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베트남 내 게임 출시 및 유통 현황, 법률체계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황세영 조회수 57
용량 1.2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베트남 내 게임 출시 및 유통 현황, 법률체계.pdf 1.2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4-06 
출처 : 한국콘텐츠진흥원 
페이지 수 : 31 

Ⅰ. 베트남 내 게임 출시 및 유통 현황

1. 베트남 게임 출시 시장규모

2. 종류별 게임 출시 현황

3. 모바일 게임 출시 현황

4. e스포츠 게임 출시 현황

 

Ⅱ. 베트남 내 게임 출시 및 유통 관련 법률체계

1. 베트남 게임 산업 관련 공통 법률체계

2. 베트남 내 외래적인 게임 유통 및 출시 관련 법률체계

3. 베트남 내 온라인 게임 출시 허가증 발급 신청 절차

 

Ⅲ. 베트남 내 게임 출시 및 유통의 발전 기회 및 애로사항

1. 베트남 게임 산업의 잠재력 및 발전 동향

2. 베트남 내 외래적인 게임 출시 및 유통의 발전 기회 및 애로사항

 


 

1. 베트남 소프트웨어 출판시장 규모 |그림 1| 2011~2020 베트남 소프트웨어 출판 산업 자본금 ※출처 : GSO, VIRAC 자체 조사 1) 2013년 7월 15일 자 베트남 정부의 인터넷 서비스와 온라인 정보사용, 제공, 관리에 관하여 비디오 게임 종류 분류를 규정하는 제71/2013/ND-CP 제31조 1항에 따라 Game G1은 게임 서버를 통해 다중 플레이어가 상호 작용하는 비디오 게임 2) Game G2는 플레이어와 게임 서버만 상호 작용하는 비디오 게임 3) Game G3는 플레이어와 게임 서버 간의 상호 작용 없이 다중 플레이어 간 상호 작용하는 비디오 게임 4) Game G4는 플레이어와 플레이어 및 게임 서버 간의 상호 작용 없이 인터넷에서 다운로드 가능한 비디오 게임 베트남 콘텐츠 산업동향(2022년 2호) Ÿ 베트남 소프트웨어 산업은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애플리케이션 경영, 비디오 컴퓨터 게임 등 기성 소프트웨어 출판과 온라인 비디오 게임 출판 2 가지로 정의됨. 베트남 통계청5)에서 실시한 베트남 국내 게임업체 대상 2016~2020 년의 베트남 소프트웨어 산업 자본금에 대해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0 년 28 조 6,740 억 동에 도달, 성장률 102.1%를 기록함 |그림 2| 2016~2022 베트남 소프트웨어 출판 산업 자본금 ※출처 : GSO, VIRAC 자체 조사 Ÿ 베트남 통계청 2021 년 12 월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2020 년까지 베트남은 소프트웨어 출판 업체 2,043 개와 근로자 27,838 명을 보유하고 있으며, 2019 년에 비해 소프트웨어 출판 업체 수가 169 개 감소. 이러한 감소의 이유는 주로 코로나-19 의 악영향 때문. 이 산업의 투자 자본은 매우 커서 기업은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에게 높은 급여를 지급하면서 장비와 기계에 투자해야 함. 특히, 복잡한 코로나 전염병 상황에서 운영되는 중소기업은 유지할 자본이 충분하지 않아 해산 또는 파산하는 경우가 많았음 |그림 3| 2016~2022 베트남 소프트웨어 출판 산업 매출액 ※출처 : GSO, VIRAC 자체 조사 Ÿ 베트남 소프트웨어 산업 매출액은 2014 년부터 2020 년까지 계속적 증가해서 2020 년 15 조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739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완전자율주행을 위한C-V2X의 표준 및 미래 전망 및 생태계 1도토리 조현상
3738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글로벌 기업들의 케냐 창업생태계 진출 확대 1도토리 조현상
3737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베트남 스마트 팩토리에 대한 동향 1도토리 조현상
373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실리콘밸리, 글로벌 혁신주도권 변화 움직임 및 2022년도 Q2 테크 기업 마켓 전망 1도토리 조현상
373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디지털 전환의 미래사회 위험이슈 및 대응 전략, 인공지능 역기능을 중심으로 3도토리 조현상
373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전략 1도토리 이지훈
373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사업체 규모별 청년 고용의 분포적 특성과 시사점 1도토리 이지훈
373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국내 제조업의 혁신투자 1도토리 이지훈
3731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2022년 소상공인 보증공급 정책 방향 1도토리 오민아
3730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기준금리 상승이 주요 제조업에 미치는 영향 및 시사점 1도토리 오민아
372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시니어 기술창업 실태와 활성화 방안 1도토리 오민아
372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대전환 시대 탄력적 글로벌가치사슬(GVC) 구축 및 한국에 대한 시사점 3도토리 오민아
3727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빅데이터 이용 활성화를 통한 한국관광 발전 1도토리 오민아
372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글로벌 공급망을 둘러싼 대외 여건 변화와 대응 방안 1도토리 오민아
3725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빅데이터 시대의 효율적 플랫폼 정부 방안 1도토리 오민아
3724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유로지역 국채 스프레드 변동성 확대 배경과 전망 1도토리 오민아
372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50가지 키워드로 본 한국 디자인 진흥 50년 7도토리 오민아
3722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천연가스 공급차질관련 독일경제 리스크 평가 1도토리 오민아
3721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EU 이사회,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합의안 주요 내용 1도토리 오민아
3720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글로벌 백신 공급망과 수출 동향 1도토리 오민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