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정책분석] 중대재해처벌법의 올바른 인식과 중소기업의 대응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이지훈 조회수 103
용량 589.98K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정책분석] 중대재해처벌법의 올바른 인식과 중소기업의 대응.pdf 589.98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28 
출처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페이지 수 : 24 

< 목 차 >

 

1. 서론

2. 「중대재해처벌법」의 주요 내용

3. 유형별 중대재해 사례 및 재해예방 대책

4. 중소기업의 대응과 정부 지원사업의 적극적 활용

5. 향후 과제

 


 

 산업재해로 인한 사망사고의 대부분이 중소기업에서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서 「중대 재해처벌법」의 시행을 둘러싼 중소기업의 우려가 커지고 있음 • ‘21년 9월 기준 전체 사망사고자의 94.7%가 중소기업에서 발생 • 중소기업은 대기업에 비해 인력·재정적 여건이 부족하여 「중대재해처벌법」의 안전보건 확보의무 준수가 어려운 상황 • 「중대재해처벌법」을 둘러싼 불필요한 우려가 확산되는 것은 사업주·경영책임자등에 대한 처벌만 부각되고 있기 때문  「중대재해처벌법」의 주요내용은 ‘적용범위 및 시기’, ‘안전보건 확보의무’, ‘안전보건 위반 시 제재’임 • 이 법은 상시 근로자 5인 이상을 고용하고 있는 사업장을 대상으로 하며 원칙적으로 ‘21.1.27.부터 시행(규모·공사금액에 따라 일부 적용시기 차등) • 사업주·경영책임자등에게는 사업 또는 사업장의 종사자에 대한 안전보건 확보의무가 부과되며, 제3자에게 도급·용역·위탁 등을 한 경우에도 해당 • 안전보건 확보의무 위반 시 재제로 처벌 및 양벌규정이 있지만, 사업주·경영책임자 등이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및 안전보건 확보의무를 다하였다면 처벌되지 않으며 법인·기관도 안전보건 위반행위 방지를 위해 상당한 주의·감독을 한 경우 면책가능  중소기업은 「중대재해처벌법」 대응을 위해 안전보건을 최우선 핵심가치로 설정하고, 정부의 다양한 예방정책과 지원사업을 활용하여 안전보건 확보의무를 준수해야 함 • (중소기업의 대응) 안전보건 핵심가치 설정, 안전보건 교육과 안전문화 조성, 안전보건경영시스템 구축 및 인증 취득, 중소기업을 위한 안전보건관리 자율점검표 활용 등 • (정부 지원 사업) 위험성평가지원시스템, 중소규모 화학공장 기술지도, 안전보건관리 체계 구축 컨설팅, 클린사업장 조성지원, 산업재해예방시설 융자지원, 중소기업 혁신바우처 사업, 대·중소기업 혁신파트너십 등  중소벤처기업청, 지방고용노동청 등을 중심으로 「중대재해처벌법」에 대한 주기적인 설명회 개최 및 안정적인 제도정착을 위한 추가 지원사업 발굴 • 권역별·업종별·규모별 설명회 및 간담회 개최를 통해 중소기업의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현황 및 애로사항을 확인하고 추가 지원사업 발굴 필요  중소기업의 다양성과 중대재해사고의 복잡성을 감안하여 사례별 구체적 면책 기준을 명시적으로 밝혀 법의 실효성을 높이는 방안 강구 • 처벌 및 면책에 대한 명확한 판단기준과 구체적인 사례가 제시되고 있는 않은 상황은 오히려 「중대재해처벌법」에 대한 우려를 확산시킬 뿐임 • 기존 중대산업재해 사례를 「중대재해처벌법」으로 재구성하여 명확한 판단기준을 제시하고, 우수사례집 발간 등을 통해 중소기업의 우려를 불식시키려는 노력 필요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468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도시가스 디지털트윈 구축을 위한 BIM LOD 3D 구현 방안 1도토리 황세영
3467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유럽반도체법(A Chips Act for Europe) 1도토리 정한솔
346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이스라엘의 기후기술 생태계 1도토리 정한솔
346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美 첨단 제조산업 지원을 위한 국가 프로그램 1도토리 정한솔
346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美 상무부, 정보통신기술(ICT) 산업 공급망 평가 및 지원책 1도토리 정한솔
346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도의 전자상거래 산업 동향 1도토리 정한솔
346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美 에너지부, 중·대형 트럭 제로 배출(ZEV) 연구보고서 1도토리 정한솔
346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독일 재생에너지 확대 가속화 정책(부활절 패키지) 및 동향 1도토리 황세영
346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이스라엘 첨단 산업에서의 여성 참여 현황 1도토리 황세영
345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2년 中 게임산업을 이해하는 4가지 키워드 3도토리 정한솔
345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해외 콘텐츠기업 탐방 - 후어얼궈스차이티오우영상유한공사 1도토리 황세영
345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베트남 내 게임 출시 및 유통 현황, 법률체계 3도토리 황세영
345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태국 대중문화 콘텐츠에 나타나는 문화코드 - 드라마를 중심으로 1도토리 황세영
345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해외 콘텐츠기업 탐방 1도토리 황세영
345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저성장의 함정에 빠진 중국 콘텐츠시장 3도토리 황세영
345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2년 미국 비디오게임 산업 현황 및 전망 1도토리 정한솔
345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베트남 애니메이션 판권 수출입 동향 및 법률체계 3도토리 정한솔
3451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2022년 인도네시아 게임시장 동향 1도토리 정한솔
3450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2022년 인도네시아 스타트업산업 동향 1도토리 정한솔
3449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2022년 인도네시아 OTT시장 동향 해외 콘텐츠기업 탐방 1도토리 정한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