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베트남 내 게임 출시 및 유통 현황, 법률체계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황세영 조회수 139
용량 1.2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베트남 내 게임 출시 및 유통 현황, 법률체계.pdf 1.2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4-06 
출처 : 한국콘텐츠진흥원 
페이지 수 : 31 

Ⅰ. 베트남 내 게임 출시 및 유통 현황

1. 베트남 게임 출시 시장규모

2. 종류별 게임 출시 현황

3. 모바일 게임 출시 현황

4. e스포츠 게임 출시 현황

 

Ⅱ. 베트남 내 게임 출시 및 유통 관련 법률체계

1. 베트남 게임 산업 관련 공통 법률체계

2. 베트남 내 외래적인 게임 유통 및 출시 관련 법률체계

3. 베트남 내 온라인 게임 출시 허가증 발급 신청 절차

 

Ⅲ. 베트남 내 게임 출시 및 유통의 발전 기회 및 애로사항

1. 베트남 게임 산업의 잠재력 및 발전 동향

2. 베트남 내 외래적인 게임 출시 및 유통의 발전 기회 및 애로사항

 


 

1. 베트남 소프트웨어 출판시장 규모 |그림 1| 2011~2020 베트남 소프트웨어 출판 산업 자본금 ※출처 : GSO, VIRAC 자체 조사 1) 2013년 7월 15일 자 베트남 정부의 인터넷 서비스와 온라인 정보사용, 제공, 관리에 관하여 비디오 게임 종류 분류를 규정하는 제71/2013/ND-CP 제31조 1항에 따라 Game G1은 게임 서버를 통해 다중 플레이어가 상호 작용하는 비디오 게임 2) Game G2는 플레이어와 게임 서버만 상호 작용하는 비디오 게임 3) Game G3는 플레이어와 게임 서버 간의 상호 작용 없이 다중 플레이어 간 상호 작용하는 비디오 게임 4) Game G4는 플레이어와 플레이어 및 게임 서버 간의 상호 작용 없이 인터넷에서 다운로드 가능한 비디오 게임 베트남 콘텐츠 산업동향(2022년 2호) Ÿ 베트남 소프트웨어 산업은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애플리케이션 경영, 비디오 컴퓨터 게임 등 기성 소프트웨어 출판과 온라인 비디오 게임 출판 2 가지로 정의됨. 베트남 통계청5)에서 실시한 베트남 국내 게임업체 대상 2016~2020 년의 베트남 소프트웨어 산업 자본금에 대해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0 년 28 조 6,740 억 동에 도달, 성장률 102.1%를 기록함 |그림 2| 2016~2022 베트남 소프트웨어 출판 산업 자본금 ※출처 : GSO, VIRAC 자체 조사 Ÿ 베트남 통계청 2021 년 12 월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2020 년까지 베트남은 소프트웨어 출판 업체 2,043 개와 근로자 27,838 명을 보유하고 있으며, 2019 년에 비해 소프트웨어 출판 업체 수가 169 개 감소. 이러한 감소의 이유는 주로 코로나-19 의 악영향 때문. 이 산업의 투자 자본은 매우 커서 기업은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에게 높은 급여를 지급하면서 장비와 기계에 투자해야 함. 특히, 복잡한 코로나 전염병 상황에서 운영되는 중소기업은 유지할 자본이 충분하지 않아 해산 또는 파산하는 경우가 많았음 |그림 3| 2016~2022 베트남 소프트웨어 출판 산업 매출액 ※출처 : GSO, VIRAC 자체 조사 Ÿ 베트남 소프트웨어 산업 매출액은 2014 년부터 2020 년까지 계속적 증가해서 2020 년 15 조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50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국의 인프라 투자 정책에 따른 국내 기계산업의 기회요인과 시사점 1도토리 이지훈
350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디스플레이_중국 디스플레이산업 현황과 전망 1도토리 민준석
3506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그린뉴딜_탄소중립을 위한 해양그린수소 육성 전략 1도토리 민준석
350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그린뉴딜_EU 탄소국경조정의 국내 제조업 1도토리 민준석
350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코로나19 일상회복, 콘텐츠 이용 변화 맟 전망 3도토리 장민환
3503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NFT 금융 서비스의 대두 1도토리 장민환
3502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새로워진 핀테크 시장 1도토리 장민환
3501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AI 기반 초개인화 서비스의 현재와 미래 1도토리 장민환
3500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동향] 바이오 헬스 정책 및 투자 동향 5도토리 장민환
349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그린뉴딜_바이오연료 3도토리 황세영
3498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0년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 주요 결과 1도토리 황세영
3497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6G 통신 기술 3도토리 황세영
349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1년 하반기 태양광산업 동향 1도토리 황세영
349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인도-아세안 5G 시장 현황 및 진출 전략 3도토리 장민환
349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K콘텐츠 수출의 경제효과 3도토리 장민환
3493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배터리 소재 광물시장 동향과 전망 3도토리 장민환
3492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지능형 자율자동차 통신 보안 표준화 동향 1도토리 장민환
3491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AI 시대의 보안 및 프라이버시 이슈 1도토리 장민환
3490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블록체인, 웹3.0 기술 생태계 동향 1도토리 장민환
3489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효과적인 감염병 대응을 위한 홈ㆍ생활치료센터의 비대면 환자 보호관리 SW 1도토리 노민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