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중동 지역의 재생에너지 발전 전망 및 시사점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이지훈 조회수 139
용량 666.15K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중동 지역의 재생에너지 발전 전망 및 시사점.pdf 666.15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4-01 
출처 :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페이지 수 : 21 

< 목 차 >

 

Ⅰ. 중동 지역에서 재생에너지의 중요성 대두

Ⅱ. 중동 지역의 재생에너지 발전 동향 및 개발 잠재력

Ⅲ. 시사점

 


 

Ⅰ. 중동 지역에서 재생에너지의 중요성 대두 Ÿ 중동 지역은 2009~16년 에너지 집약적 산업화 프로그램의 시행과 개발 붐으로 인한 경제성장, 빠른 인구 증가 등으로 전력 사용량이 크게 증가함. Ÿ 또한, 2016년부터 국제유가의 지속적 하락으로 인한 쌍둥이 적자 상황과 석유 생산의 수익성 하락은 석유 부문에 대한 국·내외 투자 감소를 초래하였고, 에너지 소비의 지속적 증가에 따라 에너지 공급의 안정성 관련 이슈가 대두되면서 대체 에너지 자원 개발의 필요성이 높아짐. Ÿ 기술의 발전으로 재생에너지 발전단가가 꾸준히 하락함에 따라 중동 국가들은 대체 에너지 자원으로써 재생에너지의 발전 비중 확대를 위하여 국가 주도의 태양 및 풍력 에너지 개발 프로젝트를 시행함. Ⅱ. 중동 지역의 재생에너지 발전 동향 및 개발 잠재력 Ÿ 대부분의 중동 지역 국가들은 풍부한 태양 복사열을 보유한 “태양 벨트(Sun Belt)” 지역에 위치하여 높은 일조량, 긴 일광 시간, 적은 강수량 등의 요인으로 태양에너지 발전에 상당한 잠재력이 있으며, 쿠웨이트, 오만, 사우디아라비아, 이집트는 높은 풍속으로 풍력발전에 잠재력이 높음. Ÿ 현재 총발전량 중 재생에너지 비중이 높은 중동 국가들은 모로코, 이집트, 요르단으로, 총발전량에서 재생에너지의 비중이 모로코는 약 20%, 이집트와 요르단은 약 10%를 차지하고 있음. 그 외의 중동 국가들은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아직 미미한 수준임. Ÿ 중동 국가들은 성공적인 에너지 전환과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위하여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목표를 설정하였고, 2030년까지 모로코와 사우디아라비아는 각각 52%, 50% 달성을, 두바이는 2050년까지 50% 달성을 목표로 함. Ÿ 향후 중동 지역의 재생에너지 성장은 UAE,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 모로코 4개국에 의해 견인될 것으로 전망됨. ‑ UAE는 중동에서 재생에너지 개발을 가장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나라이며, 사우디아라비아는 향후 재생에너지 성장이 가장 빠를 것으로 전망되는 국가임. ‑ 카타르는 태양광 발전뿐만 아니라 태양광 원료 생산 및 패널 제조를 포함한 태양광 산업 가치사슬 구축을 통해 중동 지역의 태양광 허브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노력 중이며, 모로코는 대규모 풍력 개발단지 프로젝트를 추진 중임. Ⅲ. 시사점 Ÿ 중동 지역의 비수력 재생에너지는 유리한 입지조건과 풍부한 자원을 바탕으로 대체 에너지원으로써 향후 전력 공급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되며, 풍력과 태양에너지는 물론 바이오매스 역시 유망 자원으로 부상할 가능성이 다분함. Ÿ 장기적으로 중동 지역의 재생에너지 시장 규모 및 진출 분야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우리나라 기업들도 동 시장의 새로운 진출 기회를 포착하는 것이 중요함. ‑ 중동 지역의 에너지 분야는 주로 정부에 의해 개발 및 계획되며, 정부의 입찰을 통해 진행되는 만큼 해당국 정부와의 긴밀한 협력체계 구축이 중요할 것으로 사료됨. 2022 이슈보고서 중동지역 재생에너지 발전 동향 및 시사점 - 2 - 중동 지역은 풍부한 원유와 천연가스 보유량을 바탕으로 화력발전에 의존 Ÿ 중동 지역1)은 전 세계 원유 매장량의 48% 이상 및 생산량의 약 32%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중 걸프협력회의(Gulf Cooperation Council: GCC) 6개 회원국(바레인, 쿠웨이트, 오만,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UAE)은 전 세계 원유 생산량의 1/4 및 수출량의 1/3을 차지함. ‑ 사우디아라비아와 UAE는 GCC 지역 총 GDP의 2/3를 차지(2019년 기준 사우디아라비아 47%, UAE 26%, 카타르 11%, 쿠웨이트 9%)하며, 원유 매장량은 베네수엘라 다음으로 높은 2,660억 배럴로 향후 60년 간 현재 수준의 생산이 가능함. ‑ 사우디아라비아는 미국, 러시아 