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기술동향] 2022년 클라우드컴퓨팅 트렌드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정한솔 조회수 98
용량 762.67K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기술동향] 2022년 클라우드컴퓨팅 트렌드.pdf 762.67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24 
출처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페이지 수 : 28 

< 목 차 >

 

01 2022년 클라우드컴퓨팅 트렌드

02 서비스로서의 아이덴티티(IDaaS)

03 2022년 iPaaS 시장 동향

04 솔트룩스, 인공지능으로 대민 서비스 품질 한 단계 더 높인다

 


 

01 2022년 클라우드컴퓨팅 트렌드│한상기 테크프론티어 대표매년 클라우드컴퓨팅의 주요 트렌드 예측을 살펴보는 것은 큰 흐름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다양한 시장조사 기관이나 미디어마다 2022년 클라우드컴퓨팅 전망을 발행하고 있어서 이번 글에서는 주요 미디어나 조사 기관의 예측을 모아서 검토해 보고자 한다. 클라우드컴퓨팅에 대한 수요는 2022년에도 지속해서 늘어날 것으로 본다. 코로나19 이전에도 그랬지만 원격근무에 대한 도전과 자원 제약은 이런 추세를 가속할 것이다. 가트너에 따르면 2022년 글로벌 클라우드 시장은 4,740억 달러 규모가 되어 2021년 4,080억 달러보다 16%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측한다.1) 이제는 클라우드 전략을 빼고는 사업 전략을 세울 수 없으며 기업이 클라우드 퍼스트 정책을 추구하면서 퍼블릭 클라우드 채택과 관심은 줄어들 수가 없는 상황이라고 가트너의 밀린드 고베카 수석 부사장이 강조했다. 이런 환경에서 어떤 전략 방향이 가장 공감을 받을지 살펴보기로 한다.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술이 단지 인기가 아니라 널리 퍼질 것이다. 주요 조직의 85% 이상이 2025년까지 클라우드 퍼스트 원칙을 받아들일 것이기 때문에 클라우드 네이티브 아키텍처와 기술의 사용 없이는 디지털 전략을 완전히 실행하기 어려울 것이다. 디지털이나 제품 팀에서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플랫폼을 채택함으로써 클라우드 환경 안에서 내재한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구조적 원칙과 능력을 갖출 수 있다. 같은 가트너 예측으로는 2025년에는 새로운 디지털 워크로드의 95% 이상이 클라우드 네이티브 플랫폼에서 배포될 것인데 이는 2021년의 30% 수준에서 많이 증가하는 것이다. 특히 도커와 같은 컨테이너는 가상 컴퓨팅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고 관리하는 데 있어 가장 손쉽고 애자일한 방법이기 때문에 더욱 성장할 것이다. 컨테이너를 이용해 애플리케이션 워크로드는 서로 다른 클라우드에서 동작할 것이고, 온-프레미스에서 하이브리드 방식에서마저도 받아들여질 것이다. 클라우드가 컨테이너는 가능하게 하는 주요 방식으로는 쿠버네티스 컨테이너나 오케스트레이션 기반 플랫폼이 될 것이다. 1) Datamation, “Cloud Computing Market Projected to Reach $474B in 2022,” Dec 20, 2021 디지털서비스 이슈리포트 4 포레스터 리서치에 따르면 개발자의 42%는 자신의 조직에서 컨테이너를 사용하고 있다고 한다. 2022 년에는 이 수치는 50%에 달할 것이며 더욱더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술을 채택하는 클라우드 전략으로 전환할 것이다. 이를 통해 조직은 하나의 클라우드 제공자 플랫폼에 종속되지 않고 멀티 클라우드나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방식을 사용하게 될 것이다. 대부분의 메이저 클라우드 사업자가 컨테이너를 지원하기 때문에 이를 쉽게 구현할 수 있다. 로우 코드와 노우 코드(LCNC)의 사용이 증가할 것이다 LCNC(Low-Code/No-Code)는 모든 클라우드 기업이 자원을 투입해서 지원 기능을 강화하는 영역이다. 개발자의 부족함을 보완하고 인공지능의 고급 자동화 기능을 위해서는 LCNC 활용이 앞으로 점점 더 일반화될 것이다. 이제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은 조립과 통합으로 가며 주로 그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팀이 쉽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2020년 25%에 불과한 LCNC 기술 활용이 2025년에는 70%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 이래서 나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로우 코드 애플리케이션 플랫폼(LCAP)이 부상하며 시티즌 개발이 증가할 것이고, 비즈니스 기술자들이 내부/외부 비즈니스 사용을 위해 기술이나 분석 능력을 만들어 낼 것이다. LCNC는 협력 디자인,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통합 경험, 인공지능 기반 공동 개발, 디지털 프로세스 자동화, 원격 협력이나 생산성 향상, 인공지능과 데이터 과학 분야에서 시민 참여 개발 등에서 그 유용성이 많이 증가할 것이다. 안전 접근 서비스 엣지(Secure Access Service Edge: SASE)가 눈에 띄는 성장 기회를 가질 것이다. 브랜치나 엣지 컴퓨팅 위치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트래픽은 엔터프라이즈 데이터 센터로 가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CIO나 IT 리더는 점점 더 SASE를 사용해 사용자와 기기로부터 언제 어디서나 접근하고자 하는 니즈를 더 안전하게 실현하고자 할 것이다. 다시 말해, 모든 트래픽을 중안의 암호 장비로 보내는 대신에 세션 자체에 보안을 제공할 것이다. 주요 기관의 50% 이상은 SASE를 채택하고자 하는 명확한 전략을 2025년까지 갖추리라는 것이 가트너의 전망이다. 카스퍼스키는 이 영역에서 장기 투자를 발표했고 네트워크 오케스트레이션 제공자인 브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44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호주 콘텐츠 산업동향 1도토리 정한솔
344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콘텐츠, 가상융합경제의 혈액이 되다 1도토리 강정훈
3446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NFT 커지는 시장과 활용 1도토리 강정훈
344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친환경 소비시대, 부상하는 그린슈머를 공략하라! 7도토리 강정훈
344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메타버스, XR로 꽃피우다 7도토리 조정희
3443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AMD의 반도체 기술 동향 및 시사점 1도토리 한상윤
3442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마이크로 LED 전사, 접합, 그리고 불량 화소 수리 기술 1도토리 한상윤
3441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데이터센터 통신용 광소자 및 광부품 기술 동향 1도토리 김민성
3440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상시 근골격 모니터링과 재활을 위한 온스킨 센서 디바이스 기술 1도토리 김민성
3439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우주방사선 환경 ICT 소자 영향 및 개발 동향 1도토리 김민성
3438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테라헤르츠파 기반 대인 보안검색 기술의 동향과 발전 전망 1도토리 김민성
3437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결함허용 양자컴퓨팅 시스템 기술 연구개발 동향 1도토리 김민성
343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2 산업기술 환경예측 7도토리 김민성
343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One & Only 차세대 디지털 자산 「NFT」 1도토리 김민성
343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사회적 문제해결을 위한 임무 지향적 혁신정책의 과제 1도토리 김민성
343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일본 에너지 기반 산업의 녹색전환(GX) 방향성 3도토리 김민성
3432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선박운항 탄소중립을 위한 재생에너지 활용 1도토리 김민성
3431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재난 대응 로봇 기술 동향과 발전 방향 3도토리 김민성
3430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OECD 주관 국제 인공지능 콘퍼런스 현장 보고서 3도토리 김민성
342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북한의 과학기술 혁신정책 변화와 시사점 3도토리 민준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