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시장동향] 2022년 인도네시아 스타트업산업 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정한솔 조회수 187
용량 1.42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시장동향] 2022년 인도네시아 스타트업산업 동향.pdf 1.42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4-29 
출처 : 한국콘텐츠진흥원 
페이지 수 : 17 

2021년 인도네시아 인터넷산업 규모는 약 700억 달러(약 84조 원)에 이르고 있으며, 팬데믹 내에서도 전자상거래를 중심으로 전체 산업 영역에서 성장이 일어나고 있음. 각종 온라인 소비 활동이 필수적으로 변해가면서 대도시 이외의 거주자, 노년층에서 꾸준히 신규 디지털 컨슈머로 유입되고 있으며 기존 인터넷/디지털 재화 이용자들의 경우에도 소비가 더 빈번하게 얼어나면서 앞으로도 빠르게 성장하여 2025년까지 인터넷 경제 규모는 1,460달러(약 175조 원)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섬으로 이루어진 특성으로 인하여 지리적, 금융 환경의 단절이 오랫동안 발전을 가로막는 걸림돌로 지적되어 왔지만 최근 인터넷 인프라 및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인해 문제점들이 극복되고 있으며 2-3선 도시를 포함한 인도네시아 전체 인구가 구매력으로 이어지면서 기술 기반의 스타트업들이 크게 주목을 받고 있음.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많은 수준인 8개의 유니콘 기업을 배출하면서 실생활에 혁신을 일으키고 있으며 성공적인 엑시트 사례가 나오면서 투자사들의 많은 관심을 얻고 있으며 2021년 스타트업 대상의 투자 집행 횟수 및 총액은 역대 최대 및 동남아시아 최대를 기록하고 있음. 스타트업 생태계가 성숙하면서 투자 환경도 개선되어 초기 기업에 대한 평균 투자 금액, 빈도가 크게 증가. 국내 산업 전반에 높은 이해력을 가지고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현지의 대기업들이 자체 투자, 인수합병, 자사 벤처캐피탈을 통한 투자, 인적 자원 인수, 엑셀러레이터/인큐베이팅 센터 설립 등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현지 스타트업 생태계 조성에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어 앞으로도 현지의 스타트업 및 창업 환경은 더욱 좋아질 것으로 전망. 2인도네시아 콘텐츠산업동향 (2022년 2호) 1 인도네시아 스타트업 환경 1. 인도네시아 인터넷 경제 개요 Ÿ 2021년 인도네시아의 인터넷산업 전체 경제 규모는 전년도 대비 약 49% 성장한 약 $700억 달러(GMV, 약 84조 원))1)에 달하고 있으며 전자상거래 분야가 가장 큰 폭의 성장을 보이는 가운데 라이드헤일링, 온라인여행, 온라인미디어(콘텐츠 포함) 등 전체 영역에서 성장이 일어나고 있음. 팬데믹은 생활 전반에서 디지털 콘텐츠 및 인터넷 이용에 대한 강력한 촉매제로 작용하여 2021년 상반기까지 인도네시아 국내에서 2,100만 명의 신규 디지털 컨슈머가 유입하였으며 기존 이용자들 또한 디지털 콘텐츠의 이용 양과 질을 더욱 늘이고 있음. [표 1] 인도네시아 인터넷 경제 분야별 시장 규모 ※ 출처 : Google/테마섹/베인, Ÿ 신규로 유입된 2,100만 명의 디지털 컨슈머 가운데 약 72%가 인구밀도가 높은 도시 이외의 지역에 거주하는 이용자로써 광역 자카르타 및 대도시를 벗어나 디지털 콘텐츠 소비 습관이 전역으로 뻗어나가고 있음. Ÿ 팬데믹 이전부터 인터넷 경제 재화를 활용하던 이용자는 팬데믹을 거쳐 3.6배 더 강한 소비 패턴을 보이고 있으며 신규 유입된 유저들의 96%도 한 번 유입된 이후에는 인터넷 경제 재화를 지속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50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국의 인프라 투자 정책에 따른 국내 기계산업의 기회요인과 시사점 1도토리 이지훈
350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디스플레이_중국 디스플레이산업 현황과 전망 1도토리 민준석
3506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그린뉴딜_탄소중립을 위한 해양그린수소 육성 전략 1도토리 민준석
350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그린뉴딜_EU 탄소국경조정의 국내 제조업 1도토리 민준석
350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코로나19 일상회복, 콘텐츠 이용 변화 맟 전망 3도토리 장민환
3503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NFT 금융 서비스의 대두 1도토리 장민환
3502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새로워진 핀테크 시장 1도토리 장민환
3501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AI 기반 초개인화 서비스의 현재와 미래 1도토리 장민환
3500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동향] 바이오 헬스 정책 및 투자 동향 5도토리 장민환
349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그린뉴딜_바이오연료 3도토리 황세영
3498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0년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 주요 결과 1도토리 황세영
3497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6G 통신 기술 3도토리 황세영
349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1년 하반기 태양광산업 동향 1도토리 황세영
349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인도-아세안 5G 시장 현황 및 진출 전략 3도토리 장민환
349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K콘텐츠 수출의 경제효과 3도토리 장민환
3493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배터리 소재 광물시장 동향과 전망 3도토리 장민환
3492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지능형 자율자동차 통신 보안 표준화 동향 1도토리 장민환
3491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AI 시대의 보안 및 프라이버시 이슈 1도토리 장민환
3490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블록체인, 웹3.0 기술 생태계 동향 1도토리 장민환
3489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효과적인 감염병 대응을 위한 홈ㆍ생활치료센터의 비대면 환자 보호관리 SW 1도토리 노민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