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기술분석] 수전해 그린수소와 나노기술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109
용량 4.85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기술분석] 수전해 그린수소와 나노기술.pdf 4.85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4-08 
출처 : 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 
페이지 수 : 48 

< 목 차 >

 

1. 개요

2. 수전해 그린수소 기술동향

3. 수전해 그린수소 산업동향

4. 정책동향

5. 시사점 및 정책 제언

 


 

한국, 유럽연합, 중국, 일본, 미국 등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UN에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와 ‘2050 장기저탄소발전전략(LEDS)’을 제출하고 탄소중립을 본격 추진 195개 당사국에게 온실가스 감축 의무가 부여되었으며, 우리나라도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전망치 (BAU, Business As Usual) 대비 37% 감축 의무 부여 유성종 | KIST 수소ㆍ연료전지연구단 책임연구원 정남기 | 충남대학교 에너지과학기술대학원 교수 정동영 | GIST 화학과 교수 01 개요 수전해 그린수소와 나노기술 05 그림 1 주요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전 세계 온실가스 감축 목표 국가명 감축 목표(%) 목표 연도 기준 연도 목표 유형 국제 탄소시장 대한민국 37 2030 - BAU ○ 미국 26~28 2025 2005 절대량 × 중국 60~65 2030 2005 집약도 - EU 40 2030 1990 절대량 × 러시아 25~30 2030 1990 절대량 × 일본 26 2030 2013 절대량 ○ 인도 33~35 2030 2005 집약도 ○ 캐나다 30 2030 2005 절대량 ○ 호주 26~28 2030 2005 절대량 - 멕시코 (無조건) 25 (조건부) 40 2030 - BAU ○ 스위스 50 2030 1990 절대량 ○ 국내 온실가스 감축 목표 : 배출전망치(BAU) 대비 37% 감축 2030년 온실가스 감축목표 2030년 배출전망(BAU): 8억 5,060만톤CO2-e 900 800 700 600 500 400 2030년 BAU:850.6 BAU 대비 ▲37.0% 2030년 목표 출처: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INDC) ■ 전 세계는 현재 석유, 석탄 등 전통적 화석에너지 대신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를 이용한 전력생산 확대 방안 모색 전 세계 재생에너지 발전량은 2050년까지 62%까지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우리나라를 포함한 주요 선진국들은 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 확대 중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44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호주 콘텐츠 산업동향 1도토리 정한솔
344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콘텐츠, 가상융합경제의 혈액이 되다 1도토리 강정훈
3446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NFT 커지는 시장과 활용 1도토리 강정훈
344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친환경 소비시대, 부상하는 그린슈머를 공략하라! 7도토리 강정훈
344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메타버스, XR로 꽃피우다 7도토리 조정희
3443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AMD의 반도체 기술 동향 및 시사점 1도토리 한상윤
3442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마이크로 LED 전사, 접합, 그리고 불량 화소 수리 기술 1도토리 한상윤
3441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데이터센터 통신용 광소자 및 광부품 기술 동향 1도토리 김민성
3440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상시 근골격 모니터링과 재활을 위한 온스킨 센서 디바이스 기술 1도토리 김민성
3439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우주방사선 환경 ICT 소자 영향 및 개발 동향 1도토리 김민성
3438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테라헤르츠파 기반 대인 보안검색 기술의 동향과 발전 전망 1도토리 김민성
3437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결함허용 양자컴퓨팅 시스템 기술 연구개발 동향 1도토리 김민성
343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2 산업기술 환경예측 7도토리 김민성
343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One & Only 차세대 디지털 자산 「NFT」 1도토리 김민성
343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사회적 문제해결을 위한 임무 지향적 혁신정책의 과제 1도토리 김민성
343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일본 에너지 기반 산업의 녹색전환(GX) 방향성 3도토리 김민성
3432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선박운항 탄소중립을 위한 재생에너지 활용 1도토리 김민성
3431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재난 대응 로봇 기술 동향과 발전 방향 3도토리 김민성
3430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OECD 주관 국제 인공지능 콘퍼런스 현장 보고서 3도토리 김민성
342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북한의 과학기술 혁신정책 변화와 시사점 3도토리 민준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