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시장 동향과 전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나혜선 조회수 38
용량 2.34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시장 동향과 전망.pdf 2.34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4 
출처 : KOTRA 
페이지 수 : 53 

< 목 차 >

 

Ⅰ. 중국 신에너지자동차 시장 현황

 가. 신에너지차 정의 및 산업 분류

 나. 중국 신에너지자동차 시장 규모

 다. 중국 신에너지자동차 발전 배경

 

Ⅱ. 중국 신에너지자동차 시장 주요 기업 및 인프라 현황

 가. 중국 신에너지자동차 주요 기업

 나. 중국 신에너지자동차 배터리 및 인프라 구축 현황

 

Ⅲ. 중국 정부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정책 동향

 가. 중국 신에너지 관련 산업 지원 방향

 나.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정책 다. 지방 정부 지원 정책 사례

 

Ⅳ. 중국 신에너지자동차 발전 전망

 가. 신에너지자동차 발전 트렌드

 나. 신에너지 자동차 발전 전망

 다. 시사점 및 진출전략

 


 

□ 中 신에너지자동차 시장 현황 ◦ (시장규모) 중국은 유럽과 더불어 신에너지자동차 시장 규모가가장 큰 지역, ‘21.11월 기준 연간 신에너지차 판매량 300만대, 전체 승용차중 비중 13.9% 차지 ◦ (발전배경) 저탄소 경제를 위한 신에너지자동차 산업 정책적지원 강화 및 배터리 분야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 보유 □ 中 신에너지자동차 시장 주요 기업 및 인프라 현황 ◦ (주요 기업) 신에너지차 핵심 부품 기술을 보유한 ‘비야디’, 세계1위 전기차기업 ‘테슬라’, 소형전기차 ’홍광MINI‘로 히트친 ’상하이GM우링‘, ’SAIC‘ 순으로 中 시장 판매량 상위권을 차지(’21.11월 기준) - 니오, 샤오펑, 리오토 등 신흥브랜드도 판매량 순위 10위권내안착◦ (배터리) 中 배터리제조사 CATL이 글로벌 신에너지자동차배터리 탑재량 전세계 1위, ’21.11월 시장 점유율 28.2% 기록 ◦ (충전 인프라) ’21.11월 기준, 中 전기차 충전기 설치 규모 총 238.5만대, 세계 최대 규모 전기차 충전 네트워크 구축 □ 中 정부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정책 동향 ◦ (로드맵) 발표, 신차 판매량 중 신에너지자동차 비중 ‘25년 20%, ’35년 50%까지확대, ‘35년 내연기관차 판매 금지 등 향후 발전 목표 수립◦ (산업) 자동차 생산(수입) 기업 대상 내연기관 및 신에너지자동차생산포인트 책정 및 에너지 절감 목표 부여, 충전 인프라 구축 지원요 약 □ 중국 신에너지자동차 발전 전망 ◦ (SDV) 미래 자동차는 소프트웨어로 차량 내 전 기능을 통제할수 있는 SDV(Software Defined Vehicle)로 전환중, 신에너지자동차는이에 가장 유리한 모델로 전 세계적으로 확산될 전망 ◦ (ICV) 5G 기술을 바탕으로 주행 중 원활한 내외부 데이터 수집과의사결정을 내리는 스마트 커넥티드 카(Intelligent ConnectedVehicle)로 발전될 전망 ◦ (빅테크 기업 진입) 알리바바, 바이두 등 중국의 빅테크기업은완성차 기업과 합작해 전기차시장 진출, 자율주행 시스템 및차량OS 등 개발 추진 ◦ (생산 효율 제고) 생산 기술 발전과 차량 구조가 단순한특징으로 생산 효율성 향상에 따른 제조 원가가 계속 하락할전망□ 시사점 및 진출전략 ◦ (시장확대) 안정적 경제성장, 정부지원정책, 기술 발전 등에 힘입어2030년 중국은 세계 최대 신에너지차 시장으로 성장할 전망으로이차 전지 및 충전 인프라 등 관련 시장 진출 기회 포착 필요◦ (위기대응) 망간, 흑연 등 신에너지차 생산 관련 핵심 부품(배터리, 모터) 원자재 가격 급등 및 수급 불안정 현상으로해당원자재 수입의존도가 높은 우리 기업은 수급 동향 모니터링및선구매를 통한 재고 확보 등 대응체계 운영 필요 ◦ (기회요인) 움직이는 소프트웨어 플랫폼 전환되는 미래 자동차시장에서 고성능 프로세서, 센서, 렌즈 등 우리 기업 기술 경쟁력이높은모빌리티 혁신 기술 분야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65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우리나라 산업기술인력 수급 현황(2020년도 기준) 1도토리 조정희
3655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2021년 의약외품 허가보고서 3도토리 조정희
3654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금리 상승기 회사채 시장의 특성 변화 1도토리 김민성
3653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가상자산 사업화를 위한 금융회사 및 테크기업의 경쟁과 협력 가속화 1도토리 김민성
3652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코로나19 재확산 및 중국경제 동향 1도토리 김민성
3651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금융환경의 긴축적 변화가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 1도토리 김민성
365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디지털 경제와 디지털 대전환 시대의주요 ICT 기술·시장·정책 동향 및 대응방향 3도토리 조정희
364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통화정책의 긴축적 변화가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 1도토리 김민성
3648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해외사례 조사를 통한 한국 증권업 및 건전성 규제의 개선 방향 7도토리 김민성
3647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동향] 합성생물학 적용 산물에 대한 규제와 관리 정책 전망보고서 3도토리 조정희
3646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MSCI 선진국지수 편입의 효과, 선결과제 및 시사점 3도토리 김민성
3645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우리에게도 보건의료 난제 해결을 위한 ARPA-H가 필요한가 1도토리 조정희
364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신용평가업에 대한 규제강화는 기업 신용평가의 질을 향상시켰는가 7도토리 김민성
3643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재생의료 산업 및 임상 동향 -첨단바이오의약품을 중심으로 3도토리 조정희
3642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소재 신연구방법론 3도토리 김민성
3641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일본 상공금융, 중소제조업체의 디지털전환 대응 포인트 분석 1도토리 김민성
3640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금융플랫폼에 대한 정책대응 및 방안 3도토리 김민성
3639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기후위기 및 보험 산업 7도토리 김민성
3638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미얀마 쿠데타 발발 1년-정치경제 동향 및 한국에 대한 시사점 3도토리 김민성
363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농업부문 데이터 경제 체계 구축을 위한 농업부문 디지털 전환 및 플랫폼 구축 방안 7도토리 나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