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인도 신재생에너지 시장 기회 및 진출 전략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나혜선 조회수 41
용량 3.17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인도 신재생에너지 시장 기회 및 진출 전략.pdf 3.17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4-12 
출처 : posco 경영연구원 
페이지 수 : 23 

< 목 차 >

 

1. 재생에너지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는 인도

 

2. 재생에너지 중심으로 전환 중인 인도 에너지 산업

 ① 현재 에너지 믹스

 ② ‘30년 에너지 믹스

 

3. 인도 재생에너지의 산업별 특징과 고려 요인

 ① 높은 투자매력도

 ② 특징

 ③ 태양광

 ④ 풍력

 ⑤ 수소

 

4. 인도 재생에너지 시장 진출 전략(소규모 진출 후 확대)

 


 

▷ 인도 재생에너지 시장: 정부의 공격적 확장 정책과 지원 등으로 다양한 사업 기회가 발생  모디 정부는 ’30년 재생에너지 설비생산용량은 500MW, 재생에너지 비중 50% 이상 확대라는 공격적 목표 제시 - ‘30년까지 태양광과 풍력 설비 각각 180GW와 80GW 증설이 필요하며 이에 발맞춰 업체들의 설비 능력 확대가 본격화될 것  국부펀드와 다국적 기업들은 인도 재생에너지 기업들에 대한 M&A와 FDI 확대 등 시장 진출을 본격화하고 있음 - ’21.4월~9월까지 10.3억 달러(‘20.4월~’21.3월 7.8억 달러)의 FDI 유입, 고성장 시장인 태양광 부문 기업 M&A 시장 활성화

 입지 우위: 열대 기후 지대로 태양광 발전이 유리하며 데칸고원 중심 서남부 지대의 풍력 발전 가능성 높음 - 태양광과 풍력 발전은 사막지대 및 풍량이 적정한 남부와 서부지역에 집중되어 있으며 이 지대를 중심으로 설비 능력 확장 중 - 풍력은 터빈 제조 제조능력이 우수한 것이 장점인 반면 태양광은 웨이퍼와 실리콘 등 주요 원재료 수입의존도가 높은 것이 한계  수소: 2.17 그린수소정책 발표로 글로벌 수소 생산 및 수출기지로 육성 - 정부 정책 발표 이후 업체들의 그린수소 생산 전략과 생태계 구축을 위한 투자 확대가 본격화될 것

 인도 재생에너지 발전에 따른 다양한 사업기회를 포착하기 위한 진출 전략 수립 필요 - 태양광 셀과 모듈 생산 기지 구축을 위한 PLI 제도 등을 적극 이용하고 재생에너지 경쟁력 제고를 위한 생태계 구축 기회로 활용  진입 전략: 단독보다는 합작, 풍력과 태양광 진출과 더불어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그린수소 생산 기지로 인도 공략 - 현지 파트너를 활용할 수 있는 합작진출을 우선 검토하고 태양광과 풍력 발전 잠재성이 큰 타밀나두, 구자라트 주를 우선 검토. 동 지역은 재생에너지 능력을 활용한 그린수소 생산기지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 사업 추진: 현지 정부 정책 및 리스크 요인 등을 고려하여 장기적 관점에서 점진적 확대해가는 것이 중요 - 주 정부의 생산 단가 인하 압력 리스크 존재. 주정부와 신뢰관계 구축이 필수이며 시장선점을 위한 초기 대규모 투자에 주의 요망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47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서방의 대러시아 제재의 영향 3도토리 이지훈
347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동남아 디지털 플랫폼 경제의 현황과 전망 3도토리 나혜선
3477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전일제 환산 취업자로 본 고용의 변화 3도토리 나혜선
347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우크라이나 위기와 러·미 갈등:주요 쟁점과 시사점 1도토리 나혜선
347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스리랑카 경제위기의 주요 원인과 전망 1도토리 나혜선
347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중국 개인정보 보호법의 주요 내용과 전망 1도토리 국준아
3473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유럽 반도체 법안의 주요 내용 및 전망 1도토리 국준아
347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인도 5개 주 의회 선거결과와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347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1년 북중 무역 평가: 경제난과 무역 정상화 1도토리 국준아
347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우크라이나 사태와 대러 제재의 경제적 영향 7도토리 국준아
346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2년 양회를 통해 본 중국의 경제정책 방향과 시사점 3도토리 국준아
3468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한미 FTA 발효 10년 성과와 시사점 3도토리 국준아
»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도 신재생에너지 시장 기회 및 진출 전략 3도토리 나혜선
346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소상공인의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디지털 전환 1도토리 나혜선
346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화상통화를 활용한 비대면 보험 모집 해외 사례와 시사점 1도토리 나혜선
346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시장 동향과 전망 7도토리 나혜선
346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메타버스 新인류, 디지털 휴먼 3도토리 나혜선
3462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지역혁신형 규제샌드박스 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7도토리 정한솔
346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글로벌 모빌리티 시장동향 7도토리 정한솔
3460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2022년 클라우드컴퓨팅 트렌드 3도토리 정한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