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베트남 애니메이션 판권 수출입 동향 및 법률체계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정한솔 조회수 42
용량 976.64K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베트남 애니메이션 판권 수출입 동향 및 법률체계.pdf 976.64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4-22 
출처 : 한국콘텐츠진흥원 
페이지 수 : 26 

Ⅰ. 베트남 내 외국 애니메이션 현황

1. 외국 애니메이션의 선호도

2. 베트남 내 인기 외국 애니메이션

3. 인기 애니메이션 테마 분석

 

Ⅱ. 베트남 내 외국 애니메이션 수입과 유통 동향

1. 외국 애니메이션 수입과 유통 동향

2. 대표적인 외국 애니메이션 수입과 유통업체

3. 인기 외국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Ⅲ. 외국 애니메이션 수입과 유통 관련 법률체계

1. 외국 애니메이션 수입 승인 규정

2. 외국 애니메이션 유통 허가서 발급 규정

 


 

1. 외국 애니메이션의 매력 Ÿ 베트남에서 애니메이션 산업은 많은 시청자와 팬을 보유, 잠재력이 풍부한 시장으로 간주됨. 현재는 외국 애니메이션 제작사가 시장을 주도,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임. 지난 10 여 년 동안 베트남 박스오피스(Box Office)1)에서 압도적인 매출액을 달성한 외국 애니메이션 제작사는 적지 않으며, 또한 많은 해외 애니메이션의 저작권을 인수하여 베트남 온라인 상영 플랫폼에서 널리 방송되고 있고, 이 애니메이션들은 어린이뿐만 아니라 성인에게도 어필하고 있음. Ÿ 2010 년부터 2019 년까지의 애니메이션은 2020 년과 2021 년의 코로나 19 팬데믹 상황으로 인해 개봉이 제한에도 불구하고 항상 베트남 시장에서 매출액이 가장 높은 영화 10 위 안에 들었음. Despicable Me 3(달의 도둑)은 개봉 3 일 만에 330 억 동(미화 약 150 만 달러) 이상의 수익을 달성하여 2017 년 베트남에서 가장 높은 개봉 수익을 올린 애니메이션이 되었고, 또한 Moana’s Journey(모아나)는 개봉 3 일 만에 120 억 동(미화 약 52 만 5 천 달러)의 수익을 올린 바 있음2). Ÿ 베트남에서 가장 큰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영화 배급사 CGV 의 데이터에 따르면, 1) 극장의 매표소를 가리키는 단어 2) 베트남 박스오피스(Box Office)의 조사 결과 베트남 콘텐츠 산업동향(2022년 3호) 2021 년까지 10 여 년 동안 극장용 애니메이션 수익은 전체 흥행 수익의 2%에서 약 15%로 증가함3). 쿵푸팬더(Kungfu Panda), 겨울왕국(Frozen),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My Hero Academia), 드래곤 길들이기(How to Train Your Dragon), 배트맨(Batman), 토이 스토리(Toy Story) 등 세계 유명 애니메이션 작품들은 모두 베트남 개봉 당시 많은 시청자를 영화관으로 끌어들였음. 이와 같은 외국 애니메이션들이 베트남 시청자에게 어필할 수 있는 요소는 다음과 같음. 요인 1: 막대한 제작비 Ÿ 사랑과 호평을 받은 대부분 외국 애니메이션은 큰 제작비로 투자를 받고 제작되어 시청자를 사로잡은 고품질의 작품들. 예를 들면, 디즈니(Disney) 대표 애니메이션 작품의 제작비용은 최대 1 억~3 억 달러, 일본 애니메이션의 에피소드당 제작비는 최대 1,200 만~3,500 만 달러 수준으로 평가됨4). |그림 1| 대표 외국 애니메이션 제작비 ※출처 : OCD 자체 조사 요인 2: 애니메이션 최신 제작기술 Ÿ 애니메이션 최신 제작기술은 디즈니(Disney)나 픽사(Pixar)의 수많은 애니메이션 블록버스터의 큰 성공에 가장 큰 요인 중 하나임. 3D 기술, 아폴로(Apollo) 제작기술5),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 하이페리온 렌더링 시스템(Hyperion Redering System)6) 등의 현대적인 제작기술은 디즈니(Disney), 드림웍스(Dreamworks) 또는 지브리 스튜디오(Ghibli Studio)와 같은 애니메이션 제작사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음. Ÿ 외국 애니메이션 제작사는 애니메이션 최신 제작기술을 계속 발전시켜 선명한 색상의 장면, 캐릭터 이미지, 배경 등 사실적으로 만들어 냄. 애니메이션 속 디테일 하나하나가 세심하게 그려지고 제작되는 만큼 작가의 열정을 엿볼 수 있음. 요인 3: 애니메이션 콘텐츠의 다양성 3) 베트남 박스오피스(Box Office) 조사 결과 4) OCD 자체 조사 5) 아폴로(Apollo) 기술은 드림웍스가 독자적으로 개발한 기술이고 프레모(Premo)와 토치(Torch) 두 가지 소프트웨어로 나뉨. 프레모는 아티스트가 테블릿 컴퓨터와 태블릿용 펜만 가지고 실시간으로 캐릭터를 움직일 수 있게 하는 소프트웨어. 토치는 아주 정교한 조명 작업을 돕는 조명용 프로그램임 6) 하이페리온 렌더링 시스템은 영화의 조명 효과를 처리하는 디즈니가 개발된 영화기법. 