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시장분석] 엥겔계수, 2000년 이후 21년 만 최고치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이지훈 조회수 41
용량 517.92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시장분석] 엥겔계수, 2000년 이후 21년 만 최고치.pdf 517.92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3-04 
출처 : 현대경제연구원 
페이지 수 : 15 

엥겔계수, 2000년 이후 21년 만 최고치 - 2021년 국민계정으로 살펴본 가계소비의 특징과 시사점 ■ 개 요 경제 발전 단계가 높아지고 국민소득이 증가하면서, 기본적인 생존과 관련된 의 식주 지출 비중은 감소하고 문화, 레저, 외식, 교육 등의 지출 비중이 증가하면서 개인의 삶의 질은 높아지게 된다. 그러나 2020년부터 시작된 코로나19발 경제위기 가 지속되면서 기본적 생계 유지를 위한 소비 지출이 커지고 상대적으로 삶의 질 과 관련된 지출 비중이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국민계 정의 가계소비지출 통계를 이용하여 식비와 주거비 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을 살펴 보고 비중의 변화를 유발하는 원인을 분석해 보았다. ■ 분석 결과 2021년 우리나라 가계의 엥겔계수는 12.86%로 2020년의 12.85%보다 상승하였으 며, 슈바베계수는 17.94%로 2020년의 18.56%보다 감소하였다. ① 엥겔계수(식료품 및 비주류음료 지출 비중) 가계의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 지출 비용이 전체 소비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인 엥겔계수는 2021년 12.86%로 2000년 이후 21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하였다. 가계의 소비지출 중 식비 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9년 11.37%에서 2020년 12.85%로 급 등한 이후 2021년 12.86%로 다시 높아졌다. 이는 21년 전인 2000년 13.29% 이후 가장 높은 수준에 해당된다. < 엥겔계수 추이 > 자료: 한국은행 국민계정 통계를 이용한 연구원 자체 계산. 주: 국내소비지출 중 식료품/비주류음료품 지출 비중. EXECUTIVE SUMMARY ii ② 슈바베계수(임대료 및 수도광열 지출 비중) 가계의 임대료 및 수도광열 지출 비용이 전체 소비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인 슈 바베계수는 2021년 17.94%로 2020년(18.56%)보다는 하락하였다. 가계의 소비지출 중 임대료 및 수도광열 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인 슈바베계수는 2019년 17.50%에서 2020 년 18.56%(1.06%p↑) 그리고 2021년 17.94%(△0.62%p↓)를 기록하였다. 비록 2021년 슈바베계수가 하락하였으나, 이는 최근 5년 내 2020년을 제외하고 가장 높은 수준에 해당된다. < 슈바베계수 추이 > 자료: 한국은행 국민계정 통계를 이용한 연구원 자체 계산. 주: 국내소비지출 중 임대료/수도광열 지출 비중. ■ 엥겔계수 및 슈바베계수 급등의 원인 2020년에 이어 2021년에도 엥겔계수와 슈바베계수가 높은 수준을 보이는 원인은 첫째, 불황이 장기화되면서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 확대로 가계가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고 필수 소비 비중을 높일 수밖에 없는 소비행태를 가지기 때문이다. 2021년 에도 2020년과 마찬가지로 소비지출 증가율이 소득 증가율을 하회하는 현상이 지 속되고 있다. 코로나 위기 이전인 2018년과 2019년은 가계소비(가계의 국내소비지 출)증가율이 소득(국민총처분가능소득) 증가율을 상회하였다. 그러나 코로나 위기 이후인 2020년과 2021년의 경우 이 관계가 역전되어 가계소비(가계의 국내소비지 출)증가율이 소득(국민총처분가능소득) 증가율을 하회한다(국민총처분가능소득 증 가율은 ‘20년 0.6%, ’21년 6.8%이며, 가계 국내소비지출 증가율은 ‘20년 △3.3%, ’21 년 6.5%임). 이에 따라 실제로는 소득에서 소비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을 의미하는 평균소비성향은 2021년에도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 즉, 지금의 불황 국면이 언 제 끝날지 모르기 때문에 미래 고용과 소득의 불안정성을 고려하여 불필요한 소비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49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소상공인·자영업자 맞춤형 부채 관리 방안 1도토리 이지훈
349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주요국의 소상공인·자영업자 지원제도 비교 : 재생·폐업, 신용회복, 특별구제 중심으로 3도토리 이지훈
348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소상공인 부채 문제 해결을 위한 현실적 정책방안 1도토리 이지훈
3488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이 중소기업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3도토리 이지훈
348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1년 의약품 허가보고서 7도토리 국준아
3486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수전해 그린수소와 나노기술 3도토리 국준아
348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코로나19 이후의 소득보장체계 구축방향 1도토리 국준아
348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전자금융거래법 개정이 금융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과 보완과제 1도토리 국준아
3483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2022년 한국 경제 수정 전망 1도토리 국준아
3482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 슬로플레이션 가능성 점증 3도토리 이지훈
»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엥겔계수, 2000년 이후 21년 만 최고치 1도토리 이지훈
348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동 지역의 재생에너지 발전 전망 및 시사점 3도토리 이지훈
347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서방의 대러시아 제재의 영향 3도토리 이지훈
347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동남아 디지털 플랫폼 경제의 현황과 전망 3도토리 나혜선
3477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전일제 환산 취업자로 본 고용의 변화 3도토리 나혜선
347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우크라이나 위기와 러·미 갈등:주요 쟁점과 시사점 1도토리 나혜선
347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스리랑카 경제위기의 주요 원인과 전망 1도토리 나혜선
347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중국 개인정보 보호법의 주요 내용과 전망 1도토리 국준아
3473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유럽 반도체 법안의 주요 내용 및 전망 1도토리 국준아
347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인도 5개 주 의회 선거결과와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