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정책분석] 소상공인·자영업자 맞춤형 부채 관리 방안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이지훈 조회수 40
용량 569.15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정책분석] 소상공인·자영업자 맞춤형 부채 관리 방안.pdf 569.15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3-08 
출처 : 중소벤처기업연구원 
페이지 수 : 17 

 코로나19로 급증한 소상공인·자영업자 대출이 국내 핵심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음 • 부실 위험이 큰 다중채무자·저소득자·비은행권의 자영업자 대출 비중이 확대되고 있으며, 영세 업종 및 코로나 타격 업종에 취약대출자가 집중 - 자영업자 대출 현황(조 원, 분기) : 670.6(‘19.3) → 777.4(‘20.3) → 887.5(‘21.3)  늘어나는 부채는 소상공인·자영업자의 도산 위험성을 증대시킬 뿐 아니라 금융 시스템과 사회 전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사회적 거리두기 여파로 소상공인·자영업자들의 소득이 개선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 에서 대출과 이자 상환 부담 가중은 도산 위험성을 높임 - 자영업자 LTI(%) : 195.9(‘20.1분기) → 357.3(‘21.1분기) → 562.0(‘21.3분기) - 자영업자 DSR(%) : 41.2(‘19년) → 35.5(‘20년) → 37.8e)(‘21년) → 39.1e)(지원 유지 시, ‘22년) / 41.3%e)(지원 종료 시, ‘22년) • 대출액이 큰 다중채무자는 고금리의 다른 대출로 빚을 돌려막을 가능성이 높으며, 부실화될 경우 금융기관으로 리스크가 확대될 수 있음 • 부채의 질이 악화되고 경영과 가계소득이 부진하며 기준금리가 인상되고 있는 상황에서 소상공인·자영업자 대출 회수는 사회적 부담을 높일 수 있음 - 담보대출과 일시·단기 상환 비중이 높은 상황에서 금리 인상과 부동산 가격 하락 시 자영업자 채무 상환 능력이 급격히 떨어질 수 있음 - 이런 상황에서 금융기관들이 경쟁적으로 대출 회수에 나설 경우, 한계 소상공인·자 영업자를 취약가구로 전락시키고, 실업을 양산하여 사회적 부담을 높일 수 있음  본 보고서는 소상공인·자영업자 대출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았으며, 다음과 같은 맞춤형 부채 조정방안과 연착륙에 대한 시사점 제시함 • 맞춤형 부채 관리 방안 제시 - 행정명령 대상 사업자에 대한 고정금리 대환 대출 시행, 맞춤형 이자 지원, 단계별 이자 유예 및 면제, 이용 편의성을 높이는 채무변제계획 컨설팅, 거치 및 상환기간 연장 등 검토하여 제시함 • 담보대출에 대한 단계적 융자조정 및 운전자금 부채조정 프로그램 등을 통한 부채 일부 감면 방안 제시 - 점포 유지를 위해 코로나19 이후 받은 가계부채 및 부동산담보대출에 대해서는 일정 부분 피해액으로 간주하여 지원할 필요 - 소상공인·자영업자 부채조정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운전자금의 대출 원금, 이자, 수수료 일부 면제 • 정책 지원을 통한 부채 관리 방안 제시 - 소상공인·자영업자 전문가를 참여시키고 소상공인 부채 문제에 대해서는 범정부 차원의 논의 필요 - 일정 조건이 충족된 소상공인·자영업자의 폐업을 인정하고, 원금 일부 면제를 포함한 패키지 정책 시행과 경영안정 중심의 정책 비중을 확대할 필요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소상공인·자영업자 맞춤형 부채 관리 방안 1도토리 이지훈
349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주요국의 소상공인·자영업자 지원제도 비교 : 재생·폐업, 신용회복, 특별구제 중심으로 3도토리 이지훈
348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소상공인 부채 문제 해결을 위한 현실적 정책방안 1도토리 이지훈
3488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이 중소기업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3도토리 이지훈
348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1년 의약품 허가보고서 7도토리 국준아
3486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수전해 그린수소와 나노기술 3도토리 국준아
348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코로나19 이후의 소득보장체계 구축방향 1도토리 국준아
348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전자금융거래법 개정이 금융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과 보완과제 1도토리 국준아
3483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2022년 한국 경제 수정 전망 1도토리 국준아
3482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 슬로플레이션 가능성 점증 3도토리 이지훈
3481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엥겔계수, 2000년 이후 21년 만 최고치 1도토리 이지훈
348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동 지역의 재생에너지 발전 전망 및 시사점 3도토리 이지훈
347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서방의 대러시아 제재의 영향 3도토리 이지훈
347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동남아 디지털 플랫폼 경제의 현황과 전망 3도토리 나혜선
3477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전일제 환산 취업자로 본 고용의 변화 3도토리 나혜선
347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우크라이나 위기와 러·미 갈등:주요 쟁점과 시사점 1도토리 나혜선
347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스리랑카 경제위기의 주요 원인과 전망 1도토리 나혜선
347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중국 개인정보 보호법의 주요 내용과 전망 1도토리 국준아
3473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유럽 반도체 법안의 주요 내용 및 전망 1도토리 국준아
347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인도 5개 주 의회 선거결과와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