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시장분석] NFT 커지는 시장과 활용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강정훈 조회수 54
용량 352.03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시장분석] NFT 커지는 시장과 활용.pdf 352.03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4-18 
출처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페이지 수 :

□ NFT 개념 ㅇ 대체 불가능한 토큰(Non-Fungible Token)인 NFT는 블록체인상에서 유통되는 특정 자산을 나타내는 토큰의 한 종류로, 고유성을 가지고 있어 상호 교환할 수 없는 토큰을 뜻함 - 대체가능(fungible)한 토큰이란 동일한 기능이나 가치를 가진 단위를 뜻하며, 서로 교환이 가능하여 동일한 단위의 교환이 있었다면 교환이 발생하지 않았던것과 같다고 생각할수 있으며, 암호화폐(비트코인 등)나 명목화폐가 있음 - 대체불가능(non-fungible)한 토큰이란 고유성을 가진 디지털 항목을 뜻하며, 특정 개인이나 기관으로부터 인증을 받아 고유성을 보장받는 전통 방식과 달리 아무나 복제할 수 있는 ‘디지털 파일’에 대해서도 ‘고유 소유권’을 발행하는 데에사용될 수 있는 기술이 NFT이며, 암호화된 거래내역을 블록체인에 영구적으로남김으로써 고유성을 보장받을 수 있음 □ NFT 시장 ㅇ Global Market Estimates에서 발행한 시장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대체 불가능한 토큰(Non-Fungible Token, NFT) 시장은 2021년 부터 2026년 사이에 연평균성장율 CAGR(Compound Annual Growth Rate) 185.0%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빠른 성장을 보이고 있음 ㅇ 미국 NFT 판매량은 2020년 9,500만 달러 미만에서 2021년 1분기 12억 달러, 2분기 13억 달러, 2021년 3분기 107억 달러로 꾸준히 성장 2022 주간 글로벌 ICT 동향 & 이슈 리포트□ NFT 국내·외 동향 ㅇ 최초의 NFT는 2014년 케빈 맥코이의 작품 ‘퀀텀(Quantum)’으로 저작권과 소유권을 블록체인에 기록하면서 시작되었으며, 디지털 아티스트인 맥코이는 ‘예술가들이 자신의 디지털 작품을 팔고, 추적할 수있게 하자’는 아이디어로 NFT를 발행 - 초기 NFT는 진품을 구분하는 것이 중요하고 희소성이 있는 예술분야에서먼저 활용되며 성장하였으나, 소유권을 분야에서 뿐만아니라 다양한영역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는 추세 - NFT는 디지털 플랫폼상의 디지털정보 뿐만이 아니라 해당 디지털정보에 대한 소유권까지 포함하며, NFT는 디지털 파일, 디지털 파일의 고유성을 표시하는 고유 식별자, 파일 속성을 설명하는 메타데이터로 이루어져 있음 ㅇ NFT 기반의 메타버스 플랫폼(NFT 게임)을 운영하는 더 샌드박스(The Sandbox)가 발행하는 샌드박스 코인 가치는 많은 가상자산 투자자들의 관심과 투자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 2020년에 시작된 더샌드박스는 이더리움 기반 코인인 샌드(SAND)를 활용하여창작물을 제작하여 소유권을 얻고, 나아가 수익화 구조로 이끌 수 있는 가상세계로, 게임을 플레이하는 사용자와 게임 내 창작물을 만드는 창작자는 더 샌드박스 플랫폼을 통해 샌드 획득과 자신이 제작한 창작물의 저작권까지 확보할 수 있음- 페이스북은 ‘21년 10월 메타(Meta)로 사명을 변경하였고 메타버스 플랫폼을구축하고 NFT를 이용하여 온라인 경제활동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메타버스 중심으로의 전환 계획을 발표. 최근에는 페이스북에 대체불가능한토큰 관련 기능 도입을 통해 사용자가 만든 사진, 동영상 등 콘텐츠 창작자에 대한 보상과커뮤니티 유대감을 NFT로 강화하여 새로운 수익원을 창출하겠다는 계획임ㅇ 블록체인 기반 신규 서비스로 각광받는 NFT 사업에 국내 주요 대기업도참여하고 있으며, IT 및 통신분야 대기업들이 속속 NFT 발행과 플랫폼 확장하거나 NFT 관련 사업에 투자하고 있음 - 카카오는 자회사 그라운드X가 개발한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Klaytn) 기반으로NFT 발행부터 거래, 소셜네트워크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 제공 예정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739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완전자율주행을 위한C-V2X의 표준 및 미래 전망 및 생태계 1도토리 조현상
3738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글로벌 기업들의 케냐 창업생태계 진출 확대 1도토리 조현상
3737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베트남 스마트 팩토리에 대한 동향 1도토리 조현상
373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실리콘밸리, 글로벌 혁신주도권 변화 움직임 및 2022년도 Q2 테크 기업 마켓 전망 1도토리 조현상
373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디지털 전환의 미래사회 위험이슈 및 대응 전략, 인공지능 역기능을 중심으로 3도토리 조현상
373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전략 1도토리 이지훈
373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사업체 규모별 청년 고용의 분포적 특성과 시사점 1도토리 이지훈
373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국내 제조업의 혁신투자 1도토리 이지훈
3731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2022년 소상공인 보증공급 정책 방향 1도토리 오민아
3730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기준금리 상승이 주요 제조업에 미치는 영향 및 시사점 1도토리 오민아
372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시니어 기술창업 실태와 활성화 방안 1도토리 오민아
372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대전환 시대 탄력적 글로벌가치사슬(GVC) 구축 및 한국에 대한 시사점 3도토리 오민아
3727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빅데이터 이용 활성화를 통한 한국관광 발전 1도토리 오민아
372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글로벌 공급망을 둘러싼 대외 여건 변화와 대응 방안 1도토리 오민아
3725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빅데이터 시대의 효율적 플랫폼 정부 방안 1도토리 오민아
3724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유로지역 국채 스프레드 변동성 확대 배경과 전망 1도토리 오민아
372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50가지 키워드로 본 한국 디자인 진흥 50년 7도토리 오민아
3722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천연가스 공급차질관련 독일경제 리스크 평가 1도토리 오민아
3721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EU 이사회,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합의안 주요 내용 1도토리 오민아
3720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글로벌 백신 공급망과 수출 동향 1도토리 오민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