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2022년 미국 비디오게임 산업 현황 및 전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정한솔 조회수 116
용량 940.77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2022년 미국 비디오게임 산업 현황 및 전망.pdf 940.77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4-19 
출처 : 한국콘텐츠진흥원 
페이지 수 : 14 

1. 2020-2021년 비디오게임 인구의 증가 인터넷 기반의 비디오게임 통해 사회적 욕구 충족 Ÿ 비디오게임 산업은 전 세계 규모 추산 약 3 천억 달러에 달하는 거대한 산업이며, 엄청난 규모뿐만 아니라 게임인구의 증가에 따른 문화·엔터테인먼트 산업 전반에 미치는 영향력과 파급력 또한 커졌기 때문에 이에 따른 현황과 전망을 주목할 필요성이 높아졌음. Ÿ 본 보고서의 바탕이 된 의 기사 “US Video Gaming Industry in 2022: Gaming Devices & Video Game Content Viewership Trends”1)는 팬데믹을 겪으며 미국의 비디오게임 산업의 게임인구(이하 ‘게이머’와 혼용)가 증가하게 된 사회문화적 배경을 설명하는 동시에 2025 년까지의 가까운 미래를 전망함. Ÿ 2020 년 팬데믹으로 해외여행이 제한되고 주거공간이 생활의 공간에서 일, 생활, 여가를 위한 공간으로 기능을 확대하게 되자 사회적 활동을 통해서 느낄 수 있었던 친목, 교류 등의 감정을 온라인을 통해 충족하는 경우가 많아졌고, 그중 오락적 기능과 사회적 기능을 동시에 경험할 수 있는 비디오게임을 대체재로 찾게 됨. Ÿ 실제로 2020 년과 2021 년 미국 내 디지털 게임인구 규모는 크게 성장했음. 에 따르면 한 달에 최소 1 번 이상 인터넷을 통해 게임을 한 미국의 디지털 게임 인구는 2020 년 기준 약 1 억 7,580 만 명, 2021 년 기준 약 1 억 7,960 만 명에 달했음. Ÿ 이는 2019 년의 약 1 억 6,640 만 명 규모와 비교하면 평균 6% 성장한 수치로, 미국 내 디지털 게임 인구는 2022 년 연말이 되면 미국 전체 인구의 절반을 넘어설 전망임. Ÿ IBIS World 의 2021 년 보고서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488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메타버스 개념과 대중화를 위한 핵심 1도토리 노민우
3487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수소법 개정안, 1년 만에 딛는 첫 발 1도토리 노민우
348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반도체_코로나보다 무서운 도시 봉쇄 1도토리 이지훈
348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5월 FOMC : 시장 달래기 실패. 4월 CPI(11일) 결과에 주목 1도토리 이지훈
348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디지털 전환 가속화를 위한 핵심 과제 및 대응전략: DTaaS 3도토리 나혜선
3483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유럽연합 디지털시장법 합의안의 주요 내용 및 시사점 3도토리 나혜선
3482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국가별 영상정보처리기기 관련 법안 고찰 1도토리 나혜선
3481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美 CBDC 정책 최근 동향: 관망에서 가장 시급으로 입장 변화 3도토리 나혜선
3480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의료 장비 전자파적합성(EMC) 표준 동향 1도토리 나혜선
3479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MIV(MPEG Immersive Video) 표준기술 개발동향 1도토리 나혜선
3478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지능형 무선 액세스 핵심 기술 1도토리 정한솔
3477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차세대 SSD 키-밸류 DB 적용 분산 스토리지 시스템 1도토리 정한솔
3476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개방형 스마트홈 연동 표준 매터의 주요 특징과 시장 전망 1도토리 정한솔
3475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슬기로운 디지털 트윈 댐ㆍ하천 플랫폼 1도토리 정한솔
3474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ESS 통합관리 안전운영 기술 1도토리 정한솔
3473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MPEG 포인트 클라우드 및 메시 압축 표준화 동향 1도토리 정한솔
3472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디지털 트윈 기술의 최근 국내외 사업화 동향 1도토리 황세영
3471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비정상적인 교통 상황 감지 기술 1도토리 황세영
3470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인공지능 기반 이차전지 상태분석 솔루션 1도토리 황세영
3469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메타버스 시대를 위한 고성능 병렬컴퓨팅 기술개발 동향 1도토리 황세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