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기술분석] 이동통신 위치기반 서비스 동향 및 정밀 측위기술 소개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정한솔 조회수 68
용량 427.15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기술분석] 이동통신 위치기반 서비스 동향 및 정밀 측위기술 소개.pdf 427.15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24 
출처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페이지 수 : 13 

1. 머리말 본고는 빠르게 진화하는 이동통신 위치기반 서비스와 이를 지원하는 측위기술의 최신 동향을 파악하여 위치기반 서비스 산업에 참여하는 생태계에 제공, 서비스 발굴과 기술 개발에 기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서론으로 위치기반 서비스와 서비스 지원 측위기술을 개략하고, 3장에서 이동통신 기술의 진화에 따른 정밀 측위기술의 도입과 융복합화추세를 분석한다. 4장에서 국내외 이동통신 위치기반 서비스 기술 표준화 동향을 조사하고, 5장에서는 위치기반 서비스 중 공공성이 높은 긴급구조 서비스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정밀측위 방안을 제시한다. 결론으로 측위기술의 발전 방향과 새롭게 제시한 긴급구조 정밀측위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요약한다. 2. 서론 4차 산업혁명의 주요 기반기술인 5G/B5G 이동통신 기술로 활성화되는 다양한 융ㆍ복합 산업에서 핵심 서비스 자원인 위치정보 활용이 증대됨에 따라, 정보통신 분야 선도국인 우리나라의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해 이동통신 위치기반 서비스와 이를 지원하는 측위기술 및 표준화 동향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2.1 위치기반 서비스 분류 스마트폰의 대량 보급, 지도 및 내비게이션 서비스 보편화는 위치기반 서비스를 대중적 생활 서비스로 자리매김 하였다. 길 찾기, 위치정보 제공, 지역기반 광고, 위치추적 등 기존 위치기반 서비스는 자율주행 자동차, 드론 등 고속이동체 운행 지원, 제조공정 내 사물통신 지원, 로봇 등 고신뢰 초정밀 실시간 위치기반 서비스로 확장되고 있다. • 경제 및 사회활동 분석 서비스: 사람과 사물의 위치를 분석하여 경제 및 사회활동 현황을 파악하고 국가 및 기업에서 효율적 투자와 자원분배를 설계하는 용도로 활용한다. • 지도 및 내비게이션 서비스: 도로 및 교통수단에 대한 실시간 정보, 이동체의 최적 경로 안내, 주변의 POI(Point Of Interest) 위치정보와 경로를 제공한다. • 광고 마케팅 및 상거래 서비스: 지역 및 위치기반 광고 및 마케팅 서비스, 위치기반 상거래 지원 서비스(배달, 택시호출, 중고 상거래 등)를 가능하게 한다. • 위치추적 및 관제 서비스: 구조대상자(재난/범죄 피해자, 실종자)의 위치를 추적하고 구조를 가능하게 한다. 사물의 위치와 이동 경로를 추적하고 물류를 관제한다. • 생활 편의 서비스: 위치기반 생활 정보(뉴스, 날씨, 행사), 공유 모빌리티 위치 안내, 물건 찾기 등 서비스를 제공한다. • 자율주행자동차, 드론 운행지원 서비스: 고신뢰 초저지연 통신기술 및 인공지능기술로 주행 및 주정차/이착륙 시 충돌방지, 안전운행, 최적 경로선택 서비스를 제공한다. • 스마트공장 및 물류센터 지원 서비스: 자재의 공급부터 가공, 조립, 검사, 출하 등 전 공정에서 초정밀 실시간 위치기반 사물 인터넷과 로봇 서비스를 가능하게 한다. 2.2 위치기반 서비스 지원 측위기술 다 양한 위치기반 서비스에 못지않게 측위기술도 다양하게 발전되어 왔다. 무선접속 측위 기술이 센서기술, 빅데이터 및 AI/ML(Artificial Intelligence/Machine Learning) 기술과 융복합되어 측위기술의 정확도와 응답시간 성능을 향상시킨다. •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기반 측위: 단말의 위성(GPS, GLONASS, Gallileo, BeiDou) 신호 수신과 위성측위 보정기술(A-GNSS, D-GNSS/RTK(Real Time Kinematic) 등)을 활용한 측위기술이다. • RAT(Radio Access Technology) 기반 측위: 이동통신 기지국과 단말 간의 무선접속신호를 이용한 측위기술이다.