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정책분석] 지역혁신형 규제샌드박스 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정한솔 조회수 120
용량 5.98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정책분석] 지역혁신형 규제샌드박스 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pdf 5.98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7 
출처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페이지 수 : 58 

< 목 차 >

 

| 요 약 |

Ⅰ. 개요

Ⅱ. 해외사례: 일본과 중국

Ⅲ. 지역혁신형 규제샌드박스 제도의 주요 쟁점 및 문제원인 분석

Ⅳ. 정책제언 및 향후 발전방향

 


 

Ⅰ. 개요  지역혁신형 규제샌드박스 제도의 단계별 주요 쟁점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정책적 과제를 제시  이 연구는 지역혁신형 규제샌드박스 제도의 관리적 측면에 초점을 두고 단계별 주요 쟁점을 파악하여 향후 제도의 실효성 제고 및 정책적 보완을 위한 방안 제시  지역혁신형 규제샌드박스 제도의 단계별 관리 및 운영 상 주요 쟁점과 문제원인을 파악하여 이에 대한 정책과제 도출  일본과 중국의 지역혁신형 규제샌드박스 제도의 단계별 현황을 살펴보고, 구체적인 사례인 슈퍼시티(일본)와 슝안신구(중국)를 소개 - 향후 규제샌드박스를 기술실증의 장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주변 국가와의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운영체계를 설립한 운영 및 관리가 중요하기 때문에 일본과 중국을 사례지역으로 선정  ‘지역혁신형 규제샌드박스’ 개념의 이해  지역혁신형 규제샌드박스는 제한된 공간적 범위 내에서 기존에 막혔던 규제를 유예하여 실증을 실시하고, 사후 지역혁신과 연계한 전략을 추진하는데 목적이 있음 - 별다른 공간적 제약 없이 신규 서비스나 제품 등의 전반에 대하여 특례조치를 적용 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산업융합촉진법」이나 「정보통신융합법」과 규율 구조를 달리하고 있음1)  지역혁신형 규제샌드박스 제도에 대한 명확한 규율이 정해질 필요가 있음 - 지역특구법이나 스마트도시법의 경우 특정 신기술이나 신제품을 대상으로 정하고 있지 않고 있으며, 특정 행정계획을 전제로 한 공공적 성격의 거시적 사업을 실증 특례 등의 대상으로 삼고 있어 다른 규제샌드박스 법령과 적지 않은 차이가 존재  국내 규제혁신제도의 한계는 규제개혁을 유형별로 구분하고 있지 않고, 포괄적인 접근을 취하고 있다는 것임 1) 김정욱·유성희(2019) | 요 약 | 3  [연구의 범위 및 방법] 이 연구는 지역혁신형 규제샌드박스에 초점을 두고2)있으며,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연구를 수행함  지역혁신에 기반한 규제샌드박스 제도 연구를 수행함으로서 기존 연구와 차별화 - 국토교통부(스마트시티 규제샌드박스), 중소벤처기업부(규제자유특구)를 중심으로 분석 - 전주기적 관점에서 관리 및 운영체계의 실행절차별 쟁점을 파악하고 향후 세부적인 정책적 대안을 제시 [그림 1] 국내 지역혁신형 규제샌드박스 제도 유형 분류 및 연구범위 자료: 연구진 작성  지역혁신형 규제샌드박스 관련 전문가들의 포커스 인터뷰 수행 -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여 쟁점파악과 문제원인 분석을 통해 및 향후 정책과제와 발전방안을 도출함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44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호주 콘텐츠 산업동향 1도토리 정한솔
344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콘텐츠, 가상융합경제의 혈액이 되다 1도토리 강정훈
3446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NFT 커지는 시장과 활용 1도토리 강정훈
344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친환경 소비시대, 부상하는 그린슈머를 공략하라! 7도토리 강정훈
344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메타버스, XR로 꽃피우다 7도토리 조정희
3443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AMD의 반도체 기술 동향 및 시사점 1도토리 한상윤
3442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마이크로 LED 전사, 접합, 그리고 불량 화소 수리 기술 1도토리 한상윤
3441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데이터센터 통신용 광소자 및 광부품 기술 동향 1도토리 김민성
3440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상시 근골격 모니터링과 재활을 위한 온스킨 센서 디바이스 기술 1도토리 김민성
3439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우주방사선 환경 ICT 소자 영향 및 개발 동향 1도토리 김민성
3438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테라헤르츠파 기반 대인 보안검색 기술의 동향과 발전 전망 1도토리 김민성
3437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결함허용 양자컴퓨팅 시스템 기술 연구개발 동향 1도토리 김민성
343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2 산업기술 환경예측 7도토리 김민성
343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One & Only 차세대 디지털 자산 「NFT」 1도토리 김민성
343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사회적 문제해결을 위한 임무 지향적 혁신정책의 과제 1도토리 김민성
343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일본 에너지 기반 산업의 녹색전환(GX) 방향성 3도토리 김민성
3432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선박운항 탄소중립을 위한 재생에너지 활용 1도토리 김민성
3431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재난 대응 로봇 기술 동향과 발전 방향 3도토리 김민성
3430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OECD 주관 국제 인공지능 콘퍼런스 현장 보고서 3도토리 김민성
342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북한의 과학기술 혁신정책 변화와 시사점 3도토리 민준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