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시장동향] 2022년 인도네시아 게임시장 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정한솔 조회수 52
용량 1.28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시장동향] 2022년 인도네시아 게임시장 동향.pdf 1.28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4-22 
출처 : 한국콘텐츠진흥원 
페이지 수 : 18 

인도네시아 게임시장은 모바일 게임을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온/오프라인의 결제 환경이 수월해지면서 전 세계 16위 규모의 시장으로 확대되었음. 여가 활동이 부족한 인도네시아에서는 팬데믹 상황에서 온라인 활동이 증가하면서 온라인 게임 이용 시간이 크게 늘어났으며 현지 게임 유저들의 경우 글로벌 시장에서의 주간 평균 플레이 시간 8.45시간보다 더 높은 8.54 시간을 게임 이용에 할애하고 있어 향 후 인도네시아의 경제 성장과 더불어 지속적으로 게임시장은 성장할 것으로 전망. 인도네시아 인터넷 환경은 전체적으로 모바일 퍼스트 현상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1가구 1PC 환경이 조성되지 못하고 PC방 산업도 영세성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 컴퓨터 온라인 게임시장은 정체하고 있음. 최근까지 팬데믹의 영향으로 PC방이 원활한 영업 활동을 하지 못하여 앞으로 회복하기까지 상당 기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콘솔 게임시장 또한 1인당 소득 수준이 충분히 높지 않기 때문에 고소득층 내에서의 소비로 국한되고 있음. 인도네시아의 게임시장 매출 규모는 크게 증가하고 있으나 국내에서 개발된 게임은 자국 내, 외에서 경쟁력을 갖추지 못하고 있으며 20명 미만의 소규모 인디 개발 스튜디오 수준에 그치고 있음. 국내 게임산업의 자생력이 부족한 가운데 중국 개발사들이 활발하게 진출하고 있어 게임 개발, 유통, e스포츠를 비롯한 부가산업, 게임 관련 미디어 시장 등이 중국 인터넷 기업에 상당 부분 잠식되어 있음. 특히 전체 모바일 게임 매출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상위권 게임들은 모두 중국산 게임들로 주요 e스포츠 리그까지 출시하면서 큰 인기를 얻고 있으며 현지에서의 온·오프라인 마케팅을 공격적으로 진행하고 있어 영향력이 갈수록 커지고 있음. 2인도네시아 콘텐츠 산업동향 (2022년 1호) 1 인도네시아 게임시장 동향 1. 인도네시아 게임시장 개요 Ÿ 인도네시아 게임시장은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한 모바일 게임을 중심으로 커지고 있으며 전체 게임시장 매출 가운데 모바일 게임이 80% 이상을 차지하는 가운데 팬데믹 환경 내 온라인 활동의 증가와 더불어 지속 성장하고 있음. 모바일 인터넷 인프라의 확충과 더불어 2억 7,000명에 이르는 인구가 활발하게 게임을 즐기게 되면서 인도네시아 게임시장은 전 세계 16위 시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인도네시아 게임 유저는 글로벌 게임 유저의 주간 평균 게임 플레이 시간 8.45 시간보다 높은 8.54 시간을 게임에 할애하고 있어 앞으로 경제 성장과 더불어 지속적으로 성장 동력을 확보할 것으로 예상. ※단위 : 백만 달러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모바일 게임 163 245 343 491 595 707 825 901 977 1,049 PC 게임 49 58 62 65 68 72 77 83 90 99 콘솔 게임 35 43 49 64 80 104 137 167 204 258 e 스포츠 1 2 2 4 6 8 11 15 19 22 248 348 456 624 749 891 1,050 1,166 1,290 1,428 [표 1] 인도네시아 게임시장 규모 및 전망 2015-2024 출처 : PwC Global entertainment & media outlook 2020-2024 Ÿ 2021년 인도네시아 인터넷 이용 인구는 2억 260만 명, 스마트폰 이용자는 1억 8,360만 명에 달하고 있으며 스마트폰을 이용한 여가 활동 인구가 크게 늘어나면서 1억 1,400만 명이 모바일 게임 유저로 추산. 2021년 1분기 안드로이드 및 iOS 모바일 게임 다운로드는 작년 동기보다 26% 증가한 7억 9,000만 건을 기록하였음. 절반 이상의 모바일 게임 유저가 매일 30-60분 동안 게임을 플레이한다고 답한 가운데 2022년 게임 유저의 ARPU1)는 약 $24.42(약 29,304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 Ÿ 인도네시아 스마트폰 시장은 아직 가격 위주의 시장으로써 안드로이드 플랫폼이 압도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아이폰(iOS)이 약 8.65% 시장 점유율2)을 가지고 있는 가운데 안드로이드 OS를 사용하는 삼성 스마트폰과 중국 오포(Oppo)의 선두 경쟁이 치열하게 나타나고 있음.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의 비중이 높기 때문에 모바일 게임 매출에서도 안드로이드 OS 게임시장의 매출 비중이 약 80%에 이를 것으로 추정.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739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완전자율주행을 위한C-V2X의 표준 및 미래 전망 및 생태계 1도토리 조현상
3738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글로벌 기업들의 케냐 창업생태계 진출 확대 1도토리 조현상
3737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베트남 스마트 팩토리에 대한 동향 1도토리 조현상
373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실리콘밸리, 글로벌 혁신주도권 변화 움직임 및 2022년도 Q2 테크 기업 마켓 전망 1도토리 조현상
373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디지털 전환의 미래사회 위험이슈 및 대응 전략, 인공지능 역기능을 중심으로 3도토리 조현상
373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전략 1도토리 이지훈
373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사업체 규모별 청년 고용의 분포적 특성과 시사점 1도토리 이지훈
373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국내 제조업의 혁신투자 1도토리 이지훈
3731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2022년 소상공인 보증공급 정책 방향 1도토리 오민아
3730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기준금리 상승이 주요 제조업에 미치는 영향 및 시사점 1도토리 오민아
372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시니어 기술창업 실태와 활성화 방안 1도토리 오민아
372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대전환 시대 탄력적 글로벌가치사슬(GVC) 구축 및 한국에 대한 시사점 3도토리 오민아
3727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빅데이터 이용 활성화를 통한 한국관광 발전 1도토리 오민아
372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글로벌 공급망을 둘러싼 대외 여건 변화와 대응 방안 1도토리 오민아
3725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빅데이터 시대의 효율적 플랫폼 정부 방안 1도토리 오민아
3724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유로지역 국채 스프레드 변동성 확대 배경과 전망 1도토리 오민아
372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50가지 키워드로 본 한국 디자인 진흥 50년 7도토리 오민아
3722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천연가스 공급차질관련 독일경제 리스크 평가 1도토리 오민아
3721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EU 이사회,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합의안 주요 내용 1도토리 오민아
3720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글로벌 백신 공급망과 수출 동향 1도토리 오민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