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시장동향] 전일제 환산 취업자로 본 고용의 변화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나혜선 조회수 37
용량 1.9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시장동향] 전일제 환산 취업자로 본 고용의 변화.pdf 1.9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2-22 
출처 : 한국경제연구원 
페이지 수 : 24 

코로나19 발발 전후로 심각한 타격을 받았던 우리나라 노동시장이 최근 들어 긍정적인 통계수치를 보여주고 있다. 금융당국은 이를 적극 반영해 기준금리 인상 등 통화정책을 펴고, 재정당국도 이를 정책 홍보에 적극 활용했다. 그러나 통계청에서 발표하는 고용통계는 2018년경부터 단시간 일자리 비중 증가에 따라 현실과 점점 동떨어졌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본 보고서는 이 같은 괴리를 보정하기 위해 OECD에서 사용하는 전일제 환산(Full Time Equivalent) 방식의 고용통계를 산출해 분석하고자 한다. 보다 정확한 상황 파악과 정책 결정을 위함이다. FTE 방식으로 취업자 수를 환산한 결과, 2021년 연간 평균 취업자 수는 2,651만 2,000명으로 2017년 2,860만 4,000명에 비해 209만 2,000명(7.3%) 감소했다. 2019년 2,760만 4,000명에 비해서도 109만 3,000명(4.0%) 감소했다. 이는 통계청 방식과 정반대로 2017년이나 코로나19 직전보다 악화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1년 연간 평균 취업자 수는 2,727만 3,000명으로 코로나 발발 직전인 2019년 연간 취업자 2,712만 3,000명에 비해 0.6%(15만 명) 증가했다. 코로나19 피해를 극복했을 뿐만 아니라, 이전 수준보다 더 개선돼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FTE 방식은 한 주에 40시간 일한 사람을 ‘전일제 환산 1명(1FTE)’으로 산정하는 방식이다. 40시간 기준은 FTE 개념을 도입한 OECD에서 사용하는 것이다. 이 방식에 따르면 한 주에 20시간 일하는 근로자는 0.5명(0.5FTE)으로, 반면 60시간 일하는 근로자는 1.5명(1.5FTE)으로 추정된다. 통계청에서 취업자 수를 계산하는 방식은 이와 달리 머릿수(head count) 방식이라 불린다. 1주일에 20시간 일한 파트타임 근로자와 주 40시간 일한 전일제 근로자, 주 52시간 일한 초과근무자가 모두 1명으로 추정된다. 머릿수 방식으로 취업자를 추정할 경우, 질이 낮은 2 KERI Insight 22-01 파트타임 일자리 비중이 높은 사회와 숙련된 전일 제 일자리 비중이 높은 사회의 고용 상황을 같다고 기술하는 오류를 범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OECD에서는 매년 머릿수 통계를 보완하는 통계로서 전일제 환산 취업자 통 계를 발표하고 있다. 독일 등 단시간 일자리 비중 이 높은 선진국들에서도 자체적으로 FTE 통계를 발표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2018년쯤부터 정부의 공공일자리 정 책에 따라 단시간 일자리 비중이 급격히 늘었다. 또 2019년 말 코로나19 발발 이후 숙박·음식업과 서비스업 중심으로 산업이 큰 타격을 받으면서 고 용총량 감소 추세가 가속화됐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도 2019년부터 FTE 통계를 보조지표로 활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졌다. 이주 열 한국은행 총재는 지난 2020년 국정감사에서 “전일제 환산방식(FTE)으로 추정하는 것도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참고하도록 하겠다”며 필요성 을 일부 인정하기도 했다. Ⅰ. 서론 □ 2021년 우리나라 고용상황이 코로나19 이전으로 회복됐다는 낙관적 인식이 확산됨 ◦지난 1월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12월 및 연 간 고용동향’을 전후로 우리나라 고용상황이 2021년 들어 코로나19 발발 이전으로 회복됐다 는 인식이 확대됨 ◦통계청에 따르면 2021년 연간 평균 취업자 수는 2,727만 3,000명으로 1년 전보다 36만 9,000명 늘 어 2014년 이후 7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함 - 취업자 수도 코로나19 발발 직전인 2019년 2,712 만 3,000명보다 15만 명(0.6%) 증가함 - 15세 이상 인구 고용률은 60.5%로 전년보다 0.4%P 상승, 15~64세 고용률도 66.5%로 전년비 0.7%P 상승함 ◦이 같은 통계는 금융당국과 재정당국의 경기 인식 과 정책 판단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임 ◦통계 발표 이틀 후 지난 1월 14일 한국은행 금 융통화위원회는 통화정책방향회의를 열고 기준 금리를 연 1%에서 1.25%로 0.25%P 인상하기로 결정함 - 한국은행은 코로나19 발발 직후 경기 침체 가능성 등을 고려해 저금리 정책을 펴왔음. 