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정책분석] 소상공인 부채 문제 해결을 위한 현실적 정책방안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이지훈 조회수 36
용량 1.03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정책분석] 소상공인 부채 문제 해결을 위한 현실적 정책방안.pdf 1.03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4-01 
출처 : 중소벤처기업연구원 
페이지 수 : 20 

 코로나19로 소상공인 경영여건이 악화되면서 월 이자비용조차 감당하기 힘든 현실 • ’20년 소상공인의 연간 매출액은 2억 2,400만원으로 전년대비 5% 감소한 반면, 영업이익은 1,900만원으로 전년 대비 43% 감소함  소상공인은 창업 시점부터 대출에 의존할 수밖에 없으며, 이 같은 구조적 한계로 코로나 대유행 이후 소상공인의 재무적 취약성은 더욱 가속화됨 • 소상공인 창업은 재산 대부분을 투입하거나, 상당 부분을 차입에 의존함 • 소상공인은 과도한 부채로 폐업 시 투자금 상실과 신용불량자로 추락할 가능성이 큼  소상공인의 어려움이 가중되면서 적잖은 소상공인이 폐업을 희망하나, 폐업 시 대출을 일시에 상환해야 하는 부담 탓에 폐업 또한 용이하지 않음 • 소상공인의 40.8%가 폐업을 고려하고 있으나, 폐업 시 부채 일시 상환 의무는 폐업 과정에서 큰 부담으로 작용함 • 이 때문에 사업이 부진하더라도 사업을 접지 못한 채 대출로 사업을 연명하고, 이는 소상공인의 사업 환경을 더욱 경쟁적으로 만드는 악순환으로 이어짐  금융기관은 폐업을 신청한 소상공인에게 대출유형별로 추심을 진행하고, 채무 상환 능력이 부족한 소상공인은 추심 과정에서 채무 독촉에 노출될 뿐만 아니라 상환 과정 또는 파산 이후 정상적인 금융활동을 영위할 수 없음 • 금융위원회는 코로나19 대응 차원에서 취약 개인채무자의 대출 상환부담 경감을 위해 가계대출 프리워크아웃 특례, 신용회복위원회 채무조정 특례 등을 도입했으나, 실질적인 원리금 감면 수준이 낮다는 점이 한계로 지적됨  소상공인 부채 문제의 해결은 이 같은 실정을 감안할 때, 부채 부담 경감을 넘어 생태계의 사업 환경을 재구축한다는 관점에서 현실적으로 접근해야 함  이를 위해 배드뱅크 펀드 조성을 통한 과감한 채무 조정과 폐업 및 재기 지원을 강화 하고, 소상공인 부채 문제 해결을 위한 통합적 조정기구 운영을 제안함 • 소상공인 전용 징검다리 펀드(배드뱅크) 조성 - 펀드를 통해 소상공인 부실채권을 인수하고, 소상공인에 대한 과감한 채무 재조정을 시행해 채무부담 경감과 한계 소상공인에 대한 폐업을 촉진함 - 펀드의 자본은 정부의 출자와 시중은행의 출연금으로 조성하여 추진 - 소상공인 채무 재조정 활동이 최근 언급되고 있는 소상공인 50조 손실보상금 지원 정책과 병행될 경우 광범위한 파급효과가 기대됨 • 폐업 및 재기 지원 강화 - 폐업을 신청한 소상공인이 채무 독촉에 노출되지 않도록 징검다리 펀드를 신청할 경우 연체 기간 없이 채무를 탕감·조정하도록 제도를 설계해야 함 - 현행 폐업 지원제도의 지원 금액이 실제 필요한 비용보다 적기 때문에 한계 소상공인의 폐업이 현실적으로 가능하도록 폐업 지원 규모를 확대해야 함 - 폐업지원을 받은 소상공인이 교육지원을 병행하도록 지원하고, 소상공인의 고령자 비중을 감안해 고령 소상공인의 전직을 위한 교육 강화가 필요함 • 통합적 조정 기구의 운영 - 소상공인 부채의 구조적 문제는 단일부처의 대응으로는 해결하는데 한계가 있어, 범부처적 조정기구가 지속적으로 대응해야 함 - 코로나19 유행에 따른 경기 침체에 대응하기 위해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가 출범 하였으나, 신정부 출범 후에도 해당 조직이 지속될지는 불투명함 - 소상공인의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범부처 통합 조정기구를 운영하고, 소상 공인 부채 부담 축소와 자영업자 비중 감축에 관한 명시적 목표를 부과해야 함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49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소상공인·자영업자 맞춤형 부채 관리 방안 1도토리 이지훈
349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주요국의 소상공인·자영업자 지원제도 비교 : 재생·폐업, 신용회복, 특별구제 중심으로 3도토리 이지훈
»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소상공인 부채 문제 해결을 위한 현실적 정책방안 1도토리 이지훈
3488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이 중소기업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3도토리 이지훈
348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1년 의약품 허가보고서 7도토리 국준아
3486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수전해 그린수소와 나노기술 3도토리 국준아
348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코로나19 이후의 소득보장체계 구축방향 1도토리 국준아
348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전자금융거래법 개정이 금융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과 보완과제 1도토리 국준아
3483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2022년 한국 경제 수정 전망 1도토리 국준아
3482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 슬로플레이션 가능성 점증 3도토리 이지훈
3481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엥겔계수, 2000년 이후 21년 만 최고치 1도토리 이지훈
348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동 지역의 재생에너지 발전 전망 및 시사점 3도토리 이지훈
347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서방의 대러시아 제재의 영향 3도토리 이지훈
347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동남아 디지털 플랫폼 경제의 현황과 전망 3도토리 나혜선
3477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전일제 환산 취업자로 본 고용의 변화 3도토리 나혜선
347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우크라이나 위기와 러·미 갈등:주요 쟁점과 시사점 1도토리 나혜선
347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스리랑카 경제위기의 주요 원인과 전망 1도토리 나혜선
347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중국 개인정보 보호법의 주요 내용과 전망 1도토리 국준아
3473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유럽 반도체 법안의 주요 내용 및 전망 1도토리 국준아
347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인도 5개 주 의회 선거결과와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