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독일 재생에너지 확대 가속화 정책(부활절 패키지) 및 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황세영 조회수 65
용량 561.86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독일 재생에너지 확대 가속화 정책(부활절 패키지) 및 동향.pdf 561.86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4-22 
출처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페이지 수 : 16 

Ⅰ 개요 v 독일 연방 내각은 ’22.4.6. 연방경제기후보호부가 제안한 재생 에너지 확대 가속화 내용을 담은 “부활절 패키지(Osterpaket)” 개정안을 통과시킴 v 연방경제기후보호부 장관은 재생에너지 개발 가속화 필요성을 강조하며 2030년까지 총 전력소비 중 재생에너지 비율을 거의 두 배(80%)로 늘릴 것이라고 발표v 2035년까지는 전력을 100% 재생에너지로 조달한다는 내용 포함 n 태양광 발전의 확장을 위한 새로운 위치 제공, 육상 풍력 및 태양광 발전에 대한 지방 정부의 참여 확대, 풍력이 취약한 곳의 개발 확대 및 태양광 지붕 시스템 확장을 위한 기본 조건 개선 관련 조치들이 실림 n 이 패키지는 수십 년 만에 최대의 에너지 관련 법 개정이며 가장 빠른 속도로 이루어지는 개혁임 v 이 패키지는 총 500페이지가 넘는 광범위한 법률 패키지로, 연정 협약서의 에너지 정책 중 많은 부분이 실행될 예정 n 이는 기후 위기가 심각해지고 있다는 것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화석연료의 단계적 폐지와 재생에너지 확대 추진의 중요성을 보여줌. 따라서 이제 재생에너지는 국가 안보 문제로 대두되고 있음 n 또한 재생에너지 사용은 공공의 이익에 기여한다는 원칙도 개정안에 담겨있음 Ⅱ 주요 정책 내용 1. 재생에너지법(EEG) 가.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비율을 80%로 확대 v ’21년 총 전력 소비에서 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은 약 42%에 불과했으므로 10년 이내에 그 비중을 거의 두 배로 늘려야 함 v 재생에너지의 확장은 화석연료 수입을 더 빠르게 줄이고, 특히 천연가스 수입에 대한 의존도를 줄임 v 따라서 2030년에는 약 600TWh의 재생에너지로 전기를 공급할 것으로 예상나. 재생에너지 우선권 v 모든 법적 영역에서 재생에너지 확장을 가속화하기 위해 재생에너지법에는 재생에너지 사용이 최우선적인 공공의 안전을 위한 것이라는 원칙을 확립하고 있음. 따라서 온실가스 중립이 달성될 때까지 재생에너지를 우선순위화 해야할 필요다. 2030년 새로운 확장 목표에 대한 증설량 조정 v 2030년 80% 새로운 목표 달성을 위해 확장 목표를 크게 늘릴 것임 n 육상 풍력발전의 경우 연간 증설률을 10GW 수준으로 높여 2030년까지 총 115GW에 달하는 육상 풍력 발전소 설치 필요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71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미국 수출통제 제도 심층 분석과 시사점 3도토리 오민아
371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일본의 재생에너지 확대 전략 분석 및 시사점 7도토리 오민아
371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JP모건의 메타버스 비즈니스 전략 및 시사점 1도토리 오민아
371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글로벌 은행들의 초개인화 뱅킹 사례와 시사점 1도토리 안소영
371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항공운송 및 후방산업 격리의무 완화에 따른 수혜업종 전망 1도토리 안소영
371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글로벌 PE사의 사업다각화 사례와 시사점 1도토리 안소영
371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주요 양식어류 수급전망 고도화를 위한 모형 구축 연구 7도토리 안소영
370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글로벌 수산물 수출 경쟁우위 및 결정요인 분석 7도토리 안소영
3708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에 관련하여 항만에서 대응방안 연구 7도토리 안소영
3707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메타버스 기반 공공 서비스 및 공간정보 분야의 역할 3도토리 안소영
3706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스탠포드 「AI 인덱스 2021」을 통해 본AI 지표 조사의 변화 방향 3도토리 안소영
370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EU집행위원회 클라우드 합의문과 얼라이언스 1도토리 안소영
370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미국 알고리즘에 관한 책임법안 발의 1도토리 안소영
3703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OECD 인공지능 시스템 분류 프레임워크 분석과 시사점 3도토리 안소영
3702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알고리즘 영향평가 모델 사례(영국 헬스케어 분야) 3도토리 안소영
3701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민간 클라우드(SaaS) 이용사례 7도토리 안소영
3700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클라우드를 위한 제로 트러스트 보안 3도토리 안소영
3699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제로 트러스트를 기반으로 보안 실현을 위한 6x2 아키텍처 1도토리 안소영
369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디지털 전환 시대, NIA가 전망한 환경 변화 13대 핫이슈 1도토리 장민환
369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ARK 인베스트를 통해 본 디지털 전환 방향 7도토리 장민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