이에 따라 자산시장에 유동성이 증가함에 따라 증시가 상승세를 보이고, ‘동학개미운동’ 등 개인투자자들의 투자활동이 활발해지기도 했음 - 이번 금리 인상 결정은, 코로나19에 따른 경제 충격이 어느 정도 해소됐다는 판단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되고 있음 - 이 같은 기준금리 인상정책 등의 여파로 최근 자산시장이 충격을 받으며 개인투자자들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음 - 통상 기준금리는 물가, 해외 금리 등 다양한 경기지표를 고려해 결정되는데, 이 중 국내 경제 상황을 판단하는 척도로 통계청의 고용동향 통계가 활용되고 있음 - 금통위 통화정책방향 의결문 전문에서도 이를 밝히고 있는데, 해당 부분은 다음과 같음 국내경제는 코로나19 재확산에도 회복세를 지속하였다. 민간소비의 회복 흐름이 방역조치 강화 등으로 주춤하였으나, 수출은 견조한 글로벌 수요에 힘입어 호조를 지속하였다. 설비투자는 글로벌 공급차질에 영향받아 다소 조정되었다. 고용 상황은 취업자수 증가세가 이어지는 등 개선세를 지속하였다. 앞으로 국내경제는 수출의 견실한 증가세가 이어지고 민간소비 회복 흐름이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49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소상공인·자영업자 맞춤형 부채 관리 방안 1도토리 이지훈
349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주요국의 소상공인·자영업자 지원제도 비교 : 재생·폐업, 신용회복, 특별구제 중심으로 3도토리 이지훈
348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소상공인 부채 문제 해결을 위한 현실적 정책방안 1도토리 이지훈
3488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이 중소기업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3도토리 이지훈
348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1년 의약품 허가보고서 7도토리 국준아
3486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수전해 그린수소와 나노기술 3도토리 국준아
348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코로나19 이후의 소득보장체계 구축방향 1도토리 국준아
348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전자금융거래법 개정이 금융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과 보완과제 1도토리 국준아
3483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2022년 한국 경제 수정 전망 1도토리 국준아
3482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 슬로플레이션 가능성 점증 3도토리 이지훈
3481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엥겔계수, 2000년 이후 21년 만 최고치 1도토리 이지훈
348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동 지역의 재생에너지 발전 전망 및 시사점 3도토리 이지훈
347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서방의 대러시아 제재의 영향 3도토리 이지훈
347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동남아 디지털 플랫폼 경제의 현황과 전망 3도토리 나혜선
»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전일제 환산 취업자로 본 고용의 변화 3도토리 나혜선
347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우크라이나 위기와 러·미 갈등:주요 쟁점과 시사점 1도토리 나혜선
347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스리랑카 경제위기의 주요 원인과 전망 1도토리 나혜선
347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중국 개인정보 보호법의 주요 내용과 전망 1도토리 국준아
3473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유럽 반도체 법안의 주요 내용 및 전망 1도토리 국준아
347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인도 5개 주 의회 선거결과와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