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호주 콘텐츠 산업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정한솔 조회수 44
용량 716.52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가별 동향] 호주 콘텐츠 산업동향.pdf 716.52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4-29 
출처 : 한국콘텐츠진흥원 
페이지 수 : 15 

호주는 남반구의 지리적, 문화적 허브 국가로써 높은 수준의 경제력을 바탕으로 오세아니아 문화권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 호주는 일찍부터 문화·창조산업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관련 산업으로의 파급력이 높은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인식하여 창조국가로의 전환, 창조산업 진흥 정책을 전개해왔음. 호주의 문화창조산업은 핵심저작권 산업과 영상 콘텐츠산업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2020년 전체 문화창조산업 경제 규모는 약 1,117억 호주달러(약 100조 5,300억 원), 2019년 관련 산업 정부 지출 예산은 72억 호주 달러(약 6조 4,800억 원)에 이를 만큼 전체 경제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지방정부의 자율적인 정책 추진과 개별 산업의 자율적인 발전을 중요시하는 호주의 정책에 따라 창조산업 전체를 세부적으로 아우르고 관리 감독하는 정부 기관은 존재하지 않으며 정부 주도의 통일된 특정 산업 개발 정책은 활발하게 입안되지 않는 편이지만 질적인 수준이 높은 민간 기업들이나 각종 문화창조산업별 구성원들은 활발하게 교류하면서 발전해가고 있음 호주는 개발부(DITRDC)와 통신미디어청(ACMC)에서 디지털산업 및 창조산업의 주요 분야를 관장하고 있음. 넓은 지리적인 특성으로 인해 전국적으로 대중들에게 광범위한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유일한 미디어가 공중파 TV임을 감안하여 공중파 방송의 콘텐츠 내용 규제가 세세하게 정해져 있으며 미디어 시청을 통한 호주 문화 정체성 확보를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공중파 내 국내 콘텐츠 방영 비율이 엄격하게 적용되고 있음. 2000년대 이후 OTT,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미디어 플랫폼 등 새로운 미디어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각종 규제가 새롭게 만들어지고 있음 2호주 콘텐츠 산업동향 (2022년 1호) 1 호주 창조산업 관련 국가 정책 1. 호주 창조산업 개요 Ÿ 호주 정부는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스마트전략으로서 창조산업의 역할을 강조. 창조산업은 제조업 비중이 낮은 호주의 산업 구조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핵심저작권산업(Core Copyright Industries)과 창조산업(creative Industries)에 초점을 맞추면서 2020년 전체 문화창조산업경제 규모는 약 1,117억 호주달러(약 100조 5,300억 원)1)로 추산 [그림 1] 호주 문화창조산업 규모 및 종사자 현황 출처 : ANA Ÿ 2019년 호주 정부의 문화창조산업에 지출한 예산은 72억 호주 달러(약 6조 4,800억 원)로 GDP 대비 0.97%를 차지하고 있어 다른 선진국가들과 비교하였을 경우 정부의 지출 여력이 더 있는 편2). 연방정부, 지방정부, 지자체의 지출 비용이 대략 1:1:1을 기록하고 있어 정부 차원의 지원과 지역 사회에서의 지출이 균형을 이루고 있으며 도서박물관갤러리 등 문화 산업을 포괄하고 있어 이들에 대한 비중(42.3%)이 높음 Ÿ 호주 정부의 창조산업 관련 추진 체계는 문화중심형 기능에 관광, 체육 기능을 포괄한 형태로써 중앙정부, 지역정부, 각급 위원회에서 문화예술, 문화산업, 관광, 문화유산, 체육 등 창조산업과 관련된 업무 영역을 담당하고 있음. 개발부(DITRDC)3)에서는 문화 창조산업을 8개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문화유산(Cultural Heritage), 영화(Screen), 원주민예술·언어(Indigenous arts and Languages), 문학(Literature), 공연예술(Performing arts), 지역예술(Regional arts), 도서·박물관(Museums, libraries and galleries), 비주얼아트(Visual arts)로 구분하고 영역별 세분화하여 경제적 부가가치를 계산하고 있음4)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519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2022년 인도네시아 스타트업산업 동향 1도토리 정한솔
3518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2022년 인도네시아 OTT시장 동향 해외 콘텐츠기업 탐방 1도토리 정한솔
»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호주 콘텐츠 산업동향 1도토리 정한솔
351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콘텐츠, 가상융합경제의 혈액이 되다 1도토리 강정훈
351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NFT 커지는 시장과 활용 1도토리 강정훈
351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친환경 소비시대, 부상하는 그린슈머를 공략하라! 7도토리 강정훈
3513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메타버스, XR로 꽃피우다 7도토리 조정희
3512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AMD의 반도체 기술 동향 및 시사점 1도토리 한상윤
3511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마이크로 LED 전사, 접합, 그리고 불량 화소 수리 기술 1도토리 한상윤
3510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데이터센터 통신용 광소자 및 광부품 기술 동향 1도토리 김민성
3509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상시 근골격 모니터링과 재활을 위한 온스킨 센서 디바이스 기술 1도토리 김민성
3508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우주방사선 환경 ICT 소자 영향 및 개발 동향 1도토리 김민성
3507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테라헤르츠파 기반 대인 보안검색 기술의 동향과 발전 전망 1도토리 김민성
3506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결함허용 양자컴퓨팅 시스템 기술 연구개발 동향 1도토리 김민성
350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2 산업기술 환경예측 7도토리 김민성
350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One & Only 차세대 디지털 자산 「NFT」 1도토리 김민성
3503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사회적 문제해결을 위한 임무 지향적 혁신정책의 과제 1도토리 김민성
350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일본 에너지 기반 산업의 녹색전환(GX) 방향성 3도토리 김민성
3501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선박운항 탄소중립을 위한 재생에너지 활용 1도토리 김민성
3500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재난 대응 로봇 기술 동향과 발전 방향 3도토리 김민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