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시장분석] NFT 커지는 시장과 활용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강정훈 조회수 54
용량 352.03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시장분석] NFT 커지는 시장과 활용.pdf 352.03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4-18 
출처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페이지 수 :

□ NFT 개념 ㅇ 대체 불가능한 토큰(Non-Fungible Token)인 NFT는 블록체인상에서 유통되는 특정 자산을 나타내는 토큰의 한 종류로, 고유성을 가지고 있어 상호 교환할 수 없는 토큰을 뜻함 - 대체가능(fungible)한 토큰이란 동일한 기능이나 가치를 가진 단위를 뜻하며, 서로 교환이 가능하여 동일한 단위의 교환이 있었다면 교환이 발생하지 않았던것과 같다고 생각할수 있으며, 암호화폐(비트코인 등)나 명목화폐가 있음 - 대체불가능(non-fungible)한 토큰이란 고유성을 가진 디지털 항목을 뜻하며, 특정 개인이나 기관으로부터 인증을 받아 고유성을 보장받는 전통 방식과 달리 아무나 복제할 수 있는 ‘디지털 파일’에 대해서도 ‘고유 소유권’을 발행하는 데에사용될 수 있는 기술이 NFT이며, 암호화된 거래내역을 블록체인에 영구적으로남김으로써 고유성을 보장받을 수 있음 □ NFT 시장 ㅇ Global Market Estimates에서 발행한 시장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대체 불가능한 토큰(Non-Fungible Token, NFT) 시장은 2021년 부터 2026년 사이에 연평균성장율 CAGR(Compound Annual Growth Rate) 185.0%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빠른 성장을 보이고 있음 ㅇ 미국 NFT 판매량은 2020년 9,500만 달러 미만에서 2021년 1분기 12억 달러, 2분기 13억 달러, 2021년 3분기 107억 달러로 꾸준히 성장 2022 주간 글로벌 ICT 동향 & 이슈 리포트□ NFT 국내·외 동향 ㅇ 최초의 NFT는 2014년 케빈 맥코이의 작품 ‘퀀텀(Quantum)’으로 저작권과 소유권을 블록체인에 기록하면서 시작되었으며, 디지털 아티스트인 맥코이는 ‘예술가들이 자신의 디지털 작품을 팔고, 추적할 수있게 하자’는 아이디어로 NFT를 발행 - 초기 NFT는 진품을 구분하는 것이 중요하고 희소성이 있는 예술분야에서먼저 활용되며 성장하였으나, 소유권을 분야에서 뿐만아니라 다양한영역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는 추세 - NFT는 디지털 플랫폼상의 디지털정보 뿐만이 아니라 해당 디지털정보에 대한 소유권까지 포함하며, NFT는 디지털 파일, 디지털 파일의 고유성을 표시하는 고유 식별자, 파일 속성을 설명하는 메타데이터로 이루어져 있음 ㅇ NFT 기반의 메타버스 플랫폼(NFT 게임)을 운영하는 더 샌드박스(The Sandbox)가 발행하는 샌드박스 코인 가치는 많은 가상자산 투자자들의 관심과 투자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 2020년에 시작된 더샌드박스는 이더리움 기반 코인인 샌드(SAND)를 활용하여창작물을 제작하여 소유권을 얻고, 나아가 수익화 구조로 이끌 수 있는 가상세계로, 게임을 플레이하는 사용자와 게임 내 창작물을 만드는 창작자는 더 샌드박스 플랫폼을 통해 샌드 획득과 자신이 제작한 창작물의 저작권까지 확보할 수 있음- 페이스북은 ‘21년 10월 메타(Meta)로 사명을 변경하였고 메타버스 플랫폼을구축하고 NFT를 이용하여 온라인 경제활동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메타버스 중심으로의 전환 계획을 발표. 최근에는 페이스북에 대체불가능한토큰 관련 기능 도입을 통해 사용자가 만든 사진, 동영상 등 콘텐츠 창작자에 대한 보상과커뮤니티 유대감을 NFT로 강화하여 새로운 수익원을 창출하겠다는 계획임ㅇ 블록체인 기반 신규 서비스로 각광받는 NFT 사업에 국내 주요 대기업도참여하고 있으며, IT 및 통신분야 대기업들이 속속 NFT 발행과 플랫폼 확장하거나 NFT 관련 사업에 투자하고 있음 - 카카오는 자회사 그라운드X가 개발한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Klaytn) 기반으로NFT 발행부터 거래, 소셜네트워크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 제공 예정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519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2022년 인도네시아 스타트업산업 동향 1도토리 정한솔
3518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2022년 인도네시아 OTT시장 동향 해외 콘텐츠기업 탐방 1도토리 정한솔
351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호주 콘텐츠 산업동향 1도토리 정한솔
351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콘텐츠, 가상융합경제의 혈액이 되다 1도토리 강정훈
»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NFT 커지는 시장과 활용 1도토리 강정훈
351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친환경 소비시대, 부상하는 그린슈머를 공략하라! 7도토리 강정훈
3513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메타버스, XR로 꽃피우다 7도토리 조정희
3512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AMD의 반도체 기술 동향 및 시사점 1도토리 한상윤
3511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마이크로 LED 전사, 접합, 그리고 불량 화소 수리 기술 1도토리 한상윤
3510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데이터센터 통신용 광소자 및 광부품 기술 동향 1도토리 김민성
3509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상시 근골격 모니터링과 재활을 위한 온스킨 센서 디바이스 기술 1도토리 김민성
3508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우주방사선 환경 ICT 소자 영향 및 개발 동향 1도토리 김민성
3507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테라헤르츠파 기반 대인 보안검색 기술의 동향과 발전 전망 1도토리 김민성
3506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결함허용 양자컴퓨팅 시스템 기술 연구개발 동향 1도토리 김민성
350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2 산업기술 환경예측 7도토리 김민성
350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One & Only 차세대 디지털 자산 「NFT」 1도토리 김민성
3503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사회적 문제해결을 위한 임무 지향적 혁신정책의 과제 1도토리 김민성
350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일본 에너지 기반 산업의 녹색전환(GX) 방향성 3도토리 김민성
3501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선박운항 탄소중립을 위한 재생에너지 활용 1도토리 김민성
3500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재난 대응 로봇 기술 동향과 발전 방향 3도토리 김민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