다음으로 세계 3위의 원유 생산국이며, UAE와 쿠웨이트는 각각 7위, 10위임(표 1 참고). ‑ GCC 국가들은 지난 수십년 간 막대한 원유 및 천연가스 자원을 기반으로 상당한 경제성장을 이뤄냈으며, 특히 상대적으로 인구가 적은 쿠웨이트, 카타르, UAE는 세계에서 1인당 국민소득이 가장 높은 국가군에 속하는 부유한 국가가 됨. Ÿ 천연가스는 중동 지역에서 2번째로 중요한 에너지원으로, 1980년대부터 생산량이 증가하면서 현재는 전력 생산을 위한 주요 에너지원이 됨. Ÿ 카타르는 중동 지역뿐만 아니라 세계 최대 천연가스 수출국으로, 천연가스 생산국 중 생산단가가 가장 낮음. ‑ 매장량으로는 러시아, 이란 다음으로 세계 3위, 생산량으로는 미국, 러시아, 이란, 중국 다음으로 세계 5위이며(표 2 참고), 세계 최대 가스전이자 전 세계 가스 매장량의 13%를 차지하는 노스 필드(North Field) 가스전을 보유하고 있음. ‑ 현재 14개의 LNG 트레인을 통해 연간 7,700만 톤 규모의 LNG를 생산하고 있으며, 2027년까지 생산량을 64% 증가한 1억 2,600만 톤으로 확대할 계획임. Ÿ 그 결과 화력발전은 현재 중동 지역 전력 생산의 약 99%를 차지하고 있으며, 주요 발전원은 원유와 천연가스임. ‑ 2021년 기준 사우디아라비아는 연간 발전량의 99.8% 이상을 화력발전에 의존하고 있으며, 그 중 석유가 45%, 천연가스가 56%를 차지함. ‑ 카타르는 연간 발전량의 99.7%, UAE는 78.6%*를 천연가스에 의존하고 있음 * 재생에너지 개발로 인하여 천연가스 비중은 2019년 96.1%에서 2021년 78.6%로 대폭 감소함.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46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이스라엘 첨단 산업에서의 여성 참여 현황 1도토리 황세영
345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2년 中 게임산업을 이해하는 4가지 키워드 3도토리 정한솔
345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해외 콘텐츠기업 탐방 - 후어얼궈스차이티오우영상유한공사 1도토리 황세영
345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베트남 내 게임 출시 및 유통 현황, 법률체계 3도토리 황세영
345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태국 대중문화 콘텐츠에 나타나는 문화코드 - 드라마를 중심으로 1도토리 황세영
345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해외 콘텐츠기업 탐방 1도토리 황세영
345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저성장의 함정에 빠진 중국 콘텐츠시장 3도토리 황세영
345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2년 미국 비디오게임 산업 현황 및 전망 1도토리 정한솔
345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베트남 애니메이션 판권 수출입 동향 및 법률체계 3도토리 정한솔
3451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2022년 인도네시아 게임시장 동향 1도토리 정한솔
3450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2022년 인도네시아 스타트업산업 동향 1도토리 정한솔
3449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2022년 인도네시아 OTT시장 동향 해외 콘텐츠기업 탐방 1도토리 정한솔
344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호주 콘텐츠 산업동향 1도토리 정한솔
344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콘텐츠, 가상융합경제의 혈액이 되다 1도토리 강정훈
3446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NFT 커지는 시장과 활용 1도토리 강정훈
344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친환경 소비시대, 부상하는 그린슈머를 공략하라! 7도토리 강정훈
344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메타버스, XR로 꽃피우다 7도토리 조정희
3443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AMD의 반도체 기술 동향 및 시사점 1도토리 한상윤
3442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마이크로 LED 전사, 접합, 그리고 불량 화소 수리 기술 1도토리 한상윤
3441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데이터센터 통신용 광소자 및 광부품 기술 동향 1도토리 김민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