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정책분석] 중국 개인정보 보호법의 주요 내용과 전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80
용량 514.93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정책분석] 중국 개인정보 보호법의 주요 내용과 전망.pdf 514.93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2-28 
출처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페이지 수 : 14 

주요 내용 ▶ 최근 중국정부는 정보 보안 분야에 대한 법제화를 속도감 있게 추진하고 있으며, 디지털 경제의 근간 인 데이터의 수집 및 처리에 관한 규제를 강화하고 있는 상황 - 그동안 중국정부는 ‘사이버 보안법’을 통해 사이버 공간에 대해 규제해 왔으며, 디지털 경제전환 시대 주 요국간 디지털 통상정책에 대응하기 위해 관련 법률에 대한 수요가 존재해 왔음. - 이에 중국정부는 사이버 보안, 데이터 보안,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제도적 보장이 가능한 법적 토대를 확 립하기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을 시행함. ▶ 중국의 ‘개인정보 보호법’은 다양한 법률에 산재되어 있던 개인정보에 관한 규제 내용을 종합한 최초의 법률로 △개인 정보 처리원칙 △개인정보의 역외 전송 제한 △온라인 플랫폼기업 규제 △법률 책임 등 에 대해 규정 - 중국의 ‘개인정보 보호법’은 EU GDPR(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과 유사하며 △미성년자 연령 규정 △민감 개인정보 범위 △정보 보존 연한 △공공안전을 위한 개인정보 활용 조항 등이 포함되 어 더욱 엄격함. - 중국의 ‘개인정보 보호법’에서는 개인정보 처리자가 수집한 데이터를 중국 내에 저장하는 것이 원칙이며 역외 전송 시 중국 국가기관의 기준을 충족해야함. - 또한 온라인 플랫폼 기업이 개인정보 처리 시 추가 의무를 부여하여 빅테크 기업에 대한 데이터 보안 규 제를 더욱 강화함. ▶ 중국정부는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으로 사이버 보안 분야의 법적 근거를 보강하는 동시에 외교적 수단 으로 활용할 수 있는 토대를 구축함으로써 관련 분야에 대한 통제력이 더욱 강화될 가능성이 있음. - 전방위적인 미·중 갈등 상황에서 중국정부는 재정비된 사이버 보안 관련법을 외교적 수단으로 활용할 가 능성이 있음. - 국가 간 데이터 이동과 개인정보의 역외 전송이 디지털 통상에 주요한 이슈로 부상하면서 중국정부는 국 제규범 제정에 참여하는 방식으로 데이터 보안 관련 법률을 선별적으로 시행할 것으로 예상됨. - 향후 사이버 보안 분야에 대한 가이드라인 및 세부 조치 시행이 예상됨에 따라 대중 비즈니스를 영위하 는 한국기업은 중국 내 소비자에 대한 개인정보 처리에 대한 점검과 대책이 필요함. 1. 개요 ■ 최근 중국정부는 디지털 경제의 건전한 발전을 위한 법적 장치를 마련하기 위해 사이버 보안 관련 법률 체계를 재정비하고 있음. - 중국은 2015년 ‘국가 보안법’을 통해 국가 안보의 영역을 사이버 공간상의 안보 영역으로 확장함. ㅇ ‘사이버 보안법’(2017년 6월 제정)을 통해 사이버 공간상의 안보 영역을 구체적으로 명시하였음. 이는 사이버 보안과 관련된 중국 최초의 법률로 가장 광범위하게 사이버 보안에 관해 규정하고 있으며 사이버 공간상의 데이터 보안 및 관련 중요 인프라 시설에 대해 규제 - 또한 중국정부는 데이터 보안 강화를 위해 2021년 9월 ‘데이터 보안법’을 시행하여 데이터 및 그에 대한 보안의 개념을 확립하고 데이터 처리 활동에 대한 의무와 책임을 규정함. ㅇ ‘데이터 보안법’은 데이터 등급 분류, 데이터의 해외 이전 관리·감독 강화를 핵심으로 데이터의 저장 및 보관에 대해 규제 ■ 2021년 11월부터 개인정보 처리 및 개인정보 주체의 권리를 명문화한 ‘개인정보 보호법’이 시행됨에 따라 중국 사이버 보안 관련 법률 체계가 완비됨. - 중국의 ‘개인정보 보호법’은 그동안 다양한 법률에 산재되어 있던 개인정보에 관한 규제 내용을 종합한 최초의 법률임. - 중국의 사이버 보안 법률 체계를 구성하고 있는 3대 법률인 ‘사이버 보안법’, ‘데이터 보안법’, ‘개인정보 보호법’은 모두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全国人民代表大会常务委员会)에서 제정한 성문법으로 3개 법률은 상충되지 않으며 동등한 법률적 효력을 지님.1) - 다만 중국은 사이버 공간상의 정보 보안의 범주를 ‘사이버 보안 > 정보 보안 > 개인정보’로 간주하고 있어 법률의 대상 범위 기준으로는 ‘사이버 보안법’이 상대적으로 포괄적임. ㅇ ‘사이버 보안법’의 개인정보 및 중요 데이터 보호에 대한 내용은 각각 ‘개인정보 보호법’과 ‘데이터 보안법’에서 보다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명시 ■ 이하에서는 ‘개인정보 보호법’의 입법 과정과 주요 내용을 살펴보고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음.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44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호주 콘텐츠 산업동향 1도토리 정한솔
344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콘텐츠, 가상융합경제의 혈액이 되다 1도토리 강정훈
3446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NFT 커지는 시장과 활용 1도토리 강정훈
344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친환경 소비시대, 부상하는 그린슈머를 공략하라! 7도토리 강정훈
344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메타버스, XR로 꽃피우다 7도토리 조정희
3443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AMD의 반도체 기술 동향 및 시사점 1도토리 한상윤
3442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마이크로 LED 전사, 접합, 그리고 불량 화소 수리 기술 1도토리 한상윤
3441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데이터센터 통신용 광소자 및 광부품 기술 동향 1도토리 김민성
3440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상시 근골격 모니터링과 재활을 위한 온스킨 센서 디바이스 기술 1도토리 김민성
3439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우주방사선 환경 ICT 소자 영향 및 개발 동향 1도토리 김민성
3438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테라헤르츠파 기반 대인 보안검색 기술의 동향과 발전 전망 1도토리 김민성
3437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결함허용 양자컴퓨팅 시스템 기술 연구개발 동향 1도토리 김민성
343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2 산업기술 환경예측 7도토리 김민성
343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One & Only 차세대 디지털 자산 「NFT」 1도토리 김민성
343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사회적 문제해결을 위한 임무 지향적 혁신정책의 과제 1도토리 김민성
343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일본 에너지 기반 산업의 녹색전환(GX) 방향성 3도토리 김민성
3432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선박운항 탄소중립을 위한 재생에너지 활용 1도토리 김민성
3431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재난 대응 로봇 기술 동향과 발전 방향 3도토리 김민성
3430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OECD 주관 국제 인공지능 콘퍼런스 현장 보고서 3도토리 김민성
342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북한의 과학기술 혁신정책 변화와 시사점 3도토리 민준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