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독일 재생에너지 확대 가속화 정책(부활절 패키지) 및 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황세영 조회수 67
용량 561.86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독일 재생에너지 확대 가속화 정책(부활절 패키지) 및 동향.pdf 561.86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4-22 
출처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페이지 수 : 16 

Ⅰ 개요 v 독일 연방 내각은 ’22.4.6. 연방경제기후보호부가 제안한 재생 에너지 확대 가속화 내용을 담은 “부활절 패키지(Osterpaket)” 개정안을 통과시킴 v 연방경제기후보호부 장관은 재생에너지 개발 가속화 필요성을 강조하며 2030년까지 총 전력소비 중 재생에너지 비율을 거의 두 배(80%)로 늘릴 것이라고 발표v 2035년까지는 전력을 100% 재생에너지로 조달한다는 내용 포함 n 태양광 발전의 확장을 위한 새로운 위치 제공, 육상 풍력 및 태양광 발전에 대한 지방 정부의 참여 확대, 풍력이 취약한 곳의 개발 확대 및 태양광 지붕 시스템 확장을 위한 기본 조건 개선 관련 조치들이 실림 n 이 패키지는 수십 년 만에 최대의 에너지 관련 법 개정이며 가장 빠른 속도로 이루어지는 개혁임 v 이 패키지는 총 500페이지가 넘는 광범위한 법률 패키지로, 연정 협약서의 에너지 정책 중 많은 부분이 실행될 예정 n 이는 기후 위기가 심각해지고 있다는 것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화석연료의 단계적 폐지와 재생에너지 확대 추진의 중요성을 보여줌. 따라서 이제 재생에너지는 국가 안보 문제로 대두되고 있음 n 또한 재생에너지 사용은 공공의 이익에 기여한다는 원칙도 개정안에 담겨있음 Ⅱ 주요 정책 내용 1. 재생에너지법(EEG) 가.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비율을 80%로 확대 v ’21년 총 전력 소비에서 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은 약 42%에 불과했으므로 10년 이내에 그 비중을 거의 두 배로 늘려야 함 v 재생에너지의 확장은 화석연료 수입을 더 빠르게 줄이고, 특히 천연가스 수입에 대한 의존도를 줄임 v 따라서 2030년에는 약 600TWh의 재생에너지로 전기를 공급할 것으로 예상나. 재생에너지 우선권 v 모든 법적 영역에서 재생에너지 확장을 가속화하기 위해 재생에너지법에는 재생에너지 사용이 최우선적인 공공의 안전을 위한 것이라는 원칙을 확립하고 있음. 따라서 온실가스 중립이 달성될 때까지 재생에너지를 우선순위화 해야할 필요다. 2030년 새로운 확장 목표에 대한 증설량 조정 v 2030년 80% 새로운 목표 달성을 위해 확장 목표를 크게 늘릴 것임 n 육상 풍력발전의 경우 연간 증설률을 10GW 수준으로 높여 2030년까지 총 115GW에 달하는 육상 풍력 발전소 설치 필요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539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메타버스 시대를 위한 고성능 병렬컴퓨팅 기술개발 동향 1도토리 황세영
3538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도시가스 디지털트윈 구축을 위한 BIM LOD 3D 구현 방안 1도토리 황세영
3537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유럽반도체법(A Chips Act for Europe) 1도토리 정한솔
353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도네시아의 광산업 동향 3도토리 정한솔
353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이스라엘의 기후기술 생태계 1도토리 정한솔
353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美 첨단 제조산업 지원을 위한 국가 프로그램 1도토리 정한솔
3533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美 상무부, 정보통신기술(ICT) 산업 공급망 평가 및 지원책 1도토리 정한솔
353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도의 전자상거래 산업 동향 1도토리 정한솔
353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美 에너지부, 중·대형 트럭 제로 배출(ZEV) 연구보고서 1도토리 정한솔
»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독일 재생에너지 확대 가속화 정책(부활절 패키지) 및 동향 1도토리 황세영
352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이스라엘 첨단 산업에서의 여성 참여 현황 1도토리 황세영
352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2년 中 게임산업을 이해하는 4가지 키워드 3도토리 정한솔
352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해외 콘텐츠기업 탐방 - 후어얼궈스차이티오우영상유한공사 1도토리 황세영
352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베트남 내 게임 출시 및 유통 현황, 법률체계 3도토리 황세영
352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태국 대중문화 콘텐츠에 나타나는 문화코드 - 드라마를 중심으로 1도토리 황세영
352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해외 콘텐츠기업 탐방 1도토리 황세영
352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저성장의 함정에 빠진 중국 콘텐츠시장 3도토리 황세영
352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2년 미국 비디오게임 산업 현황 및 전망 1도토리 정한솔
352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베트남 애니메이션 판권 수출입 동향 및 법률체계 3도토리 정한솔
3520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2022년 인도네시아 게임시장 동향 1도토리 정한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