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태국 대중문화 콘텐츠에 나타나는 문화코드 - 드라마를 중심으로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황세영 조회수 141
용량 1.89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태국 대중문화 콘텐츠에 나타나는 문화코드 - 드라마를 중심으로.pdf 1.89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4-06 
출처 : 한국콘텐츠진흥원 
페이지 수 : 16 

태국인의 무의식을 형성하는 요인들 Ÿ 자연적 요인: 동남아시아 대륙부의 중심에 위치한 태국은 세계적으로 농∙임∙수산물을 생산 및 수출하는 천혜의 자원국임. 고온다습한 아열대성 기후와 풍요로운 자연환경은 생존을 위해 투쟁하지 않아도 자급자족이 가능하고, 태국인이 대체로 온화하고 느긋하며 공격적이지 않은 성향을 지니는 것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임. 또한 고대부터 동서양 무역의 통로였던 해상 실크로드의 기착지였으므로 타문화에 개방적이며 문화적 다양성을 지니게 됨. 이는 대중문화 영역 전반에서 혼합문화적 성격이 두드러지는 현상을 이해하는 단서가 됨. Ÿ 사상적 요인: 동남아시아의 다른 국가들과 비슷하게 태국인들도 대부분 유신론자임. 신(神)과 같이 성스럽고 초자연적인 존재가 있다고 믿으며 의지함. 같은 맥락으로, 무교 또는 무신론적 발상 자체를 부정하거나 이해하지 못함. 이와 함께 자연에 복종하고, 자연을 인간의 의지대로 통제하거나 바꿀 수 없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음. 이러한 초자연적 믿음은 대중문화에서 오컬트(occult)적 요소가 주류문화로서 꾸준히 생산 및 소비되는 현상의 근거로 볼 수 있음. Ÿ 제도적 요인: 태국의 핵심적인 사회체계인 왕실과 불교를 들 수 있음. 이는 한국과 확연히 차이나는 지점인 동시에 태국사회를 관철하는 기본 코드임. 다시 말해, 한국에서는 사적인 영역으로 여기는 종교나 전근대적 통치방식인 군주제가 태국에서는 공적 영역에서 현재 상식과 미덕으로 통용되는 공공가치라는 것을 의미함. 이러한 이념은 대중문화를 통해 지속적으로 생산 및 재생산되며, 개인의 일상과 사회제도의 순환 속에서 태국인의 정서와 무의식을 형성함. 2.1. 국왕 국왕의 코드 1: 신(神)의 화신 Ÿ 태국에서 국왕을 지칭하는 말인 ‘프라짜우유후아’는 ‘머리에 계신 신’이라는 의미로 태국인의 존두사상이 왕실용어에 반영되어 가장 높고 귀한 존재임을 보여줌.1) 또 다른 말로 ‘프라마하까쌋’ 이란 용어는 ‘프라’(신), ‘마하’(큰/위대한), ‘까쌋’(크샤트리아), 즉 위대한 군주이자 신이신 왕의 존재를 설명함. Ÿ 이러한 용어들을 통해 태국의 신왕(神王)사상을 엿볼 수 있음. 다시 말해, 태국에서 왕은 인간의 몸으로 온 신의 화신으로 여겨지는데, 힌두교의 삼주신(브라흐마-비쉬뉴-시바)이나 불교의 수호신인 인드라신(제석천)으로 표현됨. 특히 비쉬뉴의 화신으로 보는 경향이 강한 것은 태국의 왕을 ‘라마(프라람)’라 칭하는 것에서 알 수 있음. Ÿ 따라서 라마를 표상한 창작물이 대중문화에서 주요 작품으로 자리 잡음. 예를 들면, 라마의 전쟁 이야기를 다룬 ‘라마끼안’은 태국의 대표 고전 서사문학이자 전통 예술의 모티브가 되어 다양한 예술 장르에서 변용됨. 가면 무용극인 ‘콘’이나 방콕 왕궁 내 에메랄드 사원 회랑의 벽화가 대표적인 예. 극중 인물인 프라람이나 하누만은 대중적으로 사랑받는 캐릭터임.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50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국의 인프라 투자 정책에 따른 국내 기계산업의 기회요인과 시사점 1도토리 이지훈
350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디스플레이_중국 디스플레이산업 현황과 전망 1도토리 민준석
3506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그린뉴딜_탄소중립을 위한 해양그린수소 육성 전략 1도토리 민준석
350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그린뉴딜_EU 탄소국경조정의 국내 제조업 1도토리 민준석
350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코로나19 일상회복, 콘텐츠 이용 변화 맟 전망 3도토리 장민환
3503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NFT 금융 서비스의 대두 1도토리 장민환
3502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새로워진 핀테크 시장 1도토리 장민환
3501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AI 기반 초개인화 서비스의 현재와 미래 1도토리 장민환
3500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동향] 바이오 헬스 정책 및 투자 동향 5도토리 장민환
349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그린뉴딜_바이오연료 3도토리 황세영
3498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0년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 주요 결과 1도토리 황세영
3497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6G 통신 기술 3도토리 황세영
349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1년 하반기 태양광산업 동향 1도토리 황세영
349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인도-아세안 5G 시장 현황 및 진출 전략 3도토리 장민환
349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K콘텐츠 수출의 경제효과 3도토리 장민환
3493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배터리 소재 광물시장 동향과 전망 3도토리 장민환
3492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지능형 자율자동차 통신 보안 표준화 동향 1도토리 장민환
3491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AI 시대의 보안 및 프라이버시 이슈 1도토리 장민환
3490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블록체인, 웹3.0 기술 생태계 동향 1도토리 장민환
3489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효과적인 감염병 대응을 위한 홈ㆍ생활치료센터의 비대면 환자 보호관리 SW 1도토리 노민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