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시장 동향과 전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나혜선 조회수 38
용량 2.34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시장 동향과 전망.pdf 2.34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4 
출처 : KOTRA 
페이지 수 : 53 

< 목 차 >

 

Ⅰ. 중국 신에너지자동차 시장 현황

 가. 신에너지차 정의 및 산업 분류

 나. 중국 신에너지자동차 시장 규모

 다. 중국 신에너지자동차 발전 배경

 

Ⅱ. 중국 신에너지자동차 시장 주요 기업 및 인프라 현황

 가. 중국 신에너지자동차 주요 기업

 나. 중국 신에너지자동차 배터리 및 인프라 구축 현황

 

Ⅲ. 중국 정부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정책 동향

 가. 중국 신에너지 관련 산업 지원 방향

 나.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정책 다. 지방 정부 지원 정책 사례

 

Ⅳ. 중국 신에너지자동차 발전 전망

 가. 신에너지자동차 발전 트렌드

 나. 신에너지 자동차 발전 전망

 다. 시사점 및 진출전략

 


 

□ 中 신에너지자동차 시장 현황 ◦ (시장규모) 중국은 유럽과 더불어 신에너지자동차 시장 규모가가장 큰 지역, ‘21.11월 기준 연간 신에너지차 판매량 300만대, 전체 승용차중 비중 13.9% 차지 ◦ (발전배경) 저탄소 경제를 위한 신에너지자동차 산업 정책적지원 강화 및 배터리 분야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 보유 □ 中 신에너지자동차 시장 주요 기업 및 인프라 현황 ◦ (주요 기업) 신에너지차 핵심 부품 기술을 보유한 ‘비야디’, 세계1위 전기차기업 ‘테슬라’, 소형전기차 ’홍광MINI‘로 히트친 ’상하이GM우링‘, ’SAIC‘ 순으로 中 시장 판매량 상위권을 차지(’21.11월 기준) - 니오, 샤오펑, 리오토 등 신흥브랜드도 판매량 순위 10위권내안착◦ (배터리) 中 배터리제조사 CATL이 글로벌 신에너지자동차배터리 탑재량 전세계 1위, ’21.11월 시장 점유율 28.2% 기록 ◦ (충전 인프라) ’21.11월 기준, 中 전기차 충전기 설치 규모 총 238.5만대, 세계 최대 규모 전기차 충전 네트워크 구축 □ 中 정부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정책 동향 ◦ (로드맵) 발표, 신차 판매량 중 신에너지자동차 비중 ‘25년 20%, ’35년 50%까지확대, ‘35년 내연기관차 판매 금지 등 향후 발전 목표 수립◦ (산업) 자동차 생산(수입) 기업 대상 내연기관 및 신에너지자동차생산포인트 책정 및 에너지 절감 목표 부여, 충전 인프라 구축 지원요 약 □ 중국 신에너지자동차 발전 전망 ◦ (SDV) 미래 자동차는 소프트웨어로 차량 내 전 기능을 통제할수 있는 SDV(Software Defined Vehicle)로 전환중, 신에너지자동차는이에 가장 유리한 모델로 전 세계적으로 확산될 전망 ◦ (ICV) 5G 기술을 바탕으로 주행 중 원활한 내외부 데이터 수집과의사결정을 내리는 스마트 커넥티드 카(Intelligent ConnectedVehicle)로 발전될 전망 ◦ (빅테크 기업 진입) 알리바바, 바이두 등 중국의 빅테크기업은완성차 기업과 합작해 전기차시장 진출, 자율주행 시스템 및차량OS 등 개발 추진 ◦ (생산 효율 제고) 생산 기술 발전과 차량 구조가 단순한특징으로 생산 효율성 향상에 따른 제조 원가가 계속 하락할전망□ 시사점 및 진출전략 ◦ (시장확대) 안정적 경제성장, 정부지원정책, 기술 발전 등에 힘입어2030년 중국은 세계 최대 신에너지차 시장으로 성장할 전망으로이차 전지 및 충전 인프라 등 관련 시장 진출 기회 포착 필요◦ (위기대응) 망간, 흑연 등 신에너지차 생산 관련 핵심 부품(배터리, 모터) 원자재 가격 급등 및 수급 불안정 현상으로해당원자재 수입의존도가 높은 우리 기업은 수급 동향 모니터링및선구매를 통한 재고 확보 등 대응체계 운영 필요 ◦ (기회요인) 움직이는 소프트웨어 플랫폼 전환되는 미래 자동차시장에서 고성능 프로세서, 센서, 렌즈 등 우리 기업 기술 경쟁력이높은모빌리티 혁신 기술 분야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679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우리 수출기업의 친환경 소비트렌드 대응현황 및 시사점 3도토리 나혜선
367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파키스탄 정권 교체의 배경과 시사점 3도토리 국준아
3677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_글로벌 에너지공급망 변화 및 장, 단기 대응 전략 3도토리 국준아
3676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긴급재난지원금을 통해 관광, 문화예술, 콘텐츠 소비 지출에 미친 영향 7도토리 국준아
367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농업 혁신과 농촌 재생을 위한 농정 전략 및 과제 7도토리 국준아
367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미국 방위산업 공급망조사 보고서의 주요 내용 및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367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조선인력 수급의 문제점과 대응 방안 1도토리 국준아
367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국 반도체산업의 공급망 현황 및 자립화 전략 1도토리 국준아
3671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재편 움직임 및 정책적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367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제조업+인공지능 응용 현황과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3669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국토환경분야 그린뉴딜 ODA의 추진방향 1도토리 국준아
3668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모빌리티 패턴 변화 1도토리 국준아
3667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End to End 지능형 자동화, 하이퍼오토메이션 1도토리 국준아
366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혁신도시와 주변지역의 연계실태 및 상생발전전략 1도토리 국준아
366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공공임대주택과 주거급여제도의 정책효과 분석 및 성과제고 방안 1도토리 김민성
366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경기도 고용노동 행정서비스 개선에 대한 정책 방안 7도토리 김민성
3663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경기북부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위한 3대 전략 3도토리 조현상
3662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스마트한 규제로 새로운 성장동력 만들기 3도토리 조현상
3661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동향] 국가별 바이오안전성 동향_미국 2022 7도토리 안소영
3660 생명공학/바이오 [시장분석] 러-우크라 전쟁이 GMO 곡물 교역에 미치는 영향.pdf 1도토리 안소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