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메타버스 新인류, 디지털 휴먼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나혜선 조회수 45
용량 1.36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메타버스 新인류, 디지털 휴먼.pdf 1.36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4 
출처 :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페이지 수 : 26 

< 목 차 >

 

Ⅰ. 연구 배경

 

Ⅱ. 디지털 휴먼의 부상

  1. 디지털 휴먼 제작

  2. 디지털 휴먼 활용

 

III. 디지털 휴먼의 미래

  1. 디지털 휴먼 발전 방향

  2. 디지털 휴먼 시장 전망

 

Ⅳ. 시사점

 


 

I. 연구 배경 □ 최근 디지털 휴먼(Digital Human)의 활용 영역이 게임, 영화 등 엔터테인먼트 일부 분야를 넘어 홍보, 유통, 교육, 헬스케어, 제조업 등 다양한 산업으로 확대 중 ㅇ 가상 모델/가수, 브랜드 홍보, 고객 응대, 상담, 교육·훈련 대상(환자, 고객 등) 역할, 공장 작업자 동선 설계/시뮬레이션 등 B2C와 B2B 활용 사례 지속 증가 ­ 특히 인스타그램(Instagram), 유튜브(Youtube) 등 소셜 미디어(SNS)를 통해 인플루언서(Influencer)로 활동하는 디지털 휴먼에 대한 국내외 관심 증가 * (美) 릴 미켈라(Lil Miquela) : 인스타그램 팔로워 237만명(’20.5.) → 310만명(’21.12.) * (韓) 로지(Rozy) : 인스타그램 팔로워 4.4만명(’21.8.) → 10.8만명(’21.12.) 《 디지털 휴먼 》 □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휴먼에 대한 기존 정의와 특징 설명에 기반하여 디지털 휴먼을 “인간의 모습과 언어, 행동을 사실적으로 모사한 3D 인간 모델”로 정의ㅇ 기존 정의들에 따르면, 디지털 휴먼은 인간과 유사성이 높은 사실적 외형, 인간의 언어 구현, 몸짓 신호(Body language) 등 행동을 모사하는 특징을 가짐 ­ CG(Computer Graphics), 인공지능(AI) 발전으로 주름, 모공 등 피부, 머리카락까지 인간과 유사하고 대화 등 상호작용이 가능해지는 디지털 휴먼 개발 증가[표 1] ‘디지털 휴먼’ 정의 출처 내용 딜로이트(Deloitte) Ÿ 인간의 언어 및 비언어적(몸짓 신호) 언어를 구현할 수 있고, 인공지능으로 작동되는 인간같은 가상의 존재 유니큐(UneeQ) Ÿ AI를 통해 실제 언어와 몸짓 언어를 통해 인간같은 대화를 재현 Alvaro Lamarche-Toloza (2020) Ÿ 사실적인(Photorealistic) 3D 인간 모델 곽보은·허정윤(2021) Ÿ 실제 사람과 같은 외형과 말을 하는 3D 가상 인간 김세영·허정윤(2021) Ÿ 기존 아바타의 개념에서 발전된 형태 및 움직임 측면에서 사실적 인 결과를 생성하는 3D 휴먼 모델 강수호·손미애(2021) Ÿ 특정 업무를 수행하는 대표 작업자들의 신체 특징, 자세 및 모션 등을 모사할 수 있는 객체 오문석·한규훈·서영호(2021) Ÿ 사람의 역할을 대체할 목적으로 실제 사람의 특징과 외형을 본떠 만든 3D 인체 모델 SPRi 이슈리포트 IS-135 메타버스 新인류, 디지털 휴먼2 □ 가상과 현실이 융합하는 메타버스1) 서비스가 확산되면서 디지털 휴먼 활용 분야 및 사례 지속 증대 전망 ㅇ 인간을 닮은 디지털 휴먼은 메타버스에서 사람들이 더욱 편하고 친근하게 대할 수 있는 서비스 접점으로 역할 가능하며, 인간을 대리한 아바타로도 활용 가능 [그림 1] 디지털 휴먼 활용 예시 : (좌)금연 상담사, (우)아바타 * 출처 : WHO(좌), Meta(우) ㅇ 하지만, 사람들이 실제 인간이 아닌 디지털 휴먼에 불편한 감정을 느끼거나 오용할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존재 * 불쾌한 골짜기(Uncanny valley) 이론 (Mori Masahiro, 1970) : 실제 인간이 아닌 가상의 인물이 인간을 닮아가는 정도가 높아지면 어느 지점부터 불편함이 급격히 증가 □ 본 고에서는 디지털 휴먼의 현황과 발전상을 전망하고, 디지털 휴먼을 통한 산업 발전과 올바른 디지털 휴먼 제작 및 활용을 촉진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 ㅇ 디지털 휴먼의 제작 배경, 제작 기술 및 활용 분야를 살펴보고, 향후 디지털 휴먼 발전 방향과 관련 주요 시장 규모를 전망 ㅇ 디지털 휴먼을 통한 서비스 혁신, 생산성 향상 등 새로운 기회 마련과 디지털 휴먼의 공익적 활용 및 윤리적 제작 지원을 위한 기업과 정부 측면의 시사점을 제시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47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서방의 대러시아 제재의 영향 3도토리 이지훈
347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동남아 디지털 플랫폼 경제의 현황과 전망 3도토리 나혜선
3477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전일제 환산 취업자로 본 고용의 변화 3도토리 나혜선
347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우크라이나 위기와 러·미 갈등:주요 쟁점과 시사점 1도토리 나혜선
347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스리랑카 경제위기의 주요 원인과 전망 1도토리 나혜선
347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중국 개인정보 보호법의 주요 내용과 전망 1도토리 국준아
3473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유럽 반도체 법안의 주요 내용 및 전망 1도토리 국준아
347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인도 5개 주 의회 선거결과와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347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1년 북중 무역 평가: 경제난과 무역 정상화 1도토리 국준아
347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우크라이나 사태와 대러 제재의 경제적 영향 7도토리 국준아
346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2년 양회를 통해 본 중국의 경제정책 방향과 시사점 3도토리 국준아
3468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한미 FTA 발효 10년 성과와 시사점 3도토리 국준아
346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도 신재생에너지 시장 기회 및 진출 전략 3도토리 나혜선
346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소상공인의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디지털 전환 1도토리 나혜선
346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화상통화를 활용한 비대면 보험 모집 해외 사례와 시사점 1도토리 나혜선
346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시장 동향과 전망 7도토리 나혜선
»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메타버스 新인류, 디지털 휴먼 3도토리 나혜선
3462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지역혁신형 규제샌드박스 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7도토리 정한솔
346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글로벌 모빌리티 시장동향 7도토리 정한솔
3460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2022년 클라우드컴퓨팅 트렌드 3도토리 정한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