COVID-19 대유행과 관련된 혼란으로 인해 핵심 ICT 제품 가용성과 ICT 산업 전체의 탄력성을 감소시키는 미국 및 글로벌 ICT 공급망의 구조적 취약성이 드러남 v 이러한 문제와 다른 주요 산업의 공급망 중단에 대응하여 2021년 2월 24일 바이든 대통령은 6개의 핵심 산업의 탄력적이고 안전한 공급망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미국 공급망 행정 명령(E.O. 140171))을 발표 n 행정명령은 미국 ICT 산업 기반의 중요 부문 및 하위 부문 공급망에 대한 1년간 평가를 상무부 장관과 국토 안보부 장관이 주도하여 진행하도록 상무부 및 국토 안보부에 지시 n 이에 따라, 상무부와 국토 안보부는 통신 하드웨어, 컴퓨팅 및 데이터 저장 하드웨어, 최종 사용자 장치, 그리고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를 포함한 중요 소프트웨어를 지원하는 공급망 평가서를 발표 2. 요약 v 현재의 ICT 공급망에 대한 평가서는 ICT 산업을 혼란에 빠뜨릴 위협하는 몇 가지 위험을 식별n 많은 제품 범주에서 ICT 산업과 더 넓은 경제를 혼란에 빠뜨릴 수 있는 자국 내 생산 능력 부족, 단일 소스 및 지역 공급업체에 대한 과도한 의존, 강력한 사이버 보안 관행의 제한된 사용, 국내 인력에 대한 과소 투자를 포함 등 여러 위협 요소가 아직 해결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음v 더욱 안전하고 탄력적인 ICT 공급망을 촉진하고, 평가서에 설명된 장기 전략을 구현하기 위해 정부와 업계 이해 관계자의 상당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1) https://www.whitehouse.gov/briefing-room/presidential-actions/2021/02/24/executive-order-on-americas-supply-chains/ 6 Ⅱ ICT 산업 공급망 개선을 위한 상무부 조치 v 포괄적인 접근 방식 보완을 위해 미 상무부는 다음과 같은 즉각적인 조치를 취하고 있음1. 미국 ICT 제조업 기지 활성화 v 미국 ICT 제품 생산이 단일 지역, 소수 국가 또는 소수의 제조업체에 의존하는 현 상황을 해결하려면 국내 제조 생태계를 활성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 n 상무부 장관은 업계 이해 관계자와 협의하여 국내 ICT 생태계를 강화하고 미국 ICT 공급망 전반의 탄력성 구축을 위해 미국 제조역량 투자에 전념 가. 제조 보안 및 복원 사무소 (Office of Manufacturing Security and Resiliency) v ICT 부문의 국내 공급망의 격차를 모니터링 및 매핑하고 필수 역량을 재구축하기 위한 투자를 승인하는 America COMPETES Act의 통과를 위해 상무부는 하원과 협력 v 상무부는 상원과도 유사한 프로그램을 승인하는 미국 혁신 및 경쟁법(USICA)을 통과를 위해 협력하였으며, 최종 승인을 위한 의회 노력을 지원 나. Build Back Better Region Challenge Investments (BBBBC) v 경제 개발청(EDA)은 10억 달러 규모의 더 나은 지역 재건 경연(BBBBC)을 통해 경제 성장과 제조 능력 육성을 위해 COVID-19 전염병의 영향을 받는 지역사회에 적극적으로 투자n 2021년 12월 13일, EDA는 지역 산업 부문 개발 및 확장, 노동력 개발 및 훈련, 탄력적인 경제를 구축을 위한 프로젝트를 제안한 60개의 1단계 결선 진출자를 발표 - 각 결선 진출자는 제안된 프로젝트를 발전시키기 위해 약 각각 $500,000을 수여 받음n 결선 진출자 중 14팀은 ICT 인력 개발 및 첨단 제조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BBBRC 프로그램 2단계에서 2,500만~1억 달러의 추가 자금 확보를 위해 경쟁할 예정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739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완전자율주행을 위한C-V2X의 표준 및 미래 전망 및 생태계 1도토리 조현상
3738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글로벌 기업들의 케냐 창업생태계 진출 확대 1도토리 조현상
3737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베트남 스마트 팩토리에 대한 동향 1도토리 조현상
373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실리콘밸리, 글로벌 혁신주도권 변화 움직임 및 2022년도 Q2 테크 기업 마켓 전망 1도토리 조현상
373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디지털 전환의 미래사회 위험이슈 및 대응 전략, 인공지능 역기능을 중심으로 3도토리 조현상
373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전략 1도토리 이지훈
373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사업체 규모별 청년 고용의 분포적 특성과 시사점 1도토리 이지훈
373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국내 제조업의 혁신투자 1도토리 이지훈
3731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2022년 소상공인 보증공급 정책 방향 1도토리 오민아
3730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기준금리 상승이 주요 제조업에 미치는 영향 및 시사점 1도토리 오민아
372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시니어 기술창업 실태와 활성화 방안 1도토리 오민아
372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대전환 시대 탄력적 글로벌가치사슬(GVC) 구축 및 한국에 대한 시사점 3도토리 오민아
3727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빅데이터 이용 활성화를 통한 한국관광 발전 1도토리 오민아
372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글로벌 공급망을 둘러싼 대외 여건 변화와 대응 방안 1도토리 오민아
3725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빅데이터 시대의 효율적 플랫폼 정부 방안 1도토리 오민아
3724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유로지역 국채 스프레드 변동성 확대 배경과 전망 1도토리 오민아
372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50가지 키워드로 본 한국 디자인 진흥 50년 7도토리 오민아
3722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천연가스 공급차질관련 독일경제 리스크 평가 1도토리 오민아
3721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EU 이사회,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합의안 주요 내용 1도토리 오민아
3720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글로벌 백신 공급망과 수출 동향 1도토리 오민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