(E-CID(Enhanced Cell-ID), OTDOA(Observed Time Difference Of Arrival), UTDOA(Uplink Time Difference Of Arrival), RTT(Round Trip Time), AoD(Angle Of Depar ture), AoA(Angle Of Arrival), RF Pattern Matching) • WiFi 기반 측위: 설치된 WiFi AP(Access Point) 기준으로 공간 좌표별 신호 수신 세기를 DB 화하고 단말이 실제 수신한 신호 세기와 비교하여, 단말 위치를 추정하는 핑거프린팅(fingerprinting) 측위, AP와 단말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RTT 기반 측위가 있다. • IoT 전용망 기반 측위: IoT 통신망(LoRa, LPWA, LTE-M, NB-IoT 등)을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구한다. • 비콘(Bluetooth, LiFi 등) 신호를 이용하는 측위 • RFID 리더기에 대한 태그(tag) 이용 정보를 활용하는 측위 • 센서(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지자계, 기압계) 및 초음파/레이다(Radar)/라이다(Lidar)에서 도출된 정보를 위치 추정기술로 활용하는 측위 • 음향 및 영상정보 기반 측위: 주변의 음향, 영상 정보를 빅데이터로 활용하는 핑거프린트 맵(fingerprint Map) 측위 2.3 서비스 특화 측위기술 고려사항 이동통신 기술 발전(5G, B 5G)으로 다양한 버티컬 분야에서 새로운 서비스가 가능하게 되었고 이들의 특징을 고려한 서비스 특화 융복합 측위기술 적용이 요구된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65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우리나라 산업기술인력 수급 현황(2020년도 기준) 1도토리 조정희
3655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2021년 의약외품 허가보고서 3도토리 조정희
3654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금리 상승기 회사채 시장의 특성 변화 1도토리 김민성
3653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가상자산 사업화를 위한 금융회사 및 테크기업의 경쟁과 협력 가속화 1도토리 김민성
3652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코로나19 재확산 및 중국경제 동향 1도토리 김민성
3651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금융환경의 긴축적 변화가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 1도토리 김민성
365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디지털 경제와 디지털 대전환 시대의주요 ICT 기술·시장·정책 동향 및 대응방향 3도토리 조정희
364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통화정책의 긴축적 변화가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 1도토리 김민성
3648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해외사례 조사를 통한 한국 증권업 및 건전성 규제의 개선 방향 7도토리 김민성
3647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동향] 합성생물학 적용 산물에 대한 규제와 관리 정책 전망보고서 3도토리 조정희
3646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MSCI 선진국지수 편입의 효과, 선결과제 및 시사점 3도토리 김민성
3645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우리에게도 보건의료 난제 해결을 위한 ARPA-H가 필요한가 1도토리 조정희
364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신용평가업에 대한 규제강화는 기업 신용평가의 질을 향상시켰는가 7도토리 김민성
3643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재생의료 산업 및 임상 동향 -첨단바이오의약품을 중심으로 3도토리 조정희
3642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소재 신연구방법론 3도토리 김민성
3641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일본 상공금융, 중소제조업체의 디지털전환 대응 포인트 분석 1도토리 김민성
3640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금융플랫폼에 대한 정책대응 및 방안 3도토리 김민성
3639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기후위기 및 보험 산업 7도토리 김민성
3638 성장동력산업 [경제동향] 미얀마 쿠데타 발발 1년-정치경제 동향 및 한국에 대한 시사점 3도토리 김민성
363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농업부문 데이터 경제 체계 구축을 위한 농업부문 디지털 전환 및 플랫폼 구축 방안 7도토리 나혜선