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시장동향] 2022년 인도네시아 OTT시장 동향 해외 콘텐츠기업 탐방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정한솔 조회수 67
용량 1.05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시장분석] 2022년 인도네시아 OTT시장 동향 해외 콘텐츠기업 탐방.pdf 1.05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4-29 
출처 : 한국콘텐츠진흥원 
페이지 수 : 17 

2020년 기준 인도네시아 온라인 여가 활동 중 49.3%가 온라인 비디오 시청으로 조사되었으며, 코로나19로 인해 실내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지며 2020~2022년 기간 OTT시장의 성장은 가속화되고 있음. 매일 OTT를 시청한다는 응답자는 82%로 조사되어 이미 다수의 소비자가 OTT를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보임. OTT시장의 주요 소비자는 18~34세이며, 특히 여성의 경우 OTT 시청 중 한국 콘텐츠를 주로 시청한다는 응답이 74%로 조사되어 한국 콘텐츠에 대한 선호가 큰 것으로 나타남. 이에 따라 작년 이후로 인도네시아 넷플릭스의 일간 인기상위 10개 작품 중 5개 이상이 한국 드라마인 경우가 잦아지고 있음. 온라인 비디오 시청은 코로나19 기간을 거치며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2020년 대비 2021년 온라인 비디오 시청은 187% 증가하였으며 OTT의 경우 40% 증가하여 월평균 41.4시간을 시청하는 것으로 조사됨. OTT 콘텐츠 시청을 위해 광고 시청을 감수하겠다는 응답이 92%로 조사되어 구독형보다는 광고 시청기반 OTT에 대한 선호가 높은 편임. 인도네시아의 OTT시장의 가파른 성장세는 코로나19로 촉발된 측면이 있으나 인도네시아 디지털 콘텐츠 소비자 사이에서 하나의 문화 여가활동이자 습관으로 자리하며 당분간은 높은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 2인도네시아 콘텐츠 산업동향 (2022년 3호) 1 인도네시아 OTT시장 개요 1. 인프라 시장 규모 Ÿ 인도네시아 인구는 2020 년 기준으로 2 억 7,352 만 명으로 세계 4 위이며, 인구 대비 인터넷 이용률은 53.7%로 전년 대비 6.0%p 증가하여 절반 이상이 인터넷 접속이 가능해졌으나 여전히 세계 평균인 56.73%에는 못 미치는 수치를 기록하였으며 세계 125 위를 기록하였음 Ÿ 인도네시아는 1 만 7 천 개 이상의 섬으로 이루어진 나라로 유선 인터넷 보급은 더딘 편이지만 스마트폰의 보급에 힘입어 대부분의 인터넷 사용은 모바일 이동통신으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으며 모바일 이동통신 보급률은 89.1%로 조사됨 Ÿ 인도네시아의 중기 발전계획인 ‘메이킹 인도네시아 4.0’에 따르면 2020~2024 년 계획으로 인터넷 사용 커버리지 95%, 광섬유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60%로 확대하는 계획을 발표하였으며, 디지털 방송의 경우 2022 년 11 월 2 일 이후 아날로그 방송을 종료하고 2024 년까지 디지털 TV 의 보급을 80% 이상으로 계획하고 있음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739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완전자율주행을 위한C-V2X의 표준 및 미래 전망 및 생태계 1도토리 조현상
3738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글로벌 기업들의 케냐 창업생태계 진출 확대 1도토리 조현상
3737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베트남 스마트 팩토리에 대한 동향 1도토리 조현상
373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실리콘밸리, 글로벌 혁신주도권 변화 움직임 및 2022년도 Q2 테크 기업 마켓 전망 1도토리 조현상
373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디지털 전환의 미래사회 위험이슈 및 대응 전략, 인공지능 역기능을 중심으로 3도토리 조현상
373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전략 1도토리 이지훈
373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사업체 규모별 청년 고용의 분포적 특성과 시사점 1도토리 이지훈
373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국내 제조업의 혁신투자 1도토리 이지훈
3731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2022년 소상공인 보증공급 정책 방향 1도토리 오민아
3730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기준금리 상승이 주요 제조업에 미치는 영향 및 시사점 1도토리 오민아
372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시니어 기술창업 실태와 활성화 방안 1도토리 오민아
372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대전환 시대 탄력적 글로벌가치사슬(GVC) 구축 및 한국에 대한 시사점 3도토리 오민아
3727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빅데이터 이용 활성화를 통한 한국관광 발전 1도토리 오민아
372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글로벌 공급망을 둘러싼 대외 여건 변화와 대응 방안 1도토리 오민아
3725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빅데이터 시대의 효율적 플랫폼 정부 방안 1도토리 오민아
3724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유로지역 국채 스프레드 변동성 확대 배경과 전망 1도토리 오민아
372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50가지 키워드로 본 한국 디자인 진흥 50년 7도토리 오민아
3722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천연가스 공급차질관련 독일경제 리스크 평가 1도토리 오민아
3721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EU 이사회,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합의안 주요 내용 1도토리 오민아
3720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글로벌 백신 공급망과 수출 동향 1도토리 오민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