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2022년 中 게임산업을 이해하는 4가지 키워드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정한솔 조회수 40
용량 2.74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2022년 中 게임산업을 이해하는 4가지 키워드.pdf 2.74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3-17 
출처 : 한국콘텐츠진흥원 
페이지 수 : 24 

< 목 차 >

 

2022년 중국 게임산업을 이해하는 4가지 키워드

1. 인포그래픽으로 본 중국 게임산업

2. 2021년 중국 게임산업 결산

3. 2022년 중국 게임산업을 이해하는 키워드

4. 한중 게임산업 비즈니스 활성화 및 교류 확대를 위한 제언

 


 

판호 발급 제한 : 2021 년 8 월부터 12 월까지는 발급 업무 전면 중단 Ÿ 2018 년부터 중국 당국이 판호 발급을 엄격히 관리함에 따라, 자국산 게임과 외산 게임 모두 신규 게임 유통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Ÿ 특히 2021 년에는 발급된 판호 전체 건수가 전년대비 50% 수준인 755 건(외산 판호 76 건)에 그쳤고, 8 월부터 연말까지는 판호 발급이 아예 중단됨 Ÿ 중국 게임공작위원회는 2021 년 3 분기 인터뷰에서 등급분류기준에 따른 연령등급 표기와 미성년자 보호, 중국문화 확산 등 몇 가지 이슈를 중심으로 판호 심사규정을 재정비하고 있다고 밝힘 [표-1] 중국의 게임 판호 발급 추이(2017~2021) 구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판호 총량(건) 9,368 2,064 1,570 1,405 755 중국 판호(건) 8,901 2,009 1,385 1,308 679 외산 판호(건) 467 55 185 97 76 외산 비율(%) 4.98 2.66 11.78 6.91 10.06 3 중국 콘텐츠 산업동향 (2022년 01호) Ÿ 이러한 표면적인 이유와 함께, 중국 당국은 관리감독이 힘들고 통계에 잡히지도 않는 수많은 써드파티 서비스업체들의 자진폐업과 사업청산을 유도하려는 의도를 갖고 있음 Ÿ 다수의 전문가들은, 궁극적으로 이러한 정책을 통해 중국 당국이 게임시장을 정화하여 통제 가능한 수준으로 유도하고자 한다고 주장함 청소년 보호를 위한 강력한 게임 이용 규제 발표 Ÿ 한국과 마찬가지로, 중국도 수년 전부터 청소년들의 게임 과몰입 현상에 대해 우려하는 목소리가 꾸준히 제기되었음 Ÿ 그동안 이용시간 제한과 실명인증 등 다양한 규제정책이 실시되었지만, 2021 년 8 월 30 일 국가신문출판서가 발표한 는 그야말로 ‘극약처방’이라는 평가를 받음 Ÿ 이에 대해 텐센트, 넷이즈, 퍼펙트월드 등 중국 주요 게임업체들은 정부 방침을 준수하겠다고 일제히 발표함 Ÿ 텐센트의 경우, 자사 게임 매출 중 미성년자로부터 나오는 비중이 미미하므로 신규 정책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을 것이라고 낙관 [표-2] 중국 정부가 2021년 8월 30일 발표한 주요 내용 분류 세부조항 미성년자 대상 게임 서비스 시간제한 - 모든 온라인게임 업체는 미성년자에게 매주 금­토­일요일 및 법정 공휴일 오후 8시부터 9시까지 1일 1시간만 온라인게임 서비스 제공 가능 온라인게임 이용자 계정의 실명 가입 및 로그인 필수 - 모든 온라인게임은 국가신문출판서의 온라인게임 중독 방지를 위한 실명인증 시스템을 도입해야 함 - 온라인게임 이용자는 유효한 신분정보로 게임 계정 가입 및 로그인을 진행해야 하며, 온라인게임 업체는 실명 가입 및 로그인을 하지 않은 이용자에게 게임 서비스(체험 서비스 포함) 제공 불가 2 제작/유통 활발하게 전개된 글로벌 진출 : 판호 발급 제한의 긍정적 여파 Ÿ 2021 년 중국이 자체 개발한 게임들이 해외시장에서 거둔 매출, 즉 수출액은 약 180 억 달러(1145 억 위안)를 기록했고, 이는 전년대비 16.6% 성장한 수치임 Ÿ 중국의 게임 수출액은 매년 안정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국내 게임산업 총매출액 증가율을 상회하는 수치를 보여주고 있음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71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미국 수출통제 제도 심층 분석과 시사점 3도토리 오민아
371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일본의 재생에너지 확대 전략 분석 및 시사점 7도토리 오민아
371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JP모건의 메타버스 비즈니스 전략 및 시사점 1도토리 오민아
371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글로벌 은행들의 초개인화 뱅킹 사례와 시사점 1도토리 안소영
371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항공운송 및 후방산업 격리의무 완화에 따른 수혜업종 전망 1도토리 안소영
371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글로벌 PE사의 사업다각화 사례와 시사점 1도토리 안소영
371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주요 양식어류 수급전망 고도화를 위한 모형 구축 연구 7도토리 안소영
370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글로벌 수산물 수출 경쟁우위 및 결정요인 분석 7도토리 안소영
3708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에 관련하여 항만에서 대응방안 연구 7도토리 안소영
3707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메타버스 기반 공공 서비스 및 공간정보 분야의 역할 3도토리 안소영
3706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스탠포드 「AI 인덱스 2021」을 통해 본AI 지표 조사의 변화 방향 3도토리 안소영
370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EU집행위원회 클라우드 합의문과 얼라이언스 1도토리 안소영
370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미국 알고리즘에 관한 책임법안 발의 1도토리 안소영
3703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OECD 인공지능 시스템 분류 프레임워크 분석과 시사점 3도토리 안소영
3702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알고리즘 영향평가 모델 사례(영국 헬스케어 분야) 3도토리 안소영
3701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민간 클라우드(SaaS) 이용사례 7도토리 안소영
3700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클라우드를 위한 제로 트러스트 보안 3도토리 안소영
3699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제로 트러스트를 기반으로 보안 실현을 위한 6x2 아키텍처 1도토리 안소영
369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디지털 전환 시대, NIA가 전망한 환경 변화 13대 핫이슈 1도토리 장민환
369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ARK 인베스트를 통해 본 디지털 전환 방향 7도토리 장민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