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기술분석] 수전해 그린수소와 나노기술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129
용량 4.85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기술분석] 수전해 그린수소와 나노기술.pdf 4.85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4-08 
출처 : 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 
페이지 수 : 48 

< 목 차 >

 

1. 개요

2. 수전해 그린수소 기술동향

3. 수전해 그린수소 산업동향

4. 정책동향

5. 시사점 및 정책 제언

 


 

한국, 유럽연합, 중국, 일본, 미국 등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UN에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와 ‘2050 장기저탄소발전전략(LEDS)’을 제출하고 탄소중립을 본격 추진 195개 당사국에게 온실가스 감축 의무가 부여되었으며, 우리나라도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전망치 (BAU, Business As Usual) 대비 37% 감축 의무 부여 유성종 | KIST 수소ㆍ연료전지연구단 책임연구원 정남기 | 충남대학교 에너지과학기술대학원 교수 정동영 | GIST 화학과 교수 01 개요 수전해 그린수소와 나노기술 05 그림 1 주요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전 세계 온실가스 감축 목표 국가명 감축 목표(%) 목표 연도 기준 연도 목표 유형 국제 탄소시장 대한민국 37 2030 - BAU ○ 미국 26~28 2025 2005 절대량 × 중국 60~65 2030 2005 집약도 - EU 40 2030 1990 절대량 × 러시아 25~30 2030 1990 절대량 × 일본 26 2030 2013 절대량 ○ 인도 33~35 2030 2005 집약도 ○ 캐나다 30 2030 2005 절대량 ○ 호주 26~28 2030 2005 절대량 - 멕시코 (無조건) 25 (조건부) 40 2030 - BAU ○ 스위스 50 2030 1990 절대량 ○ 국내 온실가스 감축 목표 : 배출전망치(BAU) 대비 37% 감축 2030년 온실가스 감축목표 2030년 배출전망(BAU): 8억 5,060만톤CO2-e 900 800 700 600 500 400 2030년 BAU:850.6 BAU 대비 ▲37.0% 2030년 목표 출처: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INDC) ■ 전 세계는 현재 석유, 석탄 등 전통적 화석에너지 대신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를 이용한 전력생산 확대 방안 모색 전 세계 재생에너지 발전량은 2050년까지 62%까지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우리나라를 포함한 주요 선진국들은 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 확대 중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468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도시가스 디지털트윈 구축을 위한 BIM LOD 3D 구현 방안 1도토리 황세영
3467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유럽반도체법(A Chips Act for Europe) 1도토리 정한솔
346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이스라엘의 기후기술 생태계 1도토리 정한솔
346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美 첨단 제조산업 지원을 위한 국가 프로그램 1도토리 정한솔
346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美 상무부, 정보통신기술(ICT) 산업 공급망 평가 및 지원책 1도토리 정한솔
346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도의 전자상거래 산업 동향 1도토리 정한솔
346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美 에너지부, 중·대형 트럭 제로 배출(ZEV) 연구보고서 1도토리 정한솔
346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독일 재생에너지 확대 가속화 정책(부활절 패키지) 및 동향 1도토리 황세영
346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이스라엘 첨단 산업에서의 여성 참여 현황 1도토리 황세영
345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2년 中 게임산업을 이해하는 4가지 키워드 3도토리 정한솔
345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해외 콘텐츠기업 탐방 - 후어얼궈스차이티오우영상유한공사 1도토리 황세영
345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베트남 내 게임 출시 및 유통 현황, 법률체계 3도토리 황세영
345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태국 대중문화 콘텐츠에 나타나는 문화코드 - 드라마를 중심으로 1도토리 황세영
345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해외 콘텐츠기업 탐방 1도토리 황세영
345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저성장의 함정에 빠진 중국 콘텐츠시장 3도토리 황세영
345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2년 미국 비디오게임 산업 현황 및 전망 1도토리 정한솔
345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베트남 애니메이션 판권 수출입 동향 및 법률체계 3도토리 정한솔
3451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2022년 인도네시아 게임시장 동향 1도토리 정한솔
3450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2022년 인도네시아 스타트업산업 동향 1도토리 정한솔
3449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2022년 인도네시아 OTT시장 동향 해외 콘텐츠기업 탐방 1도토리 정한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