하이페리온은 100억 개의 광선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다고 하는데 자세히 뜯어보면 100억 개의 광선이 각각 가지는 조도, 방향, 그림자, 그리고 무한대로 반사되는 현상까 지 모두 계산하는 것을 의미함 베트남 콘텐츠 산업동향(2022년 3호) Ÿ 외국 애니메이션 콘텐츠는 다양하고 창의적이고 인간성을 가지는데 이는 바로 외국 애니메이션 작품의 인기의 큰 장점이지만 아직 베트남에서는 부족한 부분. 동화, 신화, 만화, 문학 등의 작품에서 일상생활의 평범한 이야기까지도 애니메이션 콘텐츠 주제로 활용되고 있음. 나아가 애니메이션 속 이야기와 사건은 타이밍 있게 제작되어 시청자에게 다채롭고 탐스러운 세계를 전달함. 또한 인생 공부도 애니메이션에 삽입되거나 캐릭터가 독창적으로 창출되면서 아이들도 콘텐츠를 즐길 수 있고 어른들도 캐릭터들에 공감하게 됨. 요인 4: 매력적인 사운드트랙(Soundtrack) Ÿ 사운드트랙(Soundtrack)은 외국 애니메이션의 성공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베트남 애니메이션에서는 거의 잊혀 지거나 배제되어 국내 애니메이션이 외국 애니메이션과 경쟁하기 어렵게 만들고, 애니메이션의 메시지와 스타일에 따라 낭만적, 영웅적, 시적 등으로 구분되어 애니메이션의 혼이 담겨지게 됨. Ÿ 사운드트랙 제작 과정은 체계적으로 만들어져 삽입됨. 작곡가는 스토리보드가 배포되자마자 작가들이 작업 전부터 만들기 시작함. 사운드트랙(Soundtrack)은 애니메이션 제작 과정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당초 계획과 사정에 따라 여러 번 변경될 수 있음. 대부분 고예산 애니메이션들에는 음악 부분을 위한 오케스트라(orchetra)와 작곡가가 별도 있음. 음악에 대한 상당한 투자는 애니메이션이 큰 성공을 거두는 데에 도움이 됨. 유튜브 채널에서 놀라운 조회 수를 보이는 만큼 애니메이션에 나오는 노래는 시청자들에게 매우 인기가 많음.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71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미국 수출통제 제도 심층 분석과 시사점 3도토리 오민아
371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일본의 재생에너지 확대 전략 분석 및 시사점 7도토리 오민아
371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JP모건의 메타버스 비즈니스 전략 및 시사점 1도토리 오민아
371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글로벌 은행들의 초개인화 뱅킹 사례와 시사점 1도토리 안소영
371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항공운송 및 후방산업 격리의무 완화에 따른 수혜업종 전망 1도토리 안소영
371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글로벌 PE사의 사업다각화 사례와 시사점 1도토리 안소영
371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주요 양식어류 수급전망 고도화를 위한 모형 구축 연구 7도토리 안소영
370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글로벌 수산물 수출 경쟁우위 및 결정요인 분석 7도토리 안소영
3708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에 관련하여 항만에서 대응방안 연구 7도토리 안소영
3707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메타버스 기반 공공 서비스 및 공간정보 분야의 역할 3도토리 안소영
3706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스탠포드 「AI 인덱스 2021」을 통해 본AI 지표 조사의 변화 방향 3도토리 안소영
370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EU집행위원회 클라우드 합의문과 얼라이언스 1도토리 안소영
370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미국 알고리즘에 관한 책임법안 발의 1도토리 안소영
3703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OECD 인공지능 시스템 분류 프레임워크 분석과 시사점 3도토리 안소영
3702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알고리즘 영향평가 모델 사례(영국 헬스케어 분야) 3도토리 안소영
3701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민간 클라우드(SaaS) 이용사례 7도토리 안소영
3700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클라우드를 위한 제로 트러스트 보안 3도토리 안소영
3699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제로 트러스트를 기반으로 보안 실현을 위한 6x2 아키텍처 1도토리 안소영
369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디지털 전환 시대, NIA가 전망한 환경 변화 13대 핫이슈 1도토리 장민환
369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ARK 인베스트를 통해 본 디지털 전환 방향 7도토리 장민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