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글로벌 모빌리티 시장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정한솔 조회수 58
용량 3.62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글로벌 모빌리티 시장동향.pdf 3.62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9 
출처 : KOTRA 
페이지 수 : 71 

< 목 차 >

 

Ⅰ 서론

Ⅱ 모빌리티 산업의 범위 및 정의

Ⅲ 주요국 글로벌 모빌리티 현황

Ⅳ 글로벌 모빌리티 시장진출 전략

 


 

모빌리티의 개념 및 정의 ▶ 2020년 이후 등장한 파리기후변화협약은 자동차 산업의 지형을 바꿀 수 있는 메가트랜드로 부각되고 있음 - 수송분야는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의 25% 가량을 차지하고 있어,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규제가 점점 더 강화되는 추세 - 유럽 및 북미지역의 경우 연비규제가 강화되고 있으며, 이를 위반할 시 대규모 벌금부과가 예정되어 있어 친환경 모빌리티는 핫 이슈로 부상 ▶ 코로나19로 인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2020년은 글로벌 자동차 산업 패러다임 변화의 원년으로 기억될 것이며, 2025년 이후 세계 자동차 시장 질서는 예상보다 빠르게 급변할 것으로 전망 서론 글로벌 자동차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 • 차를 소유하지 않고도 개인 교통 수단으로 활용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 및 해당 서비스 제공 플랫폼 - 예 : Uber, Zipcar, Grab, Yandex, OLA 등 • 자동차가 스마트 장비로서의 기능 수행, 이미 도입/성장 후 보편 화 전 단계 - 예 : In-Vehicle Infortainment • 센서, 알고리즘 등 진화한 소프트웨어 기반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 스스로 운행하는 자동차 - 부분 자율 주행 2020년 이후 확대 - 완전 자율 주행 2030년 이후 본격 성장 예상 • PHEV, EV로 전기모터 등 ICT 기술을 적용하여 자동차 본연의 기능을 대체, 이미 성장기에 진입 - 예 : HPEV, EV 모빌리티 스마트카 (Connected Car) 자율주행 전기차 소프트웨어 중심 하드웨어 중심 Ⅰ 1.1. 조사배경 및 필요성 Ⅰ. 서론 5 - 글로벌 자동차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는 기업에게 위기이자 기회요인으로 작용 ▶ 자동차 등 단순한 이동수단에 불과했던 기계들에 자율주행·인공지능(AI) 등 신기술을 접목한 개념인 모빌리티(mobility)가 주목 - 모빌리티는 전통적인 교통수단에 IT 기술 등을 결합해 효율과 편의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함 ▶ 모빌리티(Mobility)라는 용어의 사전적 개념은 ‘이동성’으로 정의되지만, 최근 IT관련 언론이나 스타트업계에서는 이동성 개념보다는 이동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각종 서비스를 포함하여 기존의 교통 또는 운송(Transportation), 심지어 배달 및 여객을 대체하는 포괄적 의미로 확대됨 - 국외에서는 서비스로서의 모빌리티(Mobility as a Service)가 대두, 모빌리티 서비스를 간단히 MaaS라 약칭하며, 다양한 분야로 협업과 확장을 시도 - 모빌리티 서비스는 기존의 자동차 제조나 개인의 자동차 소유와 관련된 산업, 예컨대 제조, 조립, 판매, 금융, 보험, 수리 등의 고전적 서비스 영역이 아닌 차량의 사용과 공유의 개념으로 확장되었고, 최근 모바일 기기의 O2O(Online to Offline) 기술과 연계되어 다양한 공유경제 개념으로 확장 모빌리티 산업의 변화 ▶ 현재 글로벌 사회는 불균형(Asymmetry), 파괴적 혁신(Disruption), 노령화(Aging), 양극화(Polarization), 사회적 신뢰저하(Trust)라는 글로벌 이슈를 마주하고 있으며, 코로나 19는 이러한 격변의 시대 흐름을 가속화하여 큰 변화와 도전으로 작용 ▶ 특히 자동차 산업은 과거 주력하던 내연기관차를 뒤로하고 CASE(Connected, Automated, Shared, Electric)로 명명되는 새로운 모빌리티의 시대로 접어들고 있으며, 이러한 파괴적 혁신으로 힘겨워하고 있는 자동차 기업들에게 코로나19는 패러다임을 가속화하는 주요 동인임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679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우리 수출기업의 친환경 소비트렌드 대응현황 및 시사점 3도토리 나혜선
367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파키스탄 정권 교체의 배경과 시사점 3도토리 국준아
3677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_글로벌 에너지공급망 변화 및 장, 단기 대응 전략 3도토리 국준아
3676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긴급재난지원금을 통해 관광, 문화예술, 콘텐츠 소비 지출에 미친 영향 7도토리 국준아
367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농업 혁신과 농촌 재생을 위한 농정 전략 및 과제 7도토리 국준아
367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미국 방위산업 공급망조사 보고서의 주요 내용 및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367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조선인력 수급의 문제점과 대응 방안 1도토리 국준아
367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국 반도체산업의 공급망 현황 및 자립화 전략 1도토리 국준아
3671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재편 움직임 및 정책적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367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제조업+인공지능 응용 현황과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3669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국토환경분야 그린뉴딜 ODA의 추진방향 1도토리 국준아
3668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모빌리티 패턴 변화 1도토리 국준아
3667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End to End 지능형 자동화, 하이퍼오토메이션 1도토리 국준아
366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혁신도시와 주변지역의 연계실태 및 상생발전전략 1도토리 국준아
366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공공임대주택과 주거급여제도의 정책효과 분석 및 성과제고 방안 1도토리 김민성
366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경기도 고용노동 행정서비스 개선에 대한 정책 방안 7도토리 김민성
3663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경기북부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위한 3대 전략 3도토리 조현상
3662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스마트한 규제로 새로운 성장동력 만들기 3도토리 조현상
3661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동향] 국가별 바이오안전성 동향_미국 2022 7도토리 안소영
3660 생명공학/바이오 [시장분석] 러-우크라 전쟁이 GMO 곡물 교역에 미치는 영향.pdf 1도토리 안소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