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기술동향] 우주방사선 환경 ICT 소자 영향 및 개발 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김민성 조회수 134
용량 2.22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기술동향] 우주방사선 환경 ICT 소자 영향 및 개발 동향.pdf 2.22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4-04 
출처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페이지 수 :

Ⅰ. 서론 지금까지 우주로 간 전장품의 오작동 원인 중 약 30%가 우주방사선의 영향으로 알려져 있다. 우주 환경에서의 방사선은 심우주로부터의 고에너지 우 주입자(Galactic Cosmic Ray), 태양으로부터의 고에너 지 우주입자(Solar Cosmic Ray), 지구 자계에 포획된 고에너지 입자 띠(Van Allen Radiation Belts) 등으로 분 류되며, 약 85% 양성자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또 한, 이러한 우주방사선이 지구 초기 대기권에 충돌 해 2차 우주방사선을 만들며 또다시 다른 대기권 기 체와 충돌을 일으켜 중성자, 알파, 베타, 감마 등 연 쇄적으로 2차 방사선을 발생시킨다(그림 1). 이들 우 주방사선의 에너지 입자들은 랜덤하게 전장품과 충돌하여 오작동에 영향을 끼치며 ICT(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부품이 고집적화될수록 고준위 우주방사선 노출 영향에 대한 우려도 커지 고 있다. 고신뢰성을 요구하는 우주, 항공, 원자력, 우주방사선 환경 ICT 소자 영향 및 개발 동향 ICT Device Impacts and Development Trends on Cosmic Radiation Environment 이윤식 (Y. Yi, yyi@etri.re.kr) 나노전자원소자연구실 선임연구원 정성근 (S.K. Jeong, skjeong@mid-space.com) ㈜엠아이디 대표 황인록 (I. Hwang, inrok.hwang@sk.com) ㈜SKHynix 선행품질&분석/신뢰성팀 책임연구원 양용석 (Y.S. Yang, jullios@etri.re.kr) 나노전자원소자연구실 책임연구원/기술총괄 이명래 (M.L. Lee, mllee@etri.re.kr) 나노전자원소자연구실 책임연구원/실장 서동우 (D. Suh, dwsuh@etri.re.kr) 소재부품원천연구본부 책임연구원/본부장 ABSTRACT Cosmic radiation environments having extremely high-energy particles and photons cause severe malfunctions of electrical components in space and terrestrial regions. In this study, we revisit basic knowledge on radiation effects in ICT electrical devices, such as single event effect, total ionizing dose, and displacement damage. To avoid such soft errors and system failures, we introduce essential technical approaches from the perspectives of materials, layouts, circuits, and systems, including current research trends. By considering several techniques and Space EEE part standards, we suggest possible directions that can invoke New Space Era technology. KEYWORDS ICT전자부품, 내방사선, 방사선차폐, 우주방사선 ©2022 Author * DOI: https://doi.org/10.22648/ETRI.2022.J.370203 * 본 연구 논문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연구운영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되었음[21YB2810, 저차원 나노물질을 이용한 우주환경 내방사 선 소자 및 경량 차폐 소재 개발]. 22 전자통신동향분석 제37권 제2호 2022년 4월 의료 분야에서 내방사화 기술의 부재는 우주탐사 의 임무 실패뿐만 아니라 사회 기반 시설의 오작동 으로 이어져 막대한 물적·인적 손실을 초래할 수 있 다. 따라서 ICT 소자의 우주방사선 환경의 영향을 검토하며 개발 동향을 고찰한다. Ⅱ. 우주방사선의 영향 태양 플레어, 초신성, 감마선 폭발 등 다양한 천문 사건을 통해 가속되어 방출되는 방사선은 높은 운동 에너지를 가지며(~수백 MeV), 원자의 궤도전자 또는 원자핵과 충돌하여 상호작용하게 된다. 물질과 방사 선원별 충돌 시 상호작용은 그림 2에 나타내었다. 높은 에너지 준위를 갖는 감마선 전자파는 물질 과 상호작용하여 흡수되는 경우 대부분 매질을 전 리시킨다. 하전 입자 역시 물질을 전리시키며 2차 방사선을 발생한다. 중성자선은 직접적으로 물질을 이온화시키지 않지만, 원자와 충돌하여 2차 방사선 을 발생한다. 이러한 방사선 상호작용은 발생빈도 가 비교적 높은 우주, 고고도 지구 대기 환경에서 전 자부품에 치명적인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1. 단위소자 방사선 영향(TID, SEE etc.) 방사선이 단위 소자에 충돌하여 발생하는 손상 메커니즘은 방사선의 종류와 에너지에 따라서 매질 이 전리되어 발생하는 이온화 영향(Ionizing Effects)과 원자와 충돌하여 발생하는 격자 변위(Lattice Displacement) 두 가지로 크게 나뉜다. 이러한 기작으로 인해 전장부품은 다양한 오작동 현상들이 발생하게 된 다. 표 1에서는 대표적인 반도체 손상 유형을 정리 하였다. 표 1의 오작동들 중 전자장비를 지속적으로 손상 시키는 TID(Total Ionizing Dose; 총이온화 선량) 효과는 방사선에 노출된 시간 동안 반도체 소자의 손상이 누적되는 현상으로, 지속적으로 반도체 소자의 성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488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메타버스 개념과 대중화를 위한 핵심 1도토리 노민우
3487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수소법 개정안, 1년 만에 딛는 첫 발 1도토리 노민우
348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반도체_코로나보다 무서운 도시 봉쇄 1도토리 이지훈
348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5월 FOMC : 시장 달래기 실패. 4월 CPI(11일) 결과에 주목 1도토리 이지훈
348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디지털 전환 가속화를 위한 핵심 과제 및 대응전략: DTaaS 3도토리 나혜선
3483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유럽연합 디지털시장법 합의안의 주요 내용 및 시사점 3도토리 나혜선
3482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국가별 영상정보처리기기 관련 법안 고찰 1도토리 나혜선
3481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美 CBDC 정책 최근 동향: 관망에서 가장 시급으로 입장 변화 3도토리 나혜선
3480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의료 장비 전자파적합성(EMC) 표준 동향 1도토리 나혜선
3479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MIV(MPEG Immersive Video) 표준기술 개발동향 1도토리 나혜선
3478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지능형 무선 액세스 핵심 기술 1도토리 정한솔
3477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차세대 SSD 키-밸류 DB 적용 분산 스토리지 시스템 1도토리 정한솔
3476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개방형 스마트홈 연동 표준 매터의 주요 특징과 시장 전망 1도토리 정한솔
3475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슬기로운 디지털 트윈 댐ㆍ하천 플랫폼 1도토리 정한솔
3474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ESS 통합관리 안전운영 기술 1도토리 정한솔
3473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MPEG 포인트 클라우드 및 메시 압축 표준화 동향 1도토리 정한솔
3472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디지털 트윈 기술의 최근 국내외 사업화 동향 1도토리 황세영
3471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비정상적인 교통 상황 감지 기술 1도토리 황세영
3470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인공지능 기반 이차전지 상태분석 솔루션 1도토리 황세영
3469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메타버스 시대를 위한 고성능 병렬컴퓨팅 기술개발 동향 1도토리 황세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