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2022년 미국 비디오게임 산업 현황 및 전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정한솔 조회수 148
용량 940.77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2022년 미국 비디오게임 산업 현황 및 전망.pdf 940.77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4-19 
출처 : 한국콘텐츠진흥원 
페이지 수 : 14 

1. 2020-2021년 비디오게임 인구의 증가 인터넷 기반의 비디오게임 통해 사회적 욕구 충족 Ÿ 비디오게임 산업은 전 세계 규모 추산 약 3 천억 달러에 달하는 거대한 산업이며, 엄청난 규모뿐만 아니라 게임인구의 증가에 따른 문화·엔터테인먼트 산업 전반에 미치는 영향력과 파급력 또한 커졌기 때문에 이에 따른 현황과 전망을 주목할 필요성이 높아졌음. Ÿ 본 보고서의 바탕이 된 의 기사 “US Video Gaming Industry in 2022: Gaming Devices & Video Game Content Viewership Trends”1)는 팬데믹을 겪으며 미국의 비디오게임 산업의 게임인구(이하 ‘게이머’와 혼용)가 증가하게 된 사회문화적 배경을 설명하는 동시에 2025 년까지의 가까운 미래를 전망함. Ÿ 2020 년 팬데믹으로 해외여행이 제한되고 주거공간이 생활의 공간에서 일, 생활, 여가를 위한 공간으로 기능을 확대하게 되자 사회적 활동을 통해서 느낄 수 있었던 친목, 교류 등의 감정을 온라인을 통해 충족하는 경우가 많아졌고, 그중 오락적 기능과 사회적 기능을 동시에 경험할 수 있는 비디오게임을 대체재로 찾게 됨. Ÿ 실제로 2020 년과 2021 년 미국 내 디지털 게임인구 규모는 크게 성장했음. 에 따르면 한 달에 최소 1 번 이상 인터넷을 통해 게임을 한 미국의 디지털 게임 인구는 2020 년 기준 약 1 억 7,580 만 명, 2021 년 기준 약 1 억 7,960 만 명에 달했음. Ÿ 이는 2019 년의 약 1 억 6,640 만 명 규모와 비교하면 평균 6% 성장한 수치로, 미국 내 디지털 게임 인구는 2022 년 연말이 되면 미국 전체 인구의 절반을 넘어설 전망임. Ÿ IBIS World 의 2021 년 보고서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50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국의 인프라 투자 정책에 따른 국내 기계산업의 기회요인과 시사점 1도토리 이지훈
350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디스플레이_중국 디스플레이산업 현황과 전망 1도토리 민준석
3506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그린뉴딜_탄소중립을 위한 해양그린수소 육성 전략 1도토리 민준석
350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그린뉴딜_EU 탄소국경조정의 국내 제조업 1도토리 민준석
350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코로나19 일상회복, 콘텐츠 이용 변화 맟 전망 3도토리 장민환
3503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NFT 금융 서비스의 대두 1도토리 장민환
3502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새로워진 핀테크 시장 1도토리 장민환
3501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AI 기반 초개인화 서비스의 현재와 미래 1도토리 장민환
3500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동향] 바이오 헬스 정책 및 투자 동향 5도토리 장민환
349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그린뉴딜_바이오연료 3도토리 황세영
3498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0년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 주요 결과 1도토리 황세영
3497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6G 통신 기술 3도토리 황세영
349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1년 하반기 태양광산업 동향 1도토리 황세영
349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인도-아세안 5G 시장 현황 및 진출 전략 3도토리 장민환
349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K콘텐츠 수출의 경제효과 3도토리 장민환
3493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배터리 소재 광물시장 동향과 전망 3도토리 장민환
3492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지능형 자율자동차 통신 보안 표준화 동향 1도토리 장민환
3491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AI 시대의 보안 및 프라이버시 이슈 1도토리 장민환
3490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블록체인, 웹3.0 기술 생태계 동향 1도토리 장민환
3489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효과적인 감염병 대응을 위한 홈ㆍ생활치료센터의 비대면 환자 보호관리 SW 1도토리